[TV리포트(카리포트)=임재범 기자] 대한민국 준중형 세단의 기준인 현대차 아반떼가 6세대까지 진화에 진화를 거듭했다.
17일 오전 경기도 양평 대명리조트에서 ‘아반떼 익스피리언스’ 미디어 시승회가 개최됐다. 이날 시승에 투입된 차량은 1.6 e-VGT. 디젤심장을 얹은 가지각색의 50여대의 신차 아반떼가 주차장을 가득채우고 있었다.
신형 아반떼는 지난 9일 공식 출시 행사를 갖고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간 현대차의 준중형 세단이다.
아반떼는 1990년 1세대 모델 출시 후 지난해 10월 국내 단일 차종 중 최초로 전세계 누적 판매 1천만대 돌파 기록을 세운 모델로 올해 8월까지 총 1,074만여 대가 판매되며 한국 자동차 산업의 역사다. 한류스타보다 유명한 ‘아반떼’는 차량 명을 뛰어넘어 대명사나 다름없는 이름이다.
이날 시승행사는 양평 대명리조트를 출발해 국도와 고속도로 구간을 달려 충주 킹스데일GC까지 왕복 총 주행거리 140㎞에서 신형 아반떼를 경험했다.
이전 모델인 아반떼MD의 흔적은 전혀 느낄 수 없었다. 완전히 다른 차, 새로운 차였다.
신형 아반떼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특징이라면, 디자인, 경제성, 주행성능, 안전성 등을 꼽을 수 있지만 이날 짧은 시간 시승을 통해 느낄 수 있었던 점은 연료효율성과 주행성능, 정숙성(N.V.H)이었다.
타이어 사이즈 별로 인증연비는 달라진다. 17인치 타이어가 적용된 시승차는 정부 공동고시 연비 기준 17.7㎞/L의 복합연비(도심 16.5㎞/L, 고속도로 16.5㎞/L)를 인증 받았다. 이산화탄소배출량은 1㎞를 달리는데 104g에 불과한 수치를 보인다. 7단 DCT와 ISG 시스템이 동시에 적용되면서 엄격한 배기가스 규제인 유로6 환경기준을 충족시킨다.
업체가 강조하는 실제연비가 얼만큼 기록할지 궁금했다. 도로 별 규정속도 이내로 달리며 트립컴퓨터에 기록되는 수치는 놀라웠다. 리터당 20㎞이상을 훌쩍 넘기는 평균연비로 7DCT(7단더블클러치변속기)의 고효율성을 보여줬다. 대명리조트로 다시 돌아가는 코스에서는 성능테스트를 위해 대부분 구간을 풀 가속으로 주행을 이어갔다. 리터당 10㎞이하로 떨어지질 않았다. 밟고 다녀도 10㎞/L이상의 평균연비를 기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주행성능과 정숙성은 어지간한 수입 중형세단 수준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여줬다. 국산 준중형 세단 이상의 안락함과 1,750~2,500rpm에서 발휘되는 30.6㎏·m의 묵직한 최대토크로 강력하게 밀어붙였다. 시승구간의 고속도로는 아스팔트가 아닌 시멘트 도로로 만들어진 구간이 많은 도로다. 거친 시멘트도로 특성상 타이어를 타고 올라오는 노면소음이 걱정됐지만 꼼꼼한 하체방음으로 세심하게 걸러냈다. 실내로 유입되는 U-Ⅱ 1.6리터 e-VGT 디젤심장 소음도 철저하게 차단시켜놨다. 시승에 참여한 일부 기자들은 가솔린엔진으로 착각할 정도로 조용했다는 평을 내놨다.
낮은 rpm에서부터 밀어붙이는 토크에 이어 4,000rpm에서 136마력의 최고출력이 신형 아반떼의 계기판 속도계 바늘을 머뭇거림 없이 움직였다. 역동적이고 경쾌한 주행성능이다. 7DCT의 빠른 변속이 파워풀한 가속감으로 표현된다.
“신형 아반떼는 모든 부문에 걸쳐 동급 최고의 상품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라는 현대차 관계자의 말에 공감이되는 부분이었다.
전면의 보닛과 범퍼, 전조등과의 이음새 마무리는 수입 대형세단에서나 느낄 수 있었던 깔끔함으로 보강됐다. 신형 아반떼는 서 있어도 달리는 듯한 느낌을 의미하는 ‘정제된 역동성’을 바탕으로 기존 모델에 비해 고급스러우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이다. 날렵함 만큼 0.27Cd의 공기저항계수를 기록했다.
이전모델과 비교해 모든 부분에서 더 길고, 넓고 높다. 이차의 크기는 전장 4,570㎜, 전폭 1,800㎜, 전고 1,440㎜로 당당한 모습이다. 2,700㎜로 늘어난 휠베이스(축간거리)는 실내공간을 더욱 여유있게 만들었다. (기존 아반떼MD 전장 4,550㎜, 전폭 1,77㎜, 전고 1,435㎜, 휠베이스 2,700㎜)
이외에도 급제동, 급 선회시 차량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샤시 통합 제어 시스템(VSM)’, 충돌 시 시트벨트가 신속하고 단단하게 앞좌석 탑승객의 골반부를 잡아주는 ‘하체상해 저감장치’를 비롯해 경사로 밀림 방지 장치(HAC), 급제동 경보 시스템(ESS) 등 차급 이상의 넘치는 안전사양과 후방감지 레이더를 통해 사각지대 및 후방에서 고속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인지하고 경보하는 ‘후측방 경보 시스템(BSD)’, 크루즈 컨트롤, 디젤차량에 가솔린 주유건 삽입시 차단막을 작동해 잘못 주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주유 방지 시스템’,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TPMS) 등의 주행편의 장치도 준중형 세단의 기준점이 되어버렸다.
미디어 시승회에서 김상대 현대차 국내마케팅 실장은 “한 달 동안 진행된 아반떼 사전 마케팅과 사전계약 등을 진행했던 부분이 미디어 시승회로 정점을 찍게 됐다”며, “특히, 쏘나타 공개 충돌 테스트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변화가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을 정도로 다시 뛸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김상대 이사는 “신형 아반떼에 대한 신차발표가 연구소에서 진행되면서 더욱 좋은 평가를 얻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제시했다.
김상대 이사는 “아반떼에 대한 계약도 신차발표회를 시점으로 점점 늘어나 8,500대라는 사전 계약이 진행됐고, 디젤 아반떼의 경우 기존 10%에서 13%로 증가한 후 사전 계약 마감시에는 18%로 늘어났다”며, “이는 합리적 소비 시대의 상징적 모델로 준중형 세단 아반떼를 찾는 젊은 유저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신형 아반떼는 디젤 U2 1.6 VGT, 가솔린 감마 1.6 GDi, 가솔린 누우 2.0 MPi, LPG 감마 1.6 LPi 등 총 4개의 엔진 라인업으로 판매되고 있다.
임재범 기자 happyyjb@tvrepor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