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포트(카리포트)=임재범 기자] 고효율 친환경차의 대명사로 토요타 프리우스는 하이브리드 전용모델로 명성을 이어가는 대표모델로 꼽는다. 하지만 패밀리카로써는 공간 활용성이 부족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었다.
기존 프리우스의 2% 부족한 부분을 적절히 보완한 ‘프리우스 V’를 시승했다. 지난 ‘2015 서울모터쇼’를 통해 국내 출시를 알렸던 모델이다.
프리우스 V는 기존 프리우스와 외형적인 면에서 완전히 다른 차체크기에 새로운 얼굴로 재 가공됐다. 차체길이는 165㎜ 늘리고, 폭은 25㎜, 키는 95㎜ 높혀, 4645㎜ 전장에 1775㎜의 폭과 1600㎜의 전고로 확대됐다. 기아차의 소형 미니밴 올 뉴 카렌스와 비교해 120㎜가 길고, 폭은 30㎜, 키는 10㎜가 낮다. 공간활용성을 좌우하는 휠베이스(축간거리)는 프리우스 V가 30㎜ 긴 2780㎜다. 효과적인 실내공간 활용 수치다. 2열시트에 180㎝가량의 성인남성이 앉아도 넉넉한 무릎공간과 머리공간을 갖추고 있었다.
트렁크 용량도 늘었다. 기본 968리터에서 2열 시트를 접으면 어지간한 화물은 모두 실을 수 있는 1905리터 용량까지 확장된다.
전면디자인은 기존 프리우스보다 날렵하고 역동적인 ‘킨 축(keen look)’에 사다리꼴 형태의 하부그릴로 안정적인 얼굴로 토요타 패밀리 룩을 만들어간다. 전조등은 상·하향이 통합된 바이 빔(Bi-Beam) LED 헤드램프로 밤눈을 밝혔다. 세로형태 LED 주간주행등은 앞 범퍼 양쪽 끝 단에 자리를 잡았다. 공기저항이 가장 작다는 총알모양에서 모티브가 된 실루엣 라인을 통해 0.29Cd 계수로 공기 역학적인 라인으로 디자인 효율성까지 강조했다.
한국토요타자동차가 개최한 미디어 시승행사는 23일 오전 서울 송파 롯데월드몰 내 ‘Connect to’에서 시작됐다. 서울춘천고속도로와 산업도로를 달려 강원도 춘천 제이드가든까지 왕복 127㎞를 달리며 연비와 주행성능을 경험했다. 기존 프리우스보다 부푼 모습에 120㎏이 무거운 몸무게(공차중량 1515㎏)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인증 받은 복합연비는 리터당 17.9㎞다. (도심 18.6㎞/L, 고속 17.1㎞/L) 특히,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당 92g에 불과하다.
이날 평소 운전 스타일대로 차분하게 경유지까지 달렸다. 트립컴퓨터에 기록된 평균연비는 24.8㎞/L. 공인복합연비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다. 가속력 위주로 테스트한 동료기자는 “아무리 퍼포먼스하게 달려도 평균연비가 14㎞/L이하로 안 떨어진다”며 놀라움을 감추지 않았다.
특히, 노면에서 올라오는 하체소음은 방음 방청으로 인해 기존 프리우스보다 확연히 줄었다.
외형은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변신했지만 엔진을 포함한 동력계통은 기존 그대로다. CVT(무단변속기)와 궁합을 이룬 1.8리터 직렬 4기통 엣킨슨 사이클 심장(99마력/5200rpm)과 최고출력 82마력의 힘을 내는 전기모터를 복합적으로 더해 136마력의 시스템 최고출력을 발휘한다.
4000rpm에서 발휘되는 14.5㎏m의 엔진 최대토크보다 전기모터(21.2㎏m)에서 뿜어내는 힘(최대토크)이 수치상 높다.
내연기관에 전기모터가 주행을 돕는 하이브리드 전용 프리우스는 70~80㎞/h에서 가장 좋은 연료효율성을 만들어 낸다. 또한, 정체가 심한 서울 시내도로에서는 EV버튼을 눌러 한방울의 연료도 사용하지 않고 일정거리 주행이 가능해진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면 전기모터의 활용도를 높혀 리터당 30㎞에 육박하는 연비수치도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주행 중 배터리 충전은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는 순간부터 채워간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회생브레이크를 통해 동력에너지에서 운동에너지, 전기에너지로 바뀌면서 배터리를 충전한다.
역시 EV모드에서는 한없이 정적이 흐른다. 매끈한 노면의 지하주차장을 들어서는 순간부터 타이어 굴러가는 소리만 미세하게 들려올 뿐이다.
오른쪽 팔받침에 위치된 주행모드 버튼은 EV(전기), ECO(에코), PWR(파워) 등 총 3가지 모드로 주행상황에 맞게 변경이 가능하다.
전후 두 개의 창으로 분리된 파노라마 루프가 실내를 화사하게 연출한다.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재질의 경량 구조로 루프무게를 17㎏ 줄였다.
기존에도 작게 느껴졌던 기어노브는 더욱 작아져 장난감 수준이다. 데시보드 상단 가운데 위치한 계기판은 4.2인치 TFT 다중정보 디스플레이에는 외부온도를 비롯해 시계, 온도 조절, 연비, 연비 히스토리, 평균연비, 평균속도, 하이브리드 시스템정보, 에너지 모니터, 오디오 메뉴 등으로 화면이 화려해졌다.
이밖에 전자제어 브레이크 시스템(ECB), 경사로 밀림 방지장치(HAC), 차체 자세 제어장치(VSC), 트랙션 컨트롤(TRAC), 브레이크 어시스트(BA), 브레이크 장김방지 장치(ABS), 제동력 분배방치(EBD),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 등의 주행 안전·편의 장치가 적용됐다.
한국토요타자동차 관계자는 “프리우스V는 SUV에 버금가는 실내공간과 파노라마 루프, LED 헤드램프 등으로 기능성을 높힌데다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의 2015년 최우수등급(Top Safety Pick+) 수상모델 발표에서 ‘가장 안전한 차’로 선정되기도 했다”며 “친환경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통해 경쟁력있는 가격을 갖췄다”고 말했다.
2015년부터 새롭게 적용된 이산화탄소 배출기준(97g/㎞이하)을 만족시키는 친환경차 만의 강력한 구매욕구는 100만원의 정부 보조금 혜택과 최대 310만원의 추가 세제 혜택과 프리우스 V만의 공간활용성은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어들이기에 충분해 보인다. 프리우스V의 국내 판매가격은 3880만원이다.
임재범 기자 happyyjb@tvrepor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