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포트
  • BMW 20241127
  • 데일리 뉴스
  • 시승기
  • 신차
  • 모터쇼
  • 모터사이클
  • 모터스포츠
  • 레이싱 모델
  • 스파이샷
  • 여행/맛집
  • 칼럼
  • (영상) 제로백 2.9초, 슈퍼카 맥라렌 600LT 출시현장

    (영상) 제로백 2.9초, 슈퍼카 맥라렌 600LT 출시현장

    데일리 뉴스
    임재범 2018-12-14 00:53:33
    영국 수제 슈퍼카브랜드 맥라렌이 롱테일 (Longtail, LT) DNA 네번째 모델 '맥라렌 600LT(McLaren 600LT)'를 국내시장 출시를 알렸습니다.   공식 수입원인 맥라렌 서울(기흥 인터내셔널)이 13일 오전 대선제분에서 ‘600LT 론칭 미디어 데이’ 행사를 열었는데요.   맥라렌 600LT는 지난 7월, 영국의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Goodwood Festival of Speed)에서 공개된 모델입니다.   3.8리터 V8 트윈터보 엔진과 익스트림한 배기시스템을 적용됐고요. 1,247kg 초경량의 차체로 481마력/톤의 출력을 자랑합니다. 특히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 도달하는데 2.9초. 시속 200km 도달하는데 불과 8.2초 만에 도달한다고 합니다. 최고속도는 328km/h.   일반도로를 비롯해 서킷에서 모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600LT가 출시되면서 맥라렌 롱테일(Longtail, LT) 시리즈의 역사가 업계에 새로운 기준을 세우며 계속될 것이라고 하네요.   롱테일(Longtail, LT)의 신기원을 장식하는 모델답게 600LT는 맥라렌 롱테일 시리즈의 주요 특징을 그대로 승계 받았다고 합니다. 길어진 차체로 에어로다이내믹 성능을 극대화해 더욱 익스트림한 운동성능을 구현한 전 세대 롱테일 모델처럼 카본 파이버로 제작된 프론트 스플리터와 리어 디퓨저, 고정형 리어윙이 확대 및 추가되면서 차체가 약 74mm 길어졌습니다.   이에 600LT는 100kg의 추가 다운포스를 생성하여 ‘트랙 괴물’ 이라고 불릴 만큼 향상된 민첩성과 가속성능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안정성을 자랑한다고 합니다.   적극적인 카본 파이버 소재의 활용을 통해 한계에 가까운 경량화를 이뤘고, 탄생의 기반이 된 맥라렌 570S 쿠페의 약 23%를 업그레이드 하여 드라이버와의 완벽한 일체감과 교감을 목표로 하는 LT 모델로서의 완벽한 변화를 완성시켰답니다.   특히 가벼운 알루미늄 캘리퍼와 카본 세라믹 디스크 등 맥라렌 슈퍼시리즈 720S에서 선보여 탄성을 자아냈던 최첨단 브레이킹 시스템과 맥라렌 SENNA에서 착안된 빠른 반응성과 정밀한 페달 감각을 자랑하는 브레이크 부스터로 경량화와 함께 퍼포먼스를 더욱 극대화했습니다.   맥라렌 600LT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톱-엑시트 배기 시스템 (top-exit exhaust system) 역시 드라이버와의 완벽한 일체감과 운동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차량의 뒷부분 상단이라는 독특한 위치에 자리한 배기는 배압을 낮춰 더욱 강력한 파워 구현을 도우며, 사실상 드라이버의 어깨 뒤쪽 편에 위치한 엔진의 놀라운 사운드를 캐빈으로 더 가깝게 전달됩니다.   맥라렌 관계자는 “600LT는 맥라렌의 네 번째 롱테일이자, 첫 번째 스포츠 시리즈 롱테일 모델로 도로와 서킷에서 모두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작됐기 때문에 자동차 역사에 새 장을 열 것”이라며 “600LT는 물론 맥라렌의 끊임없는 진화에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 (영상) 타봤습니다. 현대 플래그십 SUV 팰리세이드

    (영상) 타봤습니다. 현대 플래그십 SUV 팰리세이드

    시승기
    임재범 2018-12-12 03:53:35
    지난 LA모터쇼를 통해 공개됐던 현대차 현대차 플래그십 대형 SUV 팰리세이드(PALISADE)를 타봤습니다. (영상 클릭~)   팰리세이드는 ▲디젤 R2.2 e-VGT ▲가솔린 람다Ⅱ 3.8 GDi 등 총 2가지 엔진 라인업입니다.   디젤 2.2 모델은 최고출력 202마력(ps), 최대토크 45.0kgf·m, 복합연비 12.6km/ℓ의 엔진성능을 내며 가솔린 3.8 모델은 최고출력 295마력(ps), 최대토크 36.2kgf·m에 복합연비 9.6km/ℓ입니다. (2WD/7인승/18인치 타이어 기준)   디젤 R엔진이 탑재은 연비 효율성이 극대화됐으며, 요소수를 활용한 선택적 환원 촉매 저감 장치(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시스템이 적용됨으로써 강화된 유로 6 기준을 만족시키며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만족시킨다고 합니다. 전륜 8단 자동변속기를 기본 적용됐으며, 다양한 지형에 최적화된 주행성능을 구현하는 ‘험로 주행 모드(Multi Terrain Control)’까지 적용된 한단계 더 진화된 4륜 구동(AWD, All Wheel Drive) ‘에이치트랙(HTRAC)’이 적용됐습니다.   팰리세이드에는 ‘험로 주행 모드(Multi Terrain Control)’가 국산 SUV 최초로 적용 적용 됐는데요. ▲미끄러운 눈길에서도 타이어가 헛돌지 않도록 해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게 한 ‘스노우 모드’ ▲타이어에 모랫길 주행에 가장 적합한 토크를 공급하는 ‘샌드 모드’ ▲진흙 길에서도 안정적인 접지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머드 모드’ 등 3가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내 판매가격은 디젤 2.2모델이 3,622~4,177만원, 가솔린 3.8 모델은 3,475~4,030만원.(2WD 7인승 기준) 모든 옵션을 더하면 약 4,900만원가량까지 올라가네요.
  • (영상) 항상 새차만, 제주에서 수입차 직영렌터카 이용기

    (영상) 항상 새차만, 제주에서 수입차 직영렌터카 이용기

    시승기
    임재범 2018-12-10 01:29:25
    시트로엥 3008을 제주도에서 렌터했습니다.  한불모터스가 운영하는 푸조 시트로엥 직영렌터카였는데요. 2015년 8월부터 시행되고 있었습니다. 벌써 3년을 훌쩍 넘기며 누적차량 대여수가 1만 2천회를 넘겼다고 합니다. 현재까지도 수입자동차 브랜드로는 최초로 렌터카 사업에 진출한 상태입니다. 푸조 시트로엥 렌터카의 장점이라면 항상 새차를 탈 수 있다는 점이더군요. 총 주행거리 5천km를 넘기기도 전에 매각하기에 신차만 운용됩니다.   보유대수도 무려 200여대나 됩니다.   특히, 이용요금은 하루 3~6만원가량이면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책정된 차량대여료는 최소 20만원에서 30만원이기만, ‘푸조 시트로엥 제주렌터카 하우스’에서는 비수기 85%, 성수기 75% 할인된 가격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불모터스는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푸조와 시트로엥의 다양한 매력을 경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를 높이기 위함이라고 하네요.  
  • (영상) 1948년산 시트로엥 ‘2CV4’ 시승기

    (영상) 1948년산 시트로엥 ‘2CV4’ 시승기

    시승기
    임재범 2018-12-09 18:24:15
    푸조 시트로엥 자동차박물관 1948년산 시트로엥 2CV4     2CV는 1937년에 최초 개발 됐었지만,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1948년 파리모텨쇼에서 출시됐었던 차량입니다. 새롭게 개발한 디자인과 뛰어난 경제성을 동시에 선보인 2CV는 “도대체 이런 차가 어떻게 모터쇼에 나올 수 있느냐”는 전문가들의 혹평을 받았다고 합니다.   천으로 말아 올리는 지붕을 빗대어 깡통따개와 함께 구입해야 할 차라며 혹평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2CV는 독특한 디자인과 경제적인 소형차로 많은 사랑을 받았었고요. 영화 <007>을 비롯한 영화에 출연하기도 했다고 하네요. 2CV는 1990년까지 50여년 동안 실용성을 중시하는 프랑스의 국민차 역할을 훌륭히 해냈다고 합니다. 다양한 형태로 1948년까지 900만대가 생산됐었던 2CV입니다.   2CV의 개발 원칙이 있었는데요. 1.개인 운송수단의 새로운 철학을 제시해야 한다. 2.농부가 밀짚모자를 쓰고도 자유롭게 승하차를 할 수 있어야 한다. 3.달걀을 싣고 시속 60km/h로 달려도 달걀이 깨지지 않아야 한다. 4.2CV 유지비는 말 한마리, 마차 한대보다 뛰어나야 한다.                                                                  엔진: 2기통 / 375~602cc / 9~29마력 / 4단 수동변속기 / 최고속도: 69~115kmh  
  • (영상) 세기를 넘어선 자동차역사, 푸조∙시트로엥 자동차 박물관

    (영상) 세기를 넘어선 자동차역사, 푸조∙시트로엥 자동차 박물관

    데일리 뉴스
    임재범 2018-12-09 14:54:18
    한불모터스가 5일 제주도에서 ‘푸조 시트로엥 자동차 박물관(관장 강명진)’의 개관식을 갖고 오늘(6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푸조 시트로엥 자동차 박물관은 국내 자동차 브랜드 중에는 최초로 건립한 자동차 박물관이자, 프랑스 이외 지역 최초의 푸조 시트로엥 박물관입니다.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박물관은 약 2,500평(연면적 8,264m²)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로 조성됐습니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건축물인 33m의 에펠탑을 비롯해 푸조의 200년과 시트로엥의 100년 역사, 헤리티지, 그리고 브랜드가 전하는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습니다.   박물관 1층은 시트로엥의 클래식카와 역사를 온·오프라인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인 ‘시트로엥 오리진스’와 다양한 오리지널 기념품을 구입할 수 있는 ‘헤리티지 스토어’로 구성됐고요. 특히, 시트로엥 오리진스에는 1934년 생산된 트락숑 아방을 비롯해, 2CV(1948년)와 DS21(1955년) 등 브랜드의 기념비적 모델이 전시되어 있으며, 16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1919년부터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는 시트로엥 전 모델에 대한 풍성한 콘텐츠가 담긴 신개념 온라인 박물관 ‘시트로엥 오리진스’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2층에는 생산된지 100년도 더 된 타입 139 A 토르피도(1911년)를 비롯해 타입 153BR 토르피도(1923년), 201C 세단(1930년), 401D 리무진(1935년), 601세단(1934년) 등 5대의 클래식 카를 시작으로, 1970년대에 생산된 604 세단부터 비교적 최근인 2006년에 생산한 207CC 등 총 17대의 기념비적인 차량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입구부터 시계방향으로 관람하면 푸조의 과거부터 현재를 두루 살펴볼 수 있는 콘셉트이었습니다.   또한, 푸조와 시트로엥의 모터스포츠 역사, 브랜드가 진출한 다양한 산업분야, 주요연혁 등 브랜드의 역사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히스토리 룸과 브랜드의 다양한 영상을 관람할 수 있는 미디어 룸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한불모터스㈜는 현재까지 박물관에 약 110억원을 투자했다고 합니다. 전시차량 중 일부는 직접 구입했고, 32대는 PSA 그룹으로부터 장기 임대 형식으로 지원받습니다. 7대는 현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나머지 14대는 내년에 순차적으로 국내에 들여올 예정이라고 하네요. 한불모터스는 향후에도 지속적인 투자와 PSA그룹과의 협업을 통해 테마 기획전, 클래식카 시승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해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자동차 문화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합니다.   푸조 시트로엥 자동차 박물관은 제주도 서귀포시 일주서로 532에 위치해 있고요. 명절과 국가 공휴일을 제외하고 평일과 주말 모두 9시부터 18시까지 운영됩니다. 박물관 입장료는 성인 6천원, 학생 4천원,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는 2천원. 푸조 또는 시트로엥 차량 보유 고객이나 푸조 시트로엥 제주도 렌터카 이용고객, 20인 이상 단체 관람객, 제주 도민에게는 할인됩니다.   푸조 시트로엥 자동차 박물관은 현재 한불모터스㈜가 운영중인 제주도 푸조 시트로엥 렌터카 사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인데요. 제주도 관광객이 연간 1,400만 명에 이르는 만큼 박물관과 렌터카를 통해 더 많은 고객들에게 푸조와 시트로엥의 매력과 가치를 알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하네요.             타입 139 A 토르피도 Type 139 A Torpédo (1911년) 1898년 프랑스 릴에 위치한 푸조 자동차 공장에서 생산된 모델로, 139A 모델은 1911년부터 1913년까지 2년간 551대가 생산됐다. 이 공장은 제1차 세계대전까지 자동차를 생산했고, 전쟁 후 공장 재건 후에는 1928년까지 주로 트럭을 제작하였으나 이후 디젤 엔진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 감정가격 9만유로, 한화 1억 3천만원가량 제원 •4기통 3,817cc •16마력 •4단 변속기 •최고속도 75km/h     타입 153 BR 토르피도 Type 153 BR Torpédo (1923년) 이 모델은 3가지 차체로 설계 되었는데, 4인승 또는 6인승의 후드 장착 토르피도는 레드, 다크 그린, 다크 블루, 다크 그레이 4가지 색상을 선택할 수 있었으며, 이 외에도 4인승 쿠페 드 빌레(Coupe de Ville)나 4인승 세단(Saloon)까지 선택이 가능했다. 토르피도 본체는 푸조 공장에서 제조, 장착되었지만, 쿠페나 세단은 고객이 선택한 마스터 코치빌더(Coach-builder)에 의해 생산됐다. 273대의 타입153 BR은 토르피도는1923년까지 생산됐다. 제원 •4기통 2,951cc •15마력 •4단 변속기 •최고속도 80km/h     201 C 세단 201 C Berline (1930년) 201은 차체크기와 세대를 의미하는 숫자 표기 체계를 도입해 자동차 모델명의 새로운 시대를 연 모델이다. 첫 번째 숫자는 차체 사이즈를, 마지막 숫자는 세대를 나타내며, 영(0)은 이 둘을 연결하는 의미이다. 201은 1929년부터 1937년까지 142,309 대가 생산되었고, 그 중 세단은 79,000대가 생산됐다. 제원 •4기통 1,122cc •23마력 •3단 변속기 •최고속도 80km/h     401 D 리무진 401 D Limousine (1935년) 1934년 파리 모터쇼에서 발표된 401은 1세대의 4번째이자 마지막 차량 이었다. 이 모델은 리무진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1930년대 출시된 모든 푸조 모델들과 마찬가지로 12,000명의 직원들이 연간 40,000대의 차량을 제조하는 프랑스 소쇼 공장에서 제조됐다. 소쇼 공장은 2009년 현재 동일한 인원이 275,000대의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401은 1934년부터 1935년까지 13,545대가 생산됐다. 제원 •4기통 1,720cc •44마력 •3단 변속기 •최고속도 100km/h     601 세단 (1934년) 1934~1935년 당시의 자동차 차체는 매우 통일된 스타일이었고 모든 모델들이 독특한 디자인과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예를 들어, 구부러진 라디에이터 그릴의 외부 측면에는 두 개의 기념비적인 윙이 장착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201과 601 모두에서 볼 수 있었다. 자체가 낮아지고 발판이 없어지면서 승객들이 차에 타고 내리는 것이 훨씬 더 수월해 졌다. 601은 1934년부터 1935년까지 4,000대가 생산되었고, 이 중 세단은 1,010대가 생산됐다. 제원 •6기통 2,148cc •60마력 •3단 변속기 •최고속도 105km/h     604 세단 (1975년) 피닌파리나에서 디자인한 604는 1975년 스위스 제네바모터쇼에서 첫 선을 보였다. 1934년 출시한 푸조 601부터 40년간 이어진 푸조 최초의 럭셔리 대형 승용차이자 푸조를 대표하는 대형 세단이다. 1973년 세계적인 오일쇼크로 인해 대형차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며 어려움을 겪었지만, 1978년 디젤엔진을 장착하며 위기를 돌파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기아자동차에서 주문자생산방식을 통해 604를 출시하였으며, 대통령 의전차량으로도 사용됐다. 604은 1975년부터 1985년까지 153,252대가 생산됐다.       제원 •6기통 2,664cc •135마력 •4단 수동변속기 •최고속도 100km/h     605 세단 (1989년) 시트로엥 XM의 플랫폼을 공유하는 605는 604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 1989년 출시됐다. 최고급 사양과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편안한 승차감과 우수한 핸들링을 무기로 시장에서 호평을 받았다. 1995년 페이스리프트를 단행한 605는 보다 완성도 높은 품질과 새로운 디자인을 선보였고, 사이드에어백을 장착하는 등 기술적 진보도 이뤘다. 이후 605는 406가 출시되며 명맥을 이어갔다. 제원 •6기통 2,946cc •190마력 •4단 자동변속기 •최고속도 233km/h     607 세단 (1999년) 푸조 607는 명맥이 끊긴 605의 뒤를 이어 개발된 차량으로,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과 다양한 엔진라인업이 특징이다. 8개의 에어백과 ABS, 타이어공기압모니터링시스템 등 다양한 안전장비와 함께 9단계로 감쇄력 조절이 가능한 서스펜션을 장착하였고, 세계 최초로 2000년 디젤엔진에 DPF를 장착한 차량이기도 하다. 푸조의 대표 대형 세단 라인업은 2009년 PSA 그룹의 정책에 따라 407과 607을 통합하게 되어 새로 출시되는 푸조 508로 이어지게 된다. 제원 •2,721cc •204마력 •6단 자동변속기 •최고속도 230km/h      
  • (영상) 볼거리, 아테온 팝업하우스 ‘The Art:eon(디 아테온)’

    (영상) 볼거리, 아테온 팝업하우스 ‘The Art:eon(디 아테온)’

    데일리 뉴스
    임재범 2018-12-08 19:03:14
    폭스바겐코리아가 아테온에서 영감을 받아 세워진 아트 & 라이프 스타일 하우스 “The Art:eon(디 아테온)”을 오픈했습니다. 팝업하우스라고 하죠. 이달말 31일까지 열리는데요. 폭스바겐의 새로운 플래그십 세단 “아테온(The new Arteon)”의 출시를 기념해 기획했다고 합니다.     지하 2층, 지상 4층으로 구성된 “The Art:eon(디 아테온)”은 “Art”와 영겁의 시간을 뜻하는 “Eon”의 합성어인 아테온(Arteon) 모델명에서 착안,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아테온을 표현하는 예술작품과 함께 아테온에 대한 이야기를 각 층별로 담아냈는데요.   먼저 건물 외부의 이색적인 파사드는 미디어 아티스트 한요한 작가와의 협업으로 완성됐고요. 한요한 작가는 “The Art:eon(디 아테온)”의 파사드를 캔버스 삼아 아름다운 빛의 시퀀스로 아테온이 가지고 있는 유려한 선을 표현해냈습니다.   “The Art:eon(디 아테온)” 건물 내부 1층 “The Gallery(더 갤러리)”에서는 한눈에 시선을 사로잡는 고혹적인 라인과 다이내믹을 품고 있는 아테온을 마치 예술작품처럼 감상할 수 있습니다. 파사드를 작업한 한요한 작가와 칼레이도스코프(만화경) 아티스트로 활동 중인 원동민 작가가 참여했습니다. 원동민 작가는 아테온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형태와 색감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해석해 무한대로 반복되는 그래픽 시퀀스를 창조했다고 합니다. 한요한 작가 또한 아테온의 유려한 곡선과 정교한 라인을 닮은 빛의 변주를 디지털 시퀀스로 표현해냈습니다.   2층에는 아테온의 인터네셔널 캠페인의 주인공, 시각장애인 사진작가 피트 애커트(Pete Eckert)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어요. 피트 에커트는 완벽한 어둠 속에서 긴 노출과 더블 노출 기법을 사용한 “라이트 페인팅(Light Painting)”으로 아테온을 촬영했다고 합니다. 이는 피트 에커트가 다양한 불빛 소재들을 움직이면서 다이나믹한 효과를 얻어내는 방법으로, 아테온의 또 다른 감성 미학을 느낄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와 함께 신선한 원두로 추출해 보다 깊은 풍미를 자랑하는 호주의 커피 브랜드, 듁스 커피(Dukes Coffee)가 입점해 “The Art:eon(디 아테온)”을 찾은 고객에게 커피 맛을 전합니다.   다양한 예술작품을 감상한 고객들이 3층에서는 직접 아티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4D VR 드로잉 체험공간인데요. 아테온과 “The Art:eon(디 아테온)”에서 받은 영감을 바탕으로 피트 에커트처럼 빛의 아티스트가 되어 가상의 공간에 나타난 아테온에 자신만의 크리에이티브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4층에는 외식업계의 연금술사 노희영 대표, 스타 셰프 에드워드 권, 그리고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계연이 함께 기획한 소셜 다이닝 공간, ‘히노스 레시피(Hino`s Recipe)’가 자리했는데요. ‘아트’와 ‘라이프’라는 컨셉에 맞게 예술을 사랑하는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트렌드세터들이 자유롭게 소통하고 즐길 수 있도록 디너랩(Dinner Lab) 형태로 진행하며, 아테온에서 영감 받은 특별한 메뉴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지하 2층 “Space Arteon(스페이스 아테온)”에는 아테온이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졌다고 하는데요. 아티스트 작품 상설 전시 및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클래스와 특별한 파티가 31일까지 계속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 (영상) 살펴봤습니다. 폭스바겐 아테온(Volkswagen Arteon)

    (영상) 살펴봤습니다. 폭스바겐 아테온(Volkswagen Arteon)

    신차
    임재범 2018-12-08 18:01:45
    폭스바겐코리아가 지난 5일 강남구 신사동에 위치한 아트&라이프스타일 하우스 “The Art:eon(디 아테온)”에서 폭스바겐의 새로운 디자인 언어로 표현된 ‘아테온(The new Arteon)’을 출시하고 한국시장 판매를 알렸었죠.   저는 제주 땅을 밟고 있는 상태라 당일 현장에는 없었던 관계로 7일 오후 방문했습니다. 폭스바겐코리아 홍보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는 이원선 팀장님와 아테온을 살펴봤는데요.   “아트(Art)”와 영겁의 시간을 뜻하는 “이온(eon)”을 합성해 만든 ‘아테온’은 전세계 자동차 전문가들로부터 폭스바겐 브랜드 역사 상 가장 아름다운 세단이라는 찬사를 얻었다고 합니다. 유려하면서도 다이내믹한 디자인을 자랑하고 있는데요. MQB 플랫폼과 공간구성으로 넉넉한 실내공간, 탄탄한 주행성능, 안락한 승차감, 탁월한 경제성을 갖춘 폭스바겐의 프리미엄 세단라인업입니다.     외관 디자인은 프리미엄 세단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합니다. 기존의 세단과 차별화된 프로포션과 강렬한 캐릭터 라인을 적용해 스포티한 GT 느낌을 줍니다. 특히, 역대 폭스바겐 모델 중 가장 넓은 전면부 수평 라인의 라디에이터 그릴은 차체 전체를 감싸고 도는 캐릭터 라인과 통합되면서 당당한 존재감을 표현합니다. 여기에 프레임이 없는 사이드 윈도우, 랩어라운드 보닛 등 디테일한 디자인 요소들을 더해 프리미엄한 느낌을 더 높였다고 하네요.   스포츠카와 같은 외관과는 달리 아테온의 실내는 넉넉한 공간과 SUV에 버금가는 활용성을 자랑합니다. 폭스바겐의 새로운 MQB 플랫폼을 적용한 덕분에 2,840mm의 휠베이스를 확보한 아테온은 여유로운 탑승 공간을 갖췄고요. 뒷좌석 레그룸은 1,016mm로 역시 동급 최고 수준이며, 성인 3명이 여유롭게 탑승할 수 있습니다. 뒷좌석 헤드룸은 940mm로 넓직한 공간입니다. 563L의 넓은 트렁크 공간은 뒷좌석을 접을 경우 1,557L로 넓어집니다.   인테리어 디자인 역시 스포츠카의 카리스마와 세단의 편안함을 이상적으로 조화시킨, 업그레이드된 폭스바겐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보여주는데요. 실내 대시보드 전체를 가로 지르는 에어 벤트는 외관 캐릭터 라인과 통일감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그 자체로서 인테리어 액센트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에어 벤트 아래로는 고급스러운 패널이 위치하고, 은은한 엠비언트 라이트가 들어가면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계기판은 12.3인치 액티브 인포 디스플레이(Active Info Display)라고 합니다. 최신 MIB (Modular Infortainment Matrix) 시스템이 탑재됐다고 하고요. 중앙에 위치한 8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동이 된다고 하네요.   실내 전체는 “나파” 가죽 시트로 마감해 고급스러움을 더했고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앞 좌석 시트는 통풍 및 히팅 기능, 요추지지대를 포함한 전동 시트가 적용됐고요. 운전자 석에는 마사지 기능까지 적용됐다고 하네요.     초고장력 강판 및 핫스탬핑 공법 적용을 통해 동급 세단 대비 10% 향상된 차체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정밀한 스티어링 및 빠른 응답성 세계적인 권위의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유럽 최고 권위의 ‘2017 골든 스티어링 휠 어워드’의 심사위원단은 아테온을 “고급스러운 섀시 튜닝, 훌륭한 엔진과 스티어링 감각을 갖춘 진정한 팔방미인”이라고 평가했다 하고요. ‘2017 유로앤캡 안전도 평가’에서는 동급 세그먼트 중 가장 안전한 차로 선정되기도 했다고 하네요.     전방추돌경고장치 프론트 어시스트 및 긴급제동시스템, 보행자 모니터링 시스템, 액티브 보닛, 트래픽 잼 어시스트, 사이드 어시스트 플러스(사각 지대 모니터링), 레인 어시스트, 후방 트래픽 경고 시스템, 파크 어시스트, 피로 경고 시스템 등의 첨단 안전 기술이 기본으로 적용됐습니다.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액티브 인포 디스플레이, 파노라마 선루프, 스티어링 휠 히팅 기능, 3존 클리마트로닉, 키리스 액세스, 트렁크 이지 오픈 및 전동 클로징 등의 최신 편의 기능 또한 라인업 별로 편의 선택사용으로 적용됩니다.   아테온은 전륜 구동의 ‘2.0 TDI 엘레강스 프리미엄(Elegance Premium)’, '2.0 TDI 엘레강스 프레스티지 (Elegance Prestige)'의 2가지 라인업을 동시에 선보이며, 2개 트림에는 공통적으로 2.0 TDI 엔진과 7단 DSG 가 적용됐습니다.   1,968cc. 2.0리터 TDI 엔진은 최고 출력 190마력(3,500~4,000rpm)과 최대 토크 40.8kg.m를 갖췄으며, 특히 최대 토크는 1,900~ 3,300rpm의 넓은 실용 영역에서 발휘된다고 합니다. 정지상태에서 100km까지 도달하는데 7.7초이며, 최고속도는 239km/h. 공인연비는 15km/l(복합), 13.6km/l(도심), 17.2m/l(고속)이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25g/km.   가격은 아테온2.0 TDI 엘레강스 프리미엄이 5,216만 8천원, 2.0 TDI 엘레강스 프레스티지가 5,711만 1천원(모두 부가세 포함/개소세 인하 반영가).   폭스바겐코리아 사장 슈테판 크랍은 “아테온은 폭스바겐 역사 상 가장 아름다운 모델일 뿐 아니라 브랜드 가치를 한 단계 도약 시킬 높은 완성도를 갖춘 차”라며, “아테온은 프리미엄 가치와 실용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자에게 가장 매력적인 선택으로 티구안, 파사트에 이은 또 하나의 브랜드 베스트셀러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 (영상) BMW드라이빙센터서 행님차 740d 출고

    (영상) BMW드라이빙센터서 행님차 740d 출고

    시승기
    임재범 2018-12-05 01:22:57
    특별한 방식으로 내차(새차)를 인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딜러(매장)을 찾아가 인도 받거나, 탁송기사를 통해 대부분 인도 받았을 텐데요. BMW코리아가 영종도 BMW 드라이빙 센터에 새롭게 고객 차량 출고 공간이 마련된 것입니다. ‘BMW 딜리버리존’이라고 합니다.   ‘BMW 딜리버리존’은 BMW 차량을 특별한 방식으로 전달받기를 원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공간으로 차량 언베일링 세러모니 및 번호판을 고객이 직접 부착할 수 있고요. 차량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비롯해 트랙을 직접 달려볼 수 있습니다.   물론, 무료는 아닙니다. 45만원을 지불함과 동시에 예약제 입니다. 화요일~일요일(1회: 10:00~12:35, 2회: 13:35~15:10, 3회: 15:25~18:00)로 운영되는데요. 하루 3회만 진행되기 때문에 미리 예약하지 않으면 어렵겠죠.   직접 딜리버리존을 이용해봤습니다. 솔직히 45만원이라는 금액이 아깝다는 생각은 들지 않더군요. 그 이상의 효과와 금전적인 혜택을 봤다는 계산이 나오더라구요.   드라이빙센터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돌아가는 순간까지 특별대우(안내)를 받았었고요. 센터 시설투어(안내)를 비롯해 트랙을 전담 호스트의 자세한 안내와 함께 관람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전담 호스트의 안내를 받으며 딜리버리 전용 공간인 딜리버리 라운지에서 따뜻한 차와 함께 담소 시간과 휴식도 특별시간이었고요. 이어서 하이라이트. 언베일링.   VVIP 대우가 바로 이런거구나 싶더군요. 화려하게 양쪽 문이 열리며, 출고 세러모니 공간로 들어섰습니다.   이날 출고한 모델은 740d xDrive M퍼포먼스 패키지. BMW 차량 전문가인 BMW Genius가 7시리즈의 역사부터 차량의 주요한 기능을 알기 쉽게 설명해줬는데요. 좋은 내용이긴 했으나 살짝 긴 느낌이 있더라구요. 화려한 조명과 음향이 극적인 순간으로 이끌더니 둥글게 쌓여진 암막 커튼이 서서히 주름을 잡으며 740d가 모습을 들어냈습니다.   마치 신차발표회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한 느낌이더군요. 내 가족의 일원을 화려하게 맞이 하는 이 순간 ‘기분이 어떤 느낌일까~’싶더군요.   바로 차량 번호판을 직접 부착하고 스마트키로 차문을 처음 오픈하는 순간을 특별하게 만들어줬습니다. 한마디로 특별했습니다. 이 같은 퍼포먼스는 자동차 브랜드 역사상 처음이 아닐까 싶더군요.   이걸로 끝이 아닙니다. 바로 출고 받은 내 차를 몰고 드라이빙센터 내 트랙을 달릴 수 있었습니다. 전담 드라이버(호스트)의 안내를 받으며 740d xDrive가 가진 성능과 첨단장비를 하나하나 경험하고 설명을 들으며 몸으로 느낄 수 있는 주행까지.   이걸로 다 냐구요? 아닙니다. 연료탱크가 가득 채워져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드라이빙 프로그램 바우처 세트(Challenge+Taxi) 쿠폰과 BMW 드라이빙 센터 2층 ‘테라쎄’에서 식사 할 수 있는 10만원 쿠폰까지 제공되더군요. 솔직히 금액으로 따지기 어려운 순간이고 추억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금액으로 따진다 한들 100만원 상당의 가치가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가족 모두가 새로운 내 가족의 일원을 맞이하는 특별한 순간을 원한다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단, BMW 신차 구매 고객에 한해서 말이죠)
  • (영상) 연비좋은 플래그십세단 S400d 4매틱 롱~

    (영상) 연비좋은 플래그십세단 S400d 4매틱 롱~

    시승기
    임재범 2018-12-01 16:32:01
    럭셔리 세단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날렵한 움직임에 운전이 재밌습니다. 조용하고 정숙합니다. 여기에 운전석은 넉넉하고 포근해요. 메르세데스-벤츠의 플래그십 세단 S400d 4MATIC Long 입니다. 럭셔리 대형세단이죠.   차체길이는 롱~인데, 엠블럼에 ‘L’자가 빠졌습니다. 보이는 것과 달리 아주 재밌는 차에요. 몰아붙일수록 심장을 아주 쫀득쫀득하게 만들어줍니다. 운전의 재미를 더하면서 뒷자리 여유와 포근함은 말 그대로 S-클래스입니다.   신형 S클래스는요. 지난해(2017) 상하이 오토쇼를 통해 공개된 부분변경 모델인데요. 혁신적으로 업그레이드된 파워트레인과 ADAS 기능 강화가 포인트입니다.   직렬 6기통 엔진의 부활인데요. 메르세데스-벤츠의 직렬 6기통 엔진도 부드러운 엔진 질감과 정숙성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엔진이었습니다.  직렬 6기통은 1세대 S클래스로 불리는 W116에 쓰였었지만 1990년대 말부터 V형 6기통으로 이어져 왔습니다. 현재까지 대체됐다가 신형 S400d에 직렬 6기통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S400d 4MATIC Long'은 더 조용하고 더 부드러워졌습니다.   기존 V6 디젤 엔진도 정숙했었는데요. 이 녀석은 공회전 상태에서 기척도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차분하고 조용해졌습니다. 더 큰 변화는 반응이 빨라졌다는 점입니다. 가솔린 엔진처럼 엔진회전수가 높아졌습니다. 엔진회전수의 한계 영역을 높혔다는 얘기인데요. 레드존을 5000rpm가까이 회전시킵니다. 최고출력 340마력(@3,600-4,400rpm), 최대토크 71.4 kgm(@1,200-3,200rpm)   메르세데스-벤트는 피스톤을 더 빨리 움직이게 하기 위해, 실린더 벽면에 금속코팅  '나노 슬라이드 코팅'이 적용됐는데요. 실린더 헤드와 엔진 블록을 알루미늄으로 제작해 내부 마찰을 감소시키고 무게도 줄였습니다. 40~50%정도 마찰을 줄였다고 해요. 메르세데스-벤츠가 그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가변 밸브리프트' 기술도 적용되면서 실린더 안의 연소를 최적화해 줍니다. 엔진을 바꾼 이유가 되겠죠. 환경규제의 영향이죠.   3세대 SCR(선택적 촉매 환원)과 EGR(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통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많이 줄었다 네요. (이산화탄소 배출량 : 156g/km ) 공인연비는 복합 12.3km/L, 도심 10.7km/L, 고속 15.1km/L 1만km 타신 분 얘기를 들어봤더니, 누적연비가 13.3km/L 라더군요. 여기에 9단 자동변속기(9G-TRONIC)가 새롭게 조합됐습니다. 파워트레인만 놓고 보면 S400d 4MATIC Long의 경우는 풀 체인지에 가까울 정도의 변화라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어요.   운전대를 돌리는 느낌은 매끄럽고 산뜻해졌습니다. 이질감이 거의 없다고 보시면… 서스펜션 대부분은 알루미늄으로 제작됐고요. 뼈대와 외부 패널 등에도 알루미늄이 많이 사용됐다고 합니다.   차량 속도에 따라 차고 조절되는데요. 시속 120km 이상에서 20mm까지 낮아지고요. 방지턱이나 노면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차체를 40 mm가량 높일 수도 있습니다. 신형 S 클래스는 약 6,500개 부품 구성 요소가 개선됐다고 합니다.   새로운 엔진과 LED헤드램프, 스테레오 카메라, 시동 버튼까지 새롭게 디자인이 바뀌었습니다. 수많은 기능과 첨단장치가 더해지면서 어느 정도 적응시간이 필요하겠죠. 헤드라이트에는 84개의 LED로 구성됐다고 합니다. 디자인은 그대로 에요. 주간주행등에 3개의 라인이 있는데, S클래스는 3개 라인, E클래스는 2라인, C클래스는 1개 라인으로 구분지어 놨죠. 테일램프를 통해서 S클래스의 존재감도 살짝 느껴집니다.   특히, 상향등이 달라졌습니다. '울트라 레인지 하이빔(ULTRA RANGE High Beam)라고 하는데 최대 650m 앞까지 빛을 비춰 줘요. 거의 레이저 수준이죠. 울트라 레인지 하이빔이 작동하려면, 세가지 조건이 만족해야 됩니다. 직선도로에 전방에 차량이 없고, 속도가 40 km/h 이상인 경우 자동으로 켜지게 됩니다.   인테리어는 12.3인치 디스플레이 두 개를 나란히 붙여놓은 화면이 실내분위기를 압도해요. 클래식한 느낌에 볼륨감이 강조된 인테리어입니다. 아주 고급스러워요. 마감이며 소재 등에서 흠잡을 데가 없어요. 차 값만 1억 6500만원인데 당연히 그래야겠죠.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 좌측 버튼에 모든 메뉴를 통합시켜놨습니다. 엄지손가락 움직임으로 모든 기능을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더욱 화려해진 화면과 다양한 정보 그래픽이 아주 현대적인 느낌이 강해요. 표현력이 좋아졌습니다. 내비게이션 화면도 3D. 입체적인 느낌으로 바뀌었습니다.   계기판 홈버튼을 통해서 내가 원하는 화면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클래식(Classic)-스포티(Sporty)-프로글레시브(Progressive) 3가지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고요. 64가지 컬러의 앰비언스 라이팅(Ambience lighting)으로 실내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이번 S-클래스에는 세계 최초로 ‘에너자이징 컴포트 컨트롤(ENERGIZING Comfort Control)’기능도 적용됐는데요. 상쾌함, 따뜻함, 활력, 기쁨, 안락함, 트레이닝의 총 6가지 프로그램을 선택하면요. 음악, 온도, 마사지, 앰비언스 라이팅 등의 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작동되는데요. 10분간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준다고 해요.   '반자율주행' 장치도 적용됐습니다. 통상 ACC, LKAS라고 하고 하지만, 능동형 디스턴스 어시스트 디스트로닉(Active Distance Assist DISTRONIC)과 능동형 조향 어시스트(Active Steer Assist)라고 칭합니다. ACC는 20 – 210 km/h 내에서 작동하고요. LKAS는 60 – 200 km/h 범위에서 차선이탈을 방지하는데요. 차선 이탈이 감지되면 측면에 제동을 걸어 차선을 유지해준다고 합니다.   많은 안전 편의기능도 있지만, 스마트폰으로 S클래스를 무선 주차할 수도 있습니다. 더욱 견고하고 단단해진 신형 S클래스, S400d 4MATIC Long이었습니다.  
  • (영상) 제네시스 G90 뒷자리 리얼 평가해봤습니다

    (영상) 제네시스 G90 뒷자리 리얼 평가해봤습니다

    시승기
    임재범 2018-11-30 04:22:32
    제네시스 브랜드의 럭셔리 대형세단 G90을 짧게 시승했습니다. 플래그십 세단이니 만큼 사업가 송병윤 대표를 뒷자리(VIP시트)에 모셨는데요.   뒷자리 느낌과 승차감을 살펴봤습니다. 영상으로 확인해 볼까요.  아래 화면 클릭.     G90의 외형은 ‘수평적인 구조(Horizontal Architecture)의 실현’이 특징인데요. 차량 전체에 수평적인 캐릭터라인(자동차 차체 옆면 가운데 수평으로 그은 디자인 라인)을 적용해 안정되고 품위 있는 자세, 웅장하고 우아한 캐릭터로 완성됐다고 합니다.   다이아몬드를 빛에 비추었을 때 보이는 아름다운 난반사에서 영감을 받은 제네시스 만의 고유 패턴 ‘지-매트릭스(G-Matrix)’가 G90의 특별한 요소라고 하네요.   G90은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담고 있다고 하는데요. 명문 귀족 가문 문장 형태의 당당하고 품위 있는 크레스트 그릴과 독창성과 특별한 정체성을 부여한 쿼드램프가 시그니쳐 디자인 요소라고 합니다.   측면부는 이전과 동일한 실루엣 라인으로 표현 표현됐는데요. 지-매트릭스 패턴의 19인치 휠과 휠 중앙에서 바큇살이 퍼지는 멀티스포크 18인치 휠이 장착됐습니다. 후면부는 그릴디자인과 통일성을 갖춘 듀얼 머플러와 전면부터 후면부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가로라인이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가로 라인으로 콤비램프가 화려하게 빛을 발합니다.   전체적인 내장 인테리어는 이전과 동일한 라인을 갖췄지만, 온통 나파가죽으로 두른 도어상단과 데시보드를 비롯해 부품 하나하나의 정성과 마무리가 럭셔리 세단의 진수를 보여주는 듯 합니다. 물론 시트도 나파가죽에 지-매트릭스 패턴의 퀼팅시트입니다.    고급스런 스웨이드로 천장을 둘렀는데요. 이탈리아 다이나미카(Dinamica)사의 제품이라고 합니다. 시트 칼라와 맞춘데다 후석 목베개까지 소파드리븐 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드는 실제 천연 원목의 색상과 질감을 그대로 살린 오픈 포어 리얼우드라고 합니다.   내비게이션 지도는 소프트웨어를 무선으로 다운로드해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내비게이션 자동 무선 업데이트(OTA, Over The Air Update)’를 탑재됐고요.   차량에 기록되는 유의미한 정보로 차량 운행 습관을 분석, 배터리와 브레이크 패드 관리 등의 운전자 맞춤형 차량 관리 가이드를 제공하는 ‘지능형 차량 관리 서비스'도 갖췄습니다.   원격으로 시동을 걸거나 끄는 것은 물론 공조, 비상등 점멸, 메모리시트, 열선 조절, 창문 개폐와 시트 제어 등을 지원하는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앱’을 비롯해 재생중인 음악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운드하운드’, 카카오 인공지능 플랫폼 KAKAO i(아이)의 음성인식 서버를 활용한 ‘서버형 음성인식’ 등 첨단 IT 사양도 갖췄습니다.   내비게이션과 연계해 터널 진입 전 창문 및 공조를 자동으로 제어해주고, 국내 최초로 공기가 좋지 않은 지역을 지날 때 자동으로 내기로 전환해주는 ‘외부 공기 유입 방지 제어’ 외부기온, 차량 실내 온도, 일사량, 공조 설정 등을 종합해 열선/통풍 시트 및 스티어링 휠 열선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운전석 자동 쾌적 제어’ 외부공기 유입 차단 및 마이크로 에어 필터를 통한 실내공기 정화를 수행하는 ‘공기 청정 모드’도 탑재됐습니다.   정숙성도 더욱 좋아졌다고 합니다. 소음이 발생되면 반대 위상의 음원을 만들어 소음을 능동적으로 제거하는 신기술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ANC, Active Noise Control)’이 적용돼 특히 뒷좌석 탑승객이 느끼는 엔진 부밍 소음을 줄인다고 합니다. 19인치 휠의 경우, 차량 중량을 줄이고 내부에 첨단 용접방법을 적용한 공명 흡음 휠을 사용해 주행 중 발생하는 타이어 공명음을 약 3~4dB 저감시킨다고 하네요.   이 밖에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는 타력 주행 시 변속기를 자동으로 중립화하는 ‘지능형 코스팅 중립제어’를 이용해 실도로 연비를 2~3% 향상시켰다고 합니다.   ※모델별 복합연비 - 3.8 가솔린 : 8.9km/ℓ(18인치 2WD기준) - 3.3 터보 가솔린 : 8.8km/ℓ(18인치 2WD기준) - 5.0 가솔린 : 7.3 km/ℓ(19인치 AWD기준)   G90은 ▲‘차로 유지 보조(LFA, Lane Following Assist)’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Navigation-based Smart Cruise Control)’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RCCA, Rear Cross-traffic Collision-avoidance Assist)’ ▲‘후진 가이드 램프’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Forward Collision-Avoidance Assist)’ ▲‘안전 하차 보조(SEA, Safe Exit Assist)’ 등이 전 트림 기본 적용됐고, 동승석 무릎에어백이 추가되면서 총 10개의 에어백으로 안전성을 높혔다고 하네요.   G90은 내년 상반기부터 미국, 캐나다, 러시아, 중동 등 시장 상황에 맞춰 순차 출시할 예정이라하고요. 제네시스 SUV 3종을 2021년까지 라인업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G90은 현재 이전과 동일한 파워트레인으로 운용됩니다. ▲3.8 가솔린 ▲3.3 터보 가솔린 ▲5.0 가솔린 등 세 가지 모델인데요. 판매가격은 3.8 가솔린 모델 7,706~1억995만원, 3.3 터보 가솔린 모델 8,099~1억1,388만원, 5.0 가솔린 모델 1억1,878만원에 책정됐다고 합니다.   ※ 세부 트림별 가격 - 3.8 : ▲럭셔리 7,706만원 ▲프리미엄 럭셔리 9,179만원 ▲프레스티지 1억995만원 - 3.3T : ▲럭셔리 8,099만원 ▲프리미엄 럭셔리 9,571만원 ▲프레스티지 1억1,388만원 - 5.0 : ▲프레스티지 1억1,878만원
  • (영상) 제네시스 G90 출시 현장영상

    (영상) 제네시스 G90 출시 현장영상

    데일리 뉴스
    임재범 2018-11-27 19:29:14
    제네시스 브랜드의 럭셔리대형세단 G90가 27일 오전 서울 신라호텔에서 세계최초 출시를 알리고, 판매에 돌입했습니다.   G90은 2015년 제네시스 브랜드가 선보인 플래그십 대형세단 EQ900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인데요. 얼굴변경인 만큼 얼굴과 후면디자인이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먼저 가격부터 볼게요. G90은 현재 이전과 동일한 파워트레인으로 운용됩니다. ▲3.8 가솔린 ▲3.3 터보 가솔린 ▲5.0 가솔린 등 세 가지 모델인데요. 판매가격은 3.8 가솔린 모델 7,706~1억995만원, 3.3 터보 가솔린 모델 8,099~1억1,388만원, 5.0 가솔린 모델 1억1,878만원에 책정됐다고 합니다.   ※ 세부 트림별 가격 - 3.8 : ▲럭셔리 7,706만원 ▲프리미엄 럭셔리 9,179만원 ▲프레스티지 1억995만원 - 3.3T : ▲럭셔리 8,099만원 ▲프리미엄 럭셔리 9,571만원 ▲프레스티지 1억1,388만원 - 5.0 : ▲프레스티지 1억1,878만원   G90의 외형은 ‘수평적인 구조(Horizontal Architecture)의 실현’이 특징인데요. 차량 전체에 수평적인 캐릭터라인(자동차 차체 옆면 가운데 수평으로 그은 디자인 라인)을 적용해 안정되고 품위 있는 자세, 웅장하고 우아한 캐릭터로 완성됐다고 합니다.   다이아몬드를 빛에 비추었을 때 보이는 아름다운 난반사에서 영감을 받은 제네시스만의 고유 패턴 ‘지-매트릭스(G-Matrix)’가 G90의 특별한 요소라고 하네요.   G90은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담고 있다고 하는데요. 명문 귀족 가문 문장 형태의 당당하고 품위 있는 크레스트 그릴과 독창성과 특별한 정체성을 부여한 쿼드램프가 시그니쳐 디자인 요소라고 합니다.   측면부는 이전과 동일한 실루엣 라인으로 표현 표현됐는데요. 지-매트릭스 패턴의 19인치 휠과 휠 중앙에서 바큇살이 퍼지는 멀티스포크 18인치 휠이 장착됐습니다. 후면부는 그릴디자인과 통일성을 갖춘 듀얼 머플러와 전면부터 후면부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가로라인이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가로 라인으로 콤비램프가 화려하게 빛을 발합니다.   전체적인 내장 인테리어는 이전과 동일한 라인을 갖췄지만, 온통 나파가죽으로 두른 도어상단과 데시보드를 비롯해 부품 하나하나의 정성과 마무리가 럭셔리 세단의 진수를 보여주는 듯 합니다. 물론 시트도 나파가죽에 지-매트릭스 패턴의 퀼팅시트입니다.    고급스런 스웨이드로 천장을 둘렀는데요. 이탈리아 다이나미카(Dinamica)사의 제품이라고 합니다. 시트 칼라와 맞춘데다 후석 목베개까지 소파드리븐 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드는 실제 천연 원목의 색상과 질감을 그대로 살린 오픈 포어 리얼우드라고 합니다.   내비게이션 지도는 소프트웨어를 무선으로 다운로드해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내비게이션 자동 무선 업데이트(OTA, Over The Air Update)’를 탑재됐고요.   차량에 기록되는 유의미한 정보로 차량 운행 습관을 분석, 배터리와 브레이크 패드 관리 등의 운전자 맞춤형 차량 관리 가이드를 제공하는 ‘지능형 차량 관리 서비스'도 갖췄습니다.   원격으로 시동을 걸거나 끄는 것은 물론 공조, 비상등 점멸, 메모리시트, 열선 조절, 창문 개폐와 시트 제어 등을 지원하는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앱’을 비롯해 재생중인 음악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운드하운드’, 카카오 인공지능 플랫폼 KAKAO i(아이)의 음성인식 서버를 활용한 ‘서버형 음성인식’ 등 첨단 IT 사양도 갖췄습니다.   내비게이션과 연계해 터널 진입 전 창문 및 공조를 자동으로 제어해주고, 국내 최초로 공기가 좋지 않은 지역을 지날 때 자동으로 내기로 전환해주는 ‘외부 공기 유입 방지 제어’ 외부기온, 차량 실내 온도, 일사량, 공조 설정 등을 종합해 열선/통풍 시트 및 스티어링 휠 열선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운전석 자동 쾌적 제어’ 외부공기 유입 차단 및 마이크로 에어 필터를 통한 실내공기 정화를 수행하는 ‘공기 청정 모드’도 탑재됐습니다.   정숙성도 더욱 좋아졌다고 합니다. 소음이 발생되면 반대 위상의 음원을 만들어 소음을 능동적으로 제거하는 신기술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ANC, Active Noise Control)’이 적용돼 특히 뒷좌석 탑승객이 느끼는 엔진 부밍 소음을 줄인다고 합니다. 19인치 휠의 경우, 차량 중량을 줄이고 내부에 첨단 용접방법을 적용한 공명 흡음 휠을 사용해 주행 중 발생하는 타이어 공명음을 약 3~4dB 저감시킨다고 하네요.   이 밖에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는 타력 주행 시 변속기를 자동으로 중립화하는 ‘지능형 코스팅 중립제어’를 이용해 실도로 연비를 2~3% 향상시켰다고 합니다.   ※모델별 복합연비 - 3.8 가솔린 : 8.9km/ℓ(18인치 2WD기준) - 3.3 터보 가솔린 : 8.8km/ℓ(18인치 2WD기준) - 5.0 가솔린 : 7.3 km/ℓ(19인치 AWD기준)   G90은 ▲‘차로 유지 보조(LFA, Lane Following Assist)’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Navigation-based Smart Cruise Control)’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RCCA, Rear Cross-traffic Collision-avoidance Assist)’ ▲‘후진 가이드 램프’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Forward Collision-Avoidance Assist)’ ▲‘안전 하차 보조(SEA, Safe Exit Assist)’ 등이 전 트림 기본 적용됐고, 동승석 무릎에어백이 추가되면서 총 10개의 에어백으로 안전성을 높혔다고 하네요.   G90은 내년 상반기부터 미국, 캐나다, 러시아, 중동 등 시장 상황에 맞춰 순차 출시할 예정이라하고요. 제네시스 SUV 3종을 2021년까지 라인업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영상) 4세대 BMW X5 M50d 둘러봤습니다

    (영상) 4세대 BMW X5 M50d 둘러봤습니다

    신차
    임재범 2018-11-24 16:37:01
    전세계에 X5가 무려 220 만대 이상 판매된 자동차라고 합니다. 현재단 3번의 진화를 감안하면 인상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종도 BMW드라이빙센터에서 4세대로 진화한 신형 X5(BMW G05 X5)와 대면했습니다.   그것도 M. 때깔 좋은 파란 옷을 입은 X5 M50d 였습니다.   그동안 사진으로 봐였던 모습과 사뭇 다른 존재감을 보여주더군요. 날렵하고 공격적인데다 멋 떨어진 얼굴이었습니다.   가장 큰 변화는 아래로 확대된 키드니 그릴. 범퍼까지 삼켜버린 큼지막한 그릴이 공격적입니다.     계기판도 완전히 새롭게 탈바꿈 됐는데요. 화려한 그래픽에 X5 M50d의 모든 정보를 단순화 시켜 보여줍니다.   데시보드 레이아웃은 BMW 패밀리룩을 이어가지만 센터페시아 상단 디스플레이는 12.3인치로 확대 됐습니다.   기어봉은크리스탈로 화려해졌고요.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블랙하이그로시로고급감을 표현했네요.   엔진은 직렬 6기통 3.0리터 디젤심장에 쿼드터보(네개의터보)가 적용됐는데요. 무려 400마력의 최고출력에 최대토크는 77.5kgm에 이릅니다. 변속기는 8단 자동변속기와 조화를 이뤘고요. 시속 100km 도달하는데 5.2초면 충분합니다.   적외선 카메라도 적용됐습니다. HUD는 심지어 스포츠 모드에 들어갈 때 더 화려한 디자인으로 바뀝니다.   에어서스펜션 적용으로 차고 높이 조절 가능합니다.  
  • (영상) 람보르기니 슈퍼 SUV 우루스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아벤타도르 SVJ 공개

    (영상) 람보르기니 슈퍼 SUV 우루스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아벤타도르 SVJ 공개

    신차
    임재범 2018-11-24 03:26:42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가 ‘람보르기니 데이 서울 2018(Lamborghini Day Seoul 2018)’을 열고, 세계 최초의 슈퍼 SUV 모델인 ‘우루스(Urus)’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양산차인 ‘아벤타도르 SVJ(Aventador SVJ)’를 국내 최초로 공개했습니다.   람보르기니 우루스와 아벤타도르 SVJ는 내년 상반기 중 국내 출시 예정이라고 합니다.   세계 최초의 슈퍼 SUV 모델인 ‘람보르기니 우루스’는 강력함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갖춰 운전자는 물론 동승자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슈퍼 스포츠카의 역동성을 갖췄는데요. 도심에서의 일상적인 드라이빙부터 장거리 여행시에는 최상의 편안함을, 도로와 트랙 모두에서 슈퍼 스포츠카의 짜릿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고 합니다. 나아가 어떠한 주행 환경에서도 다재다능한 오프로드 역량을 발휘한다고 하네요.   람보르기니가 전통적으로 가장 빠른 모델에 붙이는 ‘SV(슈퍼벨로체(superveloce), 초고속의)’라는 약어에 ‘극소수의’, ‘희소한’을 뜻하는 ‘요타(jota)’의 앞 글자를 더한 새로운 ‘아벤타도르 SVJ’.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아벤타도르 SVJ는 우월한 트랙 성능을 자랑합니다. 이미 20.6km의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Nürburgring-Nordschleife) 양산차 랩타입을 6분 44.97초에 주파하며 신기록을 경신한 바 있습니다. 아벤타도르 SVJ는 전 세계 900대만 한정 생산된다고 하네요.   페데리코 포스치니(Federico Foschini)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영업•서비스 최고책임자(Chief Commercial Officer)는 “람보르기니는 우리 스스로를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고급스러움(informal luxury), 미래를 만들어가는(future shapers), 그리고 경험을 디자인하는(designers of experiences) 브랜드로 정의한다”면서, “동급 최고의 제품과 인상적인 활동들을 통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영감을 줌으로써 람보르기니 만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꾸준히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고요.   마테오 오르텐지(Matteo Ortenzi)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아태지역 총괄은 “한국은 슈퍼카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고객 경험 강화,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의 브랜드 위상을 더욱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람보르기니 DNA 고스란히 담은 슈퍼 SUV ‘우루스’   람보르기니 우루스는 강력한 힘과 뛰어난 주행 성능, 유래 없는 디자인, 여기에 고급스러움과 일상의 유용성까지 모두 갖춰 럭셔리 세그먼트 내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스포티한 혹은 우아한 감성을 연출하며, 일상에서 고품격 드라이빙 경험을 선사한다.   우루스는 4.0리터 8기통 트윈터보 알루미늄 엔진을 차량 앞쪽에 배치했다. 람보르기니 차량에 트윈터보 엔진이 탑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고출력 650마력(hp)/6,000rpm의 강력한 힘을 발휘하며, 최대 분당 회전수는 6,800rpm, 그리고 2,250rpm에서 850Nm의 최대토크를 내뿜는다. 리터당 162.7마력을 자랑하는 우루스는 동급 최고 수준의 파워를 자랑하며, 마력당 무게비 역시 3.38kg/hp로 동급 최고 수준이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h에 이르는 데 3.6초가 소요되며 최고속도는 305km/h이다. 시속 100km/h에서 정지 상태까지 제동거리는 33.7m로, 뛰어난 주행 성능에 걸맞은 브레이킹 성능까지 갖췄다.   우루스는 8단 자동변속기와 사륜구동 시스템을 적용, 어떤 기후와 노면 조건에서도 안정적이고 반응력 높은 드라이빙을 제공한다. 도심 속 일상적인 드라이빙부터 장거리 여행시에는 최상의 편안함을, 도로와 트랙에서 슈퍼 스포츠카의 스릴 넘치는 퍼포먼스를 선사한다. 나아가 모든 오프로드 환경에서 다재다능한 주행 능력을 발휘한다.   우루스는 람보르기니 역사를 대표하는 슈퍼 스포츠카의 디자인 요소를 갖추고 있는데, 특유의 2:1 바디 대 윈도우 비율이 적용되어 뛰어난 균형감을 자랑한다. 여기에 짧은 길이의 전면 돌출부는 우루스의 강인함과 역학적 특성, 위엄 있는 존재감을 연출한다. 다섯 명까지 탑승 가능하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양산차, 람보르기니 12기통 슈퍼 스포츠카의 정점 ‘아벤타도르 SVJ’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SVJ는 람보르기니의 슈퍼 스포츠카 라인업 중에서 기술의 정점을 이룬 혁신적인 모델이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양산형 차량으로 탄탄한 주행 성능과 뛰어난 에어로다이내믹 특성이 담긴 아벤타도르 SVJ는 슈퍼 스포츠카의 가능성을 한 단계 위로 끌어올렸다.   아벤타도르 SVJ는 현존하는 람보르기니 12기통 엔진 장착 모델 중 가장 강력한 시리즈로, 최고출력 770마력(hp)/8,500rpm, 그리고 6,750rpm에서 최대토크 720Nm의 엄청난 성능을 발휘한다. 공차중량이 1,525kg에 불과해 1.98kg/hp의 마력당 무게비를 제공한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h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단 2.8초. 최고속도는 350km/h 이상이고, 시속 100km/h에서 정지 상태에 이르는 제동거리는 30m에 불과하다.   아벤타도르 SVJ는 수치적인 성능의 우월성 외에도, 디자인과 에어로다이내믹 기술, 효율성, 성능 측면에서의 본질과 개발 철학에 있어 운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는 완벽한 차량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   아벤타도르 SVJ에는 한층 강화된 파워트레인이 적용했다. 새로운 형태의 흡기 러너가 적용된 신규 티타늄 흡기 밸브, 그리고 보다 높은 플로우 계수를 위해 개선된 흡기 실린더 헤드 덕트가 특징이다. 여기에, 새롭고 가벼워진 배기 시스템은 배압을 줄이고 가장 매력적인 배기음으로 감성을 자극한다. 변속기는 7단 독립 시프팅 로드(ISR) 기어박스와 결합, 출력과 토크 모든 측면에서 차량의 향상된 성능을 위해 조정되었다.     아벤타도르 SVJ의 모든 요소에는 에어로다이내믹 특성이 반영되었다. 기존 아벤타도르 S 대비 외부 디자인이 크게 개선됐으며, 아벤타도르 SV와 비교해 두 개 차축의 다운포스가 40% 향상되었다.   차량 전면부는 한층 확장됐고, 람보르기니의 액티브 에어로다이내믹 특허기술인 ALA(Aerodinamica Lamborghini Attiva) 시스템이 적용됐다. 우라칸 퍼포만테(Huracán Performante)에 처음 적용된 ALA 시스템은 아벤타도르 SVJ를 위해 2.0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최적화된 공기 흡입구 및 에어로 채널 디자인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아벤타도르 SVJ는 극한의 도로와 트랙에서 운전자와 차량 사이의 유대감을 극대화하고 가장 만족스러운 경험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된 운전자 중심의 모델이다. 국내 판매 가격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답니다. 글로벌 판매가격은 우루스가 2억원대, 아벤타도르 SVJ가 6억원대부터 시작된다고 하네요.
  • [위장막_영상] 국내출시 앞둔 BMW 3시리즈, Z4, X7, 8시리즈

    스파이샷
    임재범 2018-11-23 03:27:47
    국내출시 앞둔 BMW 신형 3시리즈와 로드스터 Z4, 플레그십 대형 SUV X7 위장막 모델과 럭셔리 스포츠쿠페 8시리즈를 영상으로 소개 합니다. 
  • (위장막 영상) 현대차 팰리세이드 스웨덴 눈길테스트 현장

    (위장막 영상) 현대차 팰리세이드 스웨덴 눈길테스트 현장

    스파이샷
    임재범 2018-11-22 01:59:50
    현대자동차는 곧 출시될 대형 SUV, 팰리세이드(palisade)에 새롭게 장착될 '스노우 모드' 실험 영상을 자사 미디어 채널인 HMG TV와 공식 SNS를 통해 20일 공개했다. 팰리세이드는 현대자동차 SUV 중 크기가 가장 큰 플래그십이다.   성능 테스트는 북극권에 근접한 스웨덴 북부의 소도시 아르예플로그(Arjeplog)에서 진행됐다. 이 곳은 겨울에 최저 영하 40도까지 내려가는 혹한지역으로 눈길과 빙판 언덕 등 자동차 주행에 가혹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스노우 모드는 이런 환경에서도 주행이 가능하도록 각 휠의 구동력을 신속하게 제어한다.   영상에 등장하는 차량은 11월 말 공개될 예정인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대형 SUV 팰리세이드로 국산 SUV 최초로 스노우 모드가 적용된다.   스노우 모드는 4개의 바퀴 중 일부가 눈길에서 헛돌거나, 공중에 떴을 때 상대적으로 접지력이 높은 나머지 바퀴에 동력을 집중시켜 험로 탈출을 도와주는 기능이다.   영상에서는 항시 4륜 구동(AWD, All Wheel Drive) 상태로 눈길을 주행하던 팰리세이드의 왼쪽 뒷바퀴가 공중에 떠서 헛도는 상황이 연출되는데, 차량 센서가 0.02초 만에 이를 인식하고 구동력 제어가 시작된다.   제어 과정은 우선 전륜의 구동력 일부를 후륜으로 이동시키고, 이는 다시 접지력이 양호한 바퀴로 신속하게 전달돼 일반 항시 4륜 구동(AWD)으로는 탈출하기 힘든 상황을 헤쳐 나오게 된다.   이 같은 현대자동차의 스노우 모드는 항시 4륜 구동(AWD)의 구동력 배분과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엔진 토크 및 응답성 제어, 자동변속기 제어장치(TCU, Transmission Control Unit)의 변속패턴 제어, 전자식 주행 안정화 컨트롤(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제동 제어 등 네 가지 기술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작동한다.   현대자동차는 2년 동안 겨울철마다 연구원들을 아르예플로그로 파견해 다양한 노면에서 6천 km가 넘는 테스트 주행 과정을 거쳐 최적의 제어 로직을 개발했다.   현대자동차는 이 같은 ‘지능형 지형 반응 시스템’을 통해 고객들이 대형 SUV로 다양한 환경에서 레저나 캠핑 등 아웃도어 활동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팰리세이드는 11월 28일(현지시간) 미국 LA오토쇼에서 전세계 최초로 공개될 예정이며, 곧이어 국내 고객을 위한 사전계약 접수를 시작한다.   현대자동차가 새롭게 선보이는 팰리세이드는 운전석에서부터 3열 승객석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간에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Intuitive Usability Experience)을 기반으로 개발된 디자인과 패키지, 안전·편의 기술을 적용해 대형 SUV시장에 새로운 기준과 가치를 제시할 예정이다.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LATEST ARTICLE

  • 현대모비스 스마트 카드키…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모든 브랜드 차량에 적용된다!
    데일리 뉴스

    현대모비스 스마트 카드키…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모든 브랜드 차량에 적용된다!

    임재범 2025-05-02 00:57:20
  • 58만km를 달린 아이오닉 5, 배터리 상태 점검해 보니
    데일리 뉴스

    58만km를 달린 아이오닉 5, 배터리 상태 점검해 보니

    서울-부산 720회 이상 왕복한 거리 잔존수명 87.7% 유지
    임재범 2025-05-02 00:47:53
  • 폴스타4 듀얼모터 시승기. 544마력 3.8초
    데일리 뉴스

    폴스타4 듀얼모터 시승기. 544마력 3.8초

    임재범 2025-04-27 18:44:41
  • 하만(HARMAN)이 만들어가는 미래자동차 전장 기술력
    데일리 뉴스

    하만(HARMAN)이 만들어가는 미래자동차 전장 기술력

    임재범 2025-04-27 18:26:04
  • 스파이더카? 55도 벽타는 차. BMW 고성능 시험 전기차 노이어 클라쎄 상하이에서
    데일리 뉴스

    스파이더카? 55도 벽타는 차. BMW 고성능 시험 전기차 노이어 클라쎄 상하이에서

    초고속 중앙 컴퓨터 ‘Heart of Joy’ 통해 미래 BMW 모델의 주행 역학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예정
    임재범 2025-04-27 11:38:48
  • 카리포트 | 등록일자: 2022년 6월 30일 | 등록번호 : 경기, 아53313 | 발행, 편집인: 임재범 | 청소년보호책임자: 임재범
  • 발행소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읍내로 25 107-1203 | 대표전화: 031-818-2168
  • Contact us : happyyjb@naver.com
  • POWERED BY K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