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시승기] 저중심 TNGA 플랫폼, 뉴 캠리 하이브리드 타보니

임재범 기자 발행일 2017-10-25 00:09:30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TV리포트(카리포트)=임재범 기자]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이번 시승을 통해 ‘보다 좋은 차 만들기’를 위한 토요타 혁신 ‘TNGA’를 엿볼 수 있었다. 무게중심을 골고루 낮추고, 보다 강한데다 미끄러지듯 차분한 주행성능으로 향상됐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처음부터 다시 만들었다’는 토요타의 말처럼 외형과 내부, 구조 설계부터 완전히 달라진 신차 캠리다. 8세대 뉴 캠리는 이전모델 대비 바닥높이를 20㎜ 낮춤과 동시에 차고는 25㎜ 낮아진 1,455㎜다. 엔진 후드도 40㎜ 내림으로써 더욱 낮아진 실루엣을 그린다. 앞좌석과 뒷좌석 시트 높이도 낮췄다. 각각 22㎜와 30㎜ 낮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시트자세와 승차감으로 승화됐다. 하이브리드 배터리 위치도 2열과 트렁크 사이에서 2열시트 아래로 위치이동하며 저중심으로 설계됐다. 뿐만 아니라 차체길이는 30㎜ 길어지고 휠베이스는 50㎜ 늘리며 각각 4,880㎜와 2,825㎜로 준대형 세단 수준의 실내공간으로 확대됐다. ‘와일드(Wild)’ 캠리라는 수식어처럼 전폭도 20㎜ 넓힌 1,840㎜로 디자인되며 보다 날렵하고 스포티한 외형을 뽐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토요타 코리아 측은 “새롭게 설계된 바디구조와 고장력 강판, 구조용 접착제, 레이저 용접 공법을 적용해 차체 비틀림 강성이 30% 향상됐다”며 “소음과 진동 차단을 위해 방음재 두께와 면적을 최대화하고, 바닥면적 93%에 흡음재를 사용했으며, 새롭게 엔진 마운트를 배치해 진동을 최소화 했다”고 ‘N.V.H (noise, vibration, harshness) 차단 극대화’를 강조했다.

신차 캠리 경험은 24일 ‘뉴 캠리 미디어 시승회’를 통해서다. 서울 잠실을 출발해 가평까지 왕복 100㎞ 거리를 달렸다. 고속도로와 와인딩 시승구간에서 뉴 캠리의 진가를 경험했다.

전체적인 느낌은 아주 부드럽고 매끄러웠다. TNGT 혁신과 전기모터가 더해진 하이브리드 차량만의 빠른 반응이 아스팔트를 밀어내기 때문이다.

롯데월드몰 지하 3층 주차장을 전기모터 구동만으로 슬금슬금 빠져 나왔다. 엔진보다 전기모터 구동 개입에 비중을 많이 둔 이유다. 그만큼 화석연료를 태우지 않고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함이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풀가속 테스트를 위해 엔진 슬로틀을 활짝 열었다. 전기모터의 발진력에 이어 전기모터 눈치 볼 겨를도 없이 엔진을 깨웠다. CVT(무단변속기) 특성상 타코미터는 레드존인 5,700rpm을 유지하며 속도계바늘을 가차없이 회전시켰다. 2.5리터 직렬 4기통 가솔린심장의 울음소리(엔진음)가 여과없이 실내로 유입됐다. 바닥에서 올라오는 소음은 적절한 하체방음으로 차단됐다. 하이브리드 세단으로 풀가속 할 상황이 그리 많지는 않겠지만, ‘엔진룸 격벽에도 흡음재를 아끼지 않았으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일상적인 주행환경에서는 부드럽고 정숙할 뿐이다.

하이브리드 모델과 달리 가솔린모델에는 동력성능과 열효율을 높인 2.5리터 D-4S(다이나믹 포스) 엔진을 품었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211마력의 시스템 총출력은 고속도로에서의 급가속과 와인딩 구간을 빠져나가면서 넘치는 추진력을 경험할 수 있었다. 1.9톤(공차중량 1,980㎏)이 넘는 몸무게를 가볍게 만들뿐이다.

정지상태에서 급 출발해보면, 0rpm부터 발생되는 120마력의 전기모터출력에 이어 3,600~5,200rpm 구간에서 밀어붙이는 22.5㎏m의 최대토크와 5,700rpm에서 발휘되는 178마력의 엔진출력으로 차체를 가차없이 몰아간다. 초반 가속부터 발생되는 전기모터 출력과 엔진이 발휘하는 출력이 그래프 상에서 만나는 접점이 211마력이라는 총 시스템출력 수치다. 경쾌하고 매끄러운 가속으로 다듬어졌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주행모드는 에코(ECO)-노멀(Normal)-스포츠(SPORT)로 나눠놨다. 에코모드에서 작동되는 타력주행 효과 ‘오토 글라이드 컨트롤(AGC)’은 토요타 최초로 적용됐다.

뉴 캠리는 이전 캠리와는 확연히 달라진 가속력과 연비를 인증 받았다. 복합연비는 16.7km/L(도심 17.1km/L, 고속도로 16.2km/L)로 1등급 연비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멀리서도 뉴 캠리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강렬한 얼굴이다. 토요타의 ‘KEEN LOOK’ 디자인 컨셉이 진화해 캠리 만의 개성적인 스타일로 변신했다.

큼직한 라디에이터 그릴과 함께 에어로 다이내믹한 스타일로 에지를 준 범퍼, 전·후면 풀LED 적용으로 전방을 LED 빛으로 환하게 밝히는데다 독특한 LED 주간주행등으로 뉴 캠리 만의 존재감을 과시한다.

엔진룸으로 유입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주행성능을 강조한 ‘그릴셔터’도 잊지 않았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후면 LED 콤비네이션램프와 스타일은 상급 모델인 아발론을 연상시킨다. 특히, 헤밍공법을 사용해 휠아치 끝단까지 타이어를 위치시켜 뉴 캠리를 바라보는 앞 뒤 모습에서 안정된 자세다. 휠은 18인치다.

인테리어는 운전석과 동반석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레이아웃으로 나눠놨다. 8인치 터치스크린을 품은 센터페시아 라인은 마치 모래시계를 연상시킨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도어트림, 암레스트 등 신체가 닿는 부위에 가죽의 감촉을 재현한 소프트 패드, 실내 곳곳에 새틴 크롬 도금을 적용해 고급스러움을 돋궜다.

시트는 골반각도까지 고려한 설계로 신체를 편안하게 받쳐준다. 뒷좌석 시트도 낮고 넓게 디자인돼 편안함이 있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강조할 부분은 전방위 확트인 개방감이다. 낮아진 시트포지션을 비롯해 낮아진 좌우 창과 C필러를 밖으로 늘리고 후면 유리는 C필러 안쪽까지 파고 들었다.

이로 인해 룸미러에 비치는 후면 시야가 보다 넓어졌다. 또한 사이드미러가 도어 상단 철판에 설계되면서 가려졌던 A필러 시야가 확보됐고, 이를 통해 풍절음도 줄이는 효과를 줬다.

스티어링 휠의 감촉은 천연가죽으로 둘러서 관리 받은 피부처럼 매끄럽다. 차선이탈방지(LKAS)기능이 제외된 반자율 주행 스위치는 스티어링 휠에 위치시켜 편의성을 높였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뉴 캠리에 적용된 4가지 예방 안전기술(TSS, TOYOTA SAFETY SENSE)로 구성된 반자율주행 기능은 차선이탈을 경고하는 ‘차선이탈경고(LDA)’, 전방 차량을 감지하며 속도를 알아서 조절하는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DRCC)’, 야간주행 시 전방시야 확보를 위한 ‘오토매틱 하이빔(AHB)’, 전방 충돌 감지 시 제동력이 작동되는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PCS)’ 등이 주행안전을 보조한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이밖에 10개의 SRS 에어백,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EPB)와 오토 홀드, 힐스타트 어시스트 컨트롤(HAC)를 비롯해 3개의 USB 충전단자, 9개의 스피커로 구성된 JBL 오디오 시스템 등으로 탑승자를 배려했다.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 가격(부가세 포함)은 4,250만원이다. (가솔린모델은 3,590만원)

여덟번 진화를 통해 탄생한 토요타 ‘뉴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을 경험했다. 첨단을 달리는 자동차 기술력에 발맞춰 기본기를 더욱 충실하게 다진 ‘뉴 캠리’ 평가해본다.


happyyjb@naver.com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