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포트(카리포트)=임재범 기자] 100% 전기만으로 움직이는 순수전기자동차다. 엔진과 배기구가 없고 (기어를 변속하는)미션이 필요가 없는 차량이다. 환경오염의 주원인인 배기가스를 전혀 발생하지 않는 ‘미래 이동수단’으로 여겼었던 전기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차가 이제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충전소와 주행거리로 걱정을 동반한 스트레스도 있었지만 이쁘장하고 깜찍하게 생긴 BMW 순수전기차 i3를 시승했다.
차체크기는 전장 3999㎜, 전폭 1775㎜, 전고 1578㎜. 한눈에 봐도 BMW브랜드라는걸 알아 볼 수 있을 정도로 아이덴티티로 적절하게 잘 녹여놓은 디자인으로 표현됐다.
언뜻 보면 3도어로 보이지만 5도어다. 롤스로이스 세단처럼 뒷문은 앞문을 열어야 열 수 있는 코치도어방식인데 기둥이 없어서 활용성이 높다.
시트에 앉으면 스칸디나비아 풍의 잘 정돈된 거실 인테리어가 연상될 정도로 깔끔하고 새롭다. 재생플라스틱과 천연가죽, 질 좋은 원목들로 잘 꾸민 작업실이 연상되기도 한다.
깊숙하고 넓은 데시보드와 더불어 넓은 전면유리는 개방감이 좋다.
계기판은 6.5인치 모니터가 대신한다. 내비게이션과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보여주는 큼직한 8.5인치 와이드 디스플레이는 태블릿PC처럼 데시보드 상단 공중에 걸려있다. 터치식은 아니라 아쉬운점은 있지만 여느 BMW의 차량처럼 i드라이브 다이얼로 컨트롤 할 수 있다.
i3 시동버튼을 눌러봐야 계기판 화면이 화려할 뿐 차체의 변화는 아무것도 느낄 수 없다. 진동뿐만이 아니라 소음이 전혀 없다. 귀 기울여 집중해보면 전기음만이 들릴 뿐이다.
노면과 마찰면적이 작은 만큼 노면소음은 거의 들리지 않는다. 속도가 올라갈수록 사이드미러를 스치는 풍절음이 오히려 크게 들려오는 편이다. 아마 너무나 조용해서 이같은 작은 소음도 크게 와 닿는게 아닐까 싶다.
i3는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배터리는 차체 바닥에 96개의 배터리 셀이 촘촘하게 나열됐다. 손상된 셀만 교체 할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고 한다. 여기에 50:50 무게 배분으로 직진성은 물론 굽어진 코너도 이리저리 맛깔 난 민첩성이 놀라웠다.
차체는 강철보다 단단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초경량 소재인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으로 만들어놨다. 드라이브 모듈 또한 대부분 알루미늄으로 적용됐다. 이로 인해 무게(공차중량)는 1.3톤에 불과한데다 무게중심이 아주 낮다. 현재 출시된 전기자동차 중에 가장 가벼운 수치일거다.
i3는 생산면에서도 자원재활용 측면에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독일 라이프치히(Leipzig) 공장에서 풍력발전으로 생산된 재생가능 자원으로 i3를 제작하고 미국 모세 레이크(Moses Lake)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탄소섬유 역시 100% 수력발전을 통해 생산된다.
친환경 차량에 노면 마찰을 줄여 많은 거리를 굴러가야 하기에 구름저항타이어가 적용됐다. 타이어 폭은 좁지만 거대한 휠이 i3의 버팀목 역할을 한다.
트렁크 하단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통해 후륜에서 최대 25.5㎏m 토크와 170마력의 최고출력의 힘으로 차체를 거침없이 질주한다. 정지상태에서 100㎞/h까지 도달하는 데 7.2초면 충분하다. 가속하면 밟는 만큼 정확히 힘을 내고 질주한다. 부드럽게 이어지는 시원시원한 가속력에 몸놀림은 가볍고 재빠르다.
전기차는 전기모터 특성상 저속에서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마치 슈퍼카에 가까운 초반 가속력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조용하다.
변속기와 시동버튼은 스티어링 휠 뒤쪽에 통합 배치되어 있다. 통상 적용되는 D모드와 R모드가 위아래 반대로 적용되어 있어서 자칫 엉뚱한 방향으로 튕겨져 나갈 수 있으니 조심할 필요가 있어 보였다.
주행 중 아쉬운 부분은 타력주행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는 순간 브레이크 페달을 살짝 밟은 느낌으로 속도계 수치가 떨어진다. 이는 에너지 재생모드가 활성화되고 배터리로 충전과 동시에 제동 시키지만 타력으로 주행거리를 늘릴 수는 없다. 물론 D모드로 속도를 높인 다음 N(중립)모드로 변환하면 타력주행이 가능하긴 하지만 안전상 권하고 싶진 않다. 배터리 완충 시 제원상 주행가능거리가 132㎞로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 달려본 결과 100㎞ 주행(컴포트 모드 시)은 어려워 보였다.
주행모드를 에코프로+(ECO PRO+) 모드로 변경하면 100㎞ 이상으로 주행거리는 늘어난다.
전기차 급속 충전방식은 ‘DC 콤보’와 ‘차데모(CHAdeMO)’, ‘AC 3상’ 등 3가지 방식이 있다.
DC 콤보 방식은 저속 충전용 AC 모듈과 급속 충전용 DC 모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나의 충전구에 완속부와 급속부가 위아래로 배치돼 있다. 이 방식은 DC와 AC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공간활용, 커넥터의 통합 등의 이점이 있다. 주로 미국과 유럽의 자동차 회사들이 채택한 방식인데 현재 국내에서는 BMW i3와 쉐보레 스파크EV가 적용됐다.
차데모(CHAdeMO)는 일본 도쿄전력이 개발한 기술이다. 저속 충전용 AC 충전구 급속 충전용 DC 충전구 따로 분리돼 있다. 충전기와 자동차는 유선으로 통신을 주고 받아, 전파 간섭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닛산 리프와 기아 레이EV, 쏘울EV 등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된 충전방식이라는 이점을 갖고 있다.
AC 3상(교류 3상) 방식은 프랑스 르노의 교류 충전방식이다. 별도의 DC변환 어댑터가 필요 없고, 기존의 DC 충전방식에 비해 충전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현재 운용중인 르노삼성 SM3 Z.E 택시가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i3는 타입(Type) 1 방식의 완속충전으로 100% 충전하는 데 3시간이상이 소요된다. 아직 국내에는 급속충전소(타입 1 콤보(Type 1 Combo) 방식)가 전무하다. 급속은 80% 충전까지 30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i월박스(Wallbox) 가정용 충전기의 경우도 3시간이상이면 충전이 가능하다. 별도로 220V 전압을 사용해 비상용 충전기를 사용하면 완전 충전까지는 8~10시간가량 소요된다.
배터리를 가득 충전하고 나오는 순간부터 다음 충전소와 주행할 거리를 계산하는데 머리를 굴려야된다. 운전하는 내내 주행거리를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에서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전기차만의 독특한 가속력을 즐기다보면 수치로 보여지는 주행가능거리에 애간장을 타게 만든다.
시속 100㎞로 고속주행 할 경우 달리는 시간보다 충전하는 시간이 몇 배는 더 투자해야 된다는 문제점 해결이 급하다. 쉽게 접할 수 있을 전기차 보급을 위해서는 충전소 인프라구축이 시급한 문제이고 배터리 용량(성능)을 높여 주행거리를 늘이는 기술도 전기차 상용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풀어야 될 과제다.
성능은 우수하지만 보편화를 위해선 아직 풀어야 될 숙제가 많은 차량으로 보인다.
가격은 i3 룩스(LUX)가 5750만원, 솔(SOL)이 6340만원 그리고 i3 비스(VIS)는 6840만원(VAT 포함)이다.
happyyjb@tvrepor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