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포트
  • BMW 20241127
  • 데일리 뉴스
  • 시승기
  • 신차
  • 모터쇼
  • 모터사이클
  • 모터스포츠
  • 레이싱 모델
  • 스파이샷
  • 여행/맛집
  • 칼럼
  • 다 가졌다. 신형 모닝 가격분석. 경차맞아?

    다 가졌다. 신형 모닝 가격분석. 경차맞아?

    데일리 뉴스
    임재범 2020-05-13 02:31:12
    https://youtu.be/pEUtHcOYjl8   기아자동차가 12일(화) 차급을 뛰어넘는 상품성 강화로 더 똑똑해진 ‘모닝 어반’을 출시했다.   모닝 어반은 2017년 출시된 3세대 모닝의 상품성 개선 모델로 ▲독특하고 역동적인 외장 디자인 ▲도심 운전을 편리하게 해주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더욱 쾌적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는 첨단 편의사양 ▲15.7km/ℓ 동급 최고의 연비 등 차급을 뛰어넘는 경쟁력을 갖췄다.   ■ 독특하고 역동적인 디자인 모닝 어반은 세련미를 더해 더욱 독특하고 개성 넘치는 역동적인 디자인으로 완성됐다.   전면부는 ▲패턴이 적용된 반광 크롬 테두리와 입체감을 더한 ‘타이거 노즈(Tiger Nose)’ 형상의 라디에이터 그릴 ▲프로젝션 헤드램프를 둘러싼 8개의 독특한 형상의 LED 주간주행등(DRL, Daytime Running Lights) ▲균형 잡힌 형상으로 단단해 보이는 범퍼 ▲각진 모양의 크롬 테두리 장식 안개등 ▲역동적인 에어 인테이크로 도시적인 이미지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후면부는 ▲굴곡으로 입체감을 더한 리어콤비네이션 램프 ▲수평형으로 넓게 디자인돼 견고해 보이는 범퍼 ▲범퍼 하단 크롬 듀얼 머플러 가니쉬 등으로 디자인 완성도를 높였다.   이와 함께 기아차는 신규 외장 색상인 ‘허니비’로 젊고 감각적인 스타일을 완성했다.   특히, 기아차는 ‘엣지-UP’을 운영해 더욱 개성 넘치는 내외장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했다.   엣지-UP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전/후면부 범퍼에 적용된 고광택의 검은색 (블랙 하이 그로시, Black High Glossy) 소재 ▲라디에이터 그릴 메탈 칼라 포인트 ▲측면부 벨트 라인(창문 아래)의 크롬 몰딩 ▲도어 하단의 블랙 하이 그로시 칼라 포인트가 적용된 사이드실 몰딩 ▲신규 디자인된 16인치 알로이 휠 ▲톡톡 튀는 색감의 오렌지 칼라 포인트 인테리어 등으로 구성됐다.   ■ 도심 운전을 편안하게 해주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기아차는 모닝 어반에 다양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동급 최고 수준으로 적용해 안전성 및 도심 주행 편의성을 대폭 강화했다.   기아차는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 Blind-Spot Collision-Avoidance Assist)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RCCA, Rear Cross-Traffic Collision-Avoidance Assist) ▲차로 유지 보조(LFA, Lane Following Assist) 등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동급 최초로 적용했다.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는 차로 변경을 위해 방향지시등 스위치 조작 시 후측방 차량과 충돌 위험이 감지되면 경고를 해주고, 경고 후에도 충돌 위험이 높아지면 자동으로 차량을 제어해 충돌하지 않도록 보조한다.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는 차가 후진할 때 좌우 측면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클러스터, 경고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을 통해 이를 운전자에게 알리고 필요 시 브레이크를 자동 제어해 충돌하지 않도록 보조한다.   차로 유지 보조는 차선 및 도로 경계를 인식해 차로 중앙을 유지하며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모닝 어반에는 감지 대상이 보행자까지 확대된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Forward Collision-Avoidance Assist), 차로 이탈방지 보조(LKA, Lane Keeping Assist), 운전자 주의 경고(DAW, Driver Attention Warning)도 함께 적용했다.   ■ 첨단 편의사양 탑재로 쾌적해진 운전 환경 기아차는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첨단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편의사양을 대거 적용했다.   기아차는 ‘운전석 통풍시트’를 신규 적용하고 넓은 화면으로 시인성을 높인 ‘4.2인치 칼라 클러스터’와 ‘8인치 내비게이션’을 적용했다.   여기에 UVO 기반 첨단 스마트 멀티미디어를 탑재하고 ▲문열림/문잠김, 공조 제어 등 원격으로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UVO 원격제어’ ▲차와 서버를 연결해 자동으로 지도를 업데이트 하는 ‘내비게이션 자동 무선 업데이트’ ▲차와 집을 이어주는 ‘홈 커넥트(카투홈/홈투카)’ ▲블루투스 기기 두 개를 동시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멀티커넥션’ ▲카카오의 인공지능 플랫폼 카카오 I(아이)의 음성인식 서버를 활용한 ‘서버 기반 음성인식’ 등 다양한 IT사양을 적용해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한편, 모닝 어반은 개선된 ‘스마트스트림 G 1.0 엔진’을 탑재해 최고 출력 76마력(PS), 최대토크 9.7kgf·m의 동력성능을 갖췄으며, 복합연비는 15.7km/ℓ로 동급 최고의 연비를 갖췄다. (※ 14인치 타이어 기준)   모닝 어반의 판매가격은 ▲스탠다드 1,195만원 ▲프레스티지 1,350만원 ▲시그니처 1,480만원이다. (※ 경차는 개별소비세 비과세 대상)   기아차 관계자는 “모닝 어반은 경차만의 강점에 개성 넘치는 디자인과 첨단 도심형 주행 안전 기술이 융합돼 탄생했다”며, “차급을 넘어선 ‘도심 최적의 모빌리티’라는 모닝만의 새로운 영역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구 분 모닝 어반 올 뉴 모닝 (기존) 전 장 (mm) 3,595 3,595 전 폭 (mm) 1,595 1,595 전 고 (mm) 1,485 1,485 축 거 (mm) 2,400 2,400 엔진 형식 스마트스트림 G 1.0 카파 1.0 에코 프라임 배기량 (cc) 998 998 최고출력 (ps) 76 76 최대토크 (kgf•m) 9.7 9.7 복합연비 (km/ℓ) 14인치 15.7 15.4 16인치 14.7 14.7
  • 주행가능거리 26km? ㅎㅎㅎ XC60 T8. 충전시간이~

    주행가능거리 26km? ㅎㅎㅎ XC60 T8. 충전시간이~

    시승기
    임재범 2020-05-08 02:13:08
    친환경과 실용성, 힘과 연비효율성까지 갖춘 차. 볼보자동차의 중형 SUV XC60 T8 인스크립션을 타봤습니다. P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lug-in Hybrid) 차량인데요. 단점보다 장점이 넘치는 모델이었습니다. 어떤 장점이 있었는지~ 그리고, 어떤 단점이 보였는지 함께 보시죠.     단점이라기보다는 아쉬운 점은 전기모터 주행가능거리가 50km정도까지 끌어올린다면… 그리고, 스마트폰 무선충전기능이 없다는 점을 단점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세개의 심장을 가진 XC60 T8 인스크립션. 이번에는 사정없이 풀가속 해봤습니다. 과연 몇 초 만에 시속 100km/h를 통과 했을까요? 함께 보시죠. 이 외에 모든 부분은 장점으로 느낄 수 있었는데요. XC60 T8. 아래 자료로 대신합니다.     새로워진 XC60은 도심형 SUV를 지향한다. 스칸디나비안 내∙외관 디자인과 볼보자동차의 ‘사람 중심(Human-centric)’ 철학을 실현한 최신 안전 기술 및 편의 시스템, 우수한 주행성능 등 모든 면에서 완벽한 밸런스를 갖췄다.   디자인 볼보자동차 역사상 가장 다이내믹한 디자인으로 완성된 XC60에는 90 클러스터에 이어 새로워진 볼보의 패밀리룩이 적용됐다. 새로운 아이언 마크와 T자형 헤드램프, 세로형 그릴 등 90클러스터와 동일한 패밀리룩을 유지하면서도 XC60만의 차별화된 메시지와 개성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XC60은 차분하고 중후한 XC90보다 더 우아하면서도 다이내믹한 인상으로 완성됐다.   외관 (Exterior) 스웨디시 다이내믹 SUV XC60은 1세대 XC60 대비 전장은 45mm, 전폭은 10mm 늘어나고 전고는 약 55mm 낮아졌다. XC60의 휠베이스는 2,865mm로 이전 세대보다 약 90mm 길어졌다. 더욱 길고, 낮고, 넓어진 차체로 프리미엄SUV의 디자인 면모를 갖춤과 동시에 휠베이스의 비율이 전체 중 약 61.1%를 차지해 보다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내관 (Interior) 인테리어는 심플하고 기능미를 갖춘 디자인과 천연 소재를 적용한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적용했다. 탑승객이 차량 내에서 자신의 방처럼 여유를 즐기며 안락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쉽고 복잡하지 않은 구조로 설계했다. 여기에, 천연 우드 트림, 크롬 스위치 등 수공예요소를 활용해 마감수준을 높였다.   인스크립션 모델의 시트에는 최고급 소가죽인 나파(Nappa) 가죽을 적용하고 1열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좌석에 마사지 기능을 추가했다.   최상위 트림인 T8인스크립션 모델에는 250년 역사를 지닌 스웨덴의 명품 유리 제조사인 오레포스(Orrefors)의 크리스탈 글래스로 제작된 크리스탈 기어레버가 적용되었다.   파크 어시스트 파일럿 (Park Assist Pilot) 360° 카메라 바워스&윌킨스 (B&W, Bowers & Wilkins)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IAQS: Interior Air Quality System) 마사지 및 통풍 기능을 갖춘 천연 나파 레더 시트   적재공간 기본 트렁크 용량은 505리터이고, 2열 좌석을 접을 경우 최대 1,432리터까지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드라이브-E 파워트레인 (Drive-E Powertrain) XC60에는 볼보자동차가 지난 2014년 출시한 친환경성, 효율성 그리고 파워풀한 엔진을 지향하는 볼보의 새로운 엔진계통인 ‘드라이브-E 파워트레인(Drive-E Powertrains)’를 적용했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엔진이 적용된 XC60 T8은 수퍼차저와 터보차저를 동시 적용한 볼보자동차의 4기통 2.0리터 가솔린엔진과 전기 모터가 결합되어 최고 출력 405마력(가솔린 엔진 318마력+모터 87마력)을 발휘하는 고성능 SUV이다. 가솔린 엔진으로 2,200-5,400rpm 구간에서 최대 토크 40.8kg•m, 전기 모터로는 낮은 엔진 회전 구간에서(0-3,000rpm) 최대토크 24.5 kg•m를 발휘한다.   XC60 T8 AWD의 복합 연비는 휘발유 기준 10.3km/ℓ(도심: 9.3 km/ℓ, 고속도로: 11.9km/ℓ), 전기 기준 복합 연비는 3.0km/Kwh(도심 3.0km/Kwh, 고속도로 주행 2.9km/Kwh)이다. 또, 순수 전기차 모드(XC60 T8에서 퓨어(Pure)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해당)로 주행하는 경우, 1회 충전 뒤 최대 주행 가능한 거리는 26km이다.   인텔리세이프(IntelliSafe) 시스템 1) 시티 세이프티 (City Safety) 2) 충돌회피 지원 기능 2-1. 도로 이탈 완화 기능 (Run-off Mitigation): 2-2. 반대 차선 접근 차량 충돌 회피 기능 (Oncoming Lane Mitigation): 2-3. 조향 지원 적용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 (Blind Spot Information with steer assist): 3) 파일럿 어시스트 II (Pilot Assist II) 4) 도로 이탈 보호 시스템 (Run-Off Road Protection) 5) 액티브 하이빔 컨트롤 II (Active High Beam Control II)   <볼보자동차코리아 XC60 가격> 차량 출고가 개소세 가격(개소세 인하분 적용) XC60 D5 AWD MMT 62,600,000 1,430,000 61,170,000 XC60 D5 AWD INS 68,700,000 1,430,000 67,270,000 XC60 T6 AWD INS 75,400,000 1,430,000 73,970,000 XC60 T8 AWD INS 83,200,000 1,430,000 81,770,000    
  • MQ4. 4세대 쏘렌토 D2.2 8DCT 시트와 실제연비

    MQ4. 4세대 쏘렌토 D2.2 8DCT 시트와 실제연비

    시승기
    임재범 2020-04-24 15:58:19
      4세대 기아 신형 쏘렌토 D2.2 습식 8DCT가 만들어낸 연료 효율성은 어느정도 일까요? 고양동에서 인제 내린천휴게소까지 달려봤습니다. 달리는 차안에서 1열부터 3열까지 실제 승차감과 편의성을 꼼꼼하게 따져봤는데요. 영상으로 확인해보시죠~       신형 쏘렌토 디젤 모델은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를 충족시킨 ‘스마트스트림 D2.2’ 엔진, 우수한 변속 응답성과 부드러운 변속감을 갖춘 습식 DCT(더블 클러치 변속기)인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를 현대차그룹 최초로 적용해 강력한 주행성능과 높은 연비를 구현했다. 최고출력 202PS(마력), 최대토크 45.0kgf·m의 힘을 발휘하며, 연료소비효율(연비)은 14.3km/ℓ(5인승, 18인치 휠, 2WD 복합연비 기준)를 달성.   기아차는 올 3분기 중 스마트스트림 G2.5 T 엔진과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가 탑재된 신형 쏘렌토 가솔린 터보 모델을 추가 계획이다.   4세대 쏘렌토 디젤 모델의 판매 가격은 트림 별로 ▲트렌디 2,948만원 ▲프레스티지 3,227만원 ▲노블레스 3,527만원 ▲시그니처 3,817 만원으로 책정됐다. (※ 개별소비세 1.5% 기준)   ‘스마트스트림 D2.2’ 엔진, 우수한 변속 응답성과 부드러운 변속감을 갖춘 습식 DCT(더블 클러치 변속기)인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를 현대차그룹 최초로 적용해 강력한 주행성능과 높은 연비를 만들어냈다고 합니다. 최고출력 202PS(마력), 최대토크 45.0kgf·m의 힘을 발휘하며, 연료소비효율(연비)은 14.3km/ℓ(5인승, 18인치 휠, 2WD 복합연비 기준). 3분기 중 스마트스트림 G2.5 T 엔진과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가 탑재된 신형 쏘렌토 가솔린 터보 모델을 추가 계획이라고 하네요.   4세대 쏘렌토 디젤 모델의 판매 가격은 트림 별로 ▲트렌디 2,948만원 ▲프레스티지 3,227만원 ▲노블레스 3,527만원 ▲시그니처 3,817 만원.     구 분 4세대 쏘렌토 전 장(mm) 4,810 전 폭(mm) 1,900 전 고(mm) 1,700 (루프랙 포함) 축 거(mm) 2,815 파워트레인 명칭 스마트스트림 D2.2 스마트스트림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 형식 2.2 디젤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배기량 (cc) 2,151 1,598 최고출력 202 230 (시스템 최고출력) (ps) 최대토크 45.0 35.7 (시스템 최대토크) (kgf·m) 복합연비(km/ℓ) 14.3 (5인승, 18인치 휠, 2WD 기준) 15.3 (5인승, 17인치 휠, 2WD 기준)  
  • 8단 N DCT에 부스터까지.. 벨로스터 N 서킷질주

    8단 N DCT에 부스터까지.. 벨로스터 N 서킷질주

    시승기
    임재범 2020-04-22 16:44:58
      자동변속기 운전면허 소지자도 즐길 수 있는 N이 드디어 출시됐습니다. 벨로스터 N DCT이니데요. 21일 용인스피드웨이에서 미디어 대상 서킷 시승행사가 열렸습니다.   고성능 N의 우수한 주행성능과 짜릿한 주행감성에 새로운 습식 DCT 적용으로 운전의 재미까지 더한 벨로스터 N인데요.   현대차가 국내 첫 고성능 브랜드 모델인 벨로스터 N에 8단 습식 더블 클러치 변속기(N 8-Speed Wet Double-Clutch Transmission, N DCT) 사양을 추가하고 기존 수동변속기 모델의 상품성을 개선한 ‘2020 벨로스터 N’입니다.   수동변속기 모델보다 50kg이 더 무거워졌는데요. N DCT무게인데요. 엔진과 나란히 배치된 변속기로 인해 앞부분이 하중이 늘었지만 와인딩 성능 유지를 위해 캠버 각을 0.8도(수동변속기모델)에서 1.6도로 변경했다고 합니다.   기본 옵션 가격 2,944만원에 선택사양을 더하면, 퍼포먼스 패키지 + NDCT패키지 + 스마트센스Ⅰ + 스마트센스Ⅱ  + 와이드선루프 + N라이트 스포츠 버켓시트 등 풀옵션 선택 시 3,674만원입니다.   현장 영상.. 먼저 보실까요~     자료 : N DCT 주요 고성능 특화 기능 상세 설명   ■ N 파워 쉬프트 (N Power Shift: NPS) 가속페달을 90% 이상 밟으며 가속하는 경우 변속기 단수가 올라갈 때 엔진 토크 감소를 최소화하고 유압제어를 최적화함으로써 가속 성능을 높이고(NPS 미작동 시 대비 0→100km/h 발진가속성능 0.2초 단축) 뒤에서 차를 밀어주는 느낌의 변속감을 구현해 운전의 재미를 높임.   ■ N 트랙 센스 쉬프트 (N Track Sense Shift: NTS) 트랙 주행과 같이 코너링이 많은 역동적인 주행을 일정 시간 이상 지속하는 경우 횡/종가속도, 브레이크 압력, 가속페달 밟는 양 등을 감지해 마치 차량이 운전자의 마음을 읽듯이 자동으로 전문 드라이버의 수동 변속과 동등한 수준의 트랙 주행에 최적화된 변속 패턴을 구현함으로써 주행성능을 높임.   ■ N 그린 쉬프트 (N Grin Shift: NGS) 스티어링 휠에 있는 NGS 버튼을 누를 경우 변속기는 해당 속도에서 가장 높은 힘(토크)을 낼 수 있는 최저단으로 설정되고, 가속 시 20초 간 7%의 토크 향상(36.0 → 38.5kgfㆍm)을 가져오는 오버부스트 기능을 포함해 엔진 출력을 최대치로 높여 순간적으로 가속성능을 극대화하는 기능으로 고속 주행로 진입이나 빠른 추월이 필요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함. NGS 작동 시 클러스터에 작동 중임을 알려주고 남은 시간을 표시해 재미 요소를 더함.   ■ DCT 특화 레브 매칭 (Revolution Matching) 주행 중 변속기 단을 낮출 경우 엔진 회전수(RPM: Revolution Per Minute)를 해당 변속단의 최적 회전수로 보정해 빠르고 부드러운 변속감을 구현함. 기존 수동 변속기 모델의 레브 매칭 기능은 엔진 제어 방식만을 활용했으나, N DCT 모델은 엔진ㆍ변속기 통합 관리 체계를 활용해 주행 모드별로 최적화된 엔진 회전수 보정이 가능함.   ■ DCT 특화 런치 컨트롤 (Launch Control) 정지 상태에서 발진 시 최적의 엔진토크 및 변속기 클러치 제어를 통해 최대 발진 성능을 구현했음. 왼발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오른발로 가속 페달을 끝까지 밟아 런치 컨트롤 준비 상태에 돌입하면, 터보 차저가 미리 충전되고 엔진은 최대 토크를 발휘할 수 있는 엔진 회전수(운전자가 엔진 회전수 개별 설정도 가능)로 고정됨. 이와 함께 DCT는 초기 발진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미리 클러치가 체결된 상태가 되고 발진 이후에는 자동으로 클러치가 제어되며 변속됨. (런치 컨트롤 미작동 시 대비 0→100km/h 발진가속성능 0.3초 단축)   ■ DCT 특화 변속 방식 구현 주행 모드별로 변속 패턴을 차별화해 최적의 엔진 회전수를 사용하도록 함. 특히 오르막/내리막 주행을 감지해 최적의 변속 패턴이 적용되며, 특히 내리막 주행 시에는 적극적인 엔진 브레이크 사용으로 브레이크 과열을 방지함. 곡선 주행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주행보다 변속 시점을 늦춰 높은 엔진 회전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속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   ■ DCT 특화 수동모드 DCT는 운전자의 조작이 필요 없는 자동변속 방식이지만, 수동 방식으로 변경 시에는 수동변속기와 동일하게 일정 엔진 회전수에 도달하더라도 자동으로 변속기 단이 올라가지 않도록 설정, 수동변속기 주행과 동일한 환경 구현했음. 더불어 DCT의 장점을 살려 변속될 단의 클러치는 미리 체결될 수 있도록 준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빠른 변속을 가능하게 함. 이 외에도 엔진 회전수를 맞추지 못한 상태에서 아랫 단으로 수동 변속을 입력할 경우 이를 기억해두고 적정 엔진 회전수에 도달 시 별도 조작 없이 아랫 단으로 체결되어 운전자의 의도를 반영함.   ■ 변속 배기음 (업쉬프트 뱅 사운드, Upshift Bang Sound) 가속 페달을 90% 이상 밟아 빠르게 가속하면 윗단으로 기어가 변속될 때 능동 가변배기 장치를 통해 증폭된 배기음을 발생시켜 주행감성을 높여줌. (스포트 모드 또는 N 모드로 설정 시)   ■ 자동 발진 해제 (Creep Start On/Off) 일반적인 자동변속기 적용 차량처럼 변속기를 주행 단(D)에 놓은 상태로 정차했다가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는 경우 변속기가 자동으로 주행 단에 체결되며 차량이 움직이는 것을 해제할 수 있는 기능으로, 자동차 경주에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고 출발선에 정지상태로 정렬이 가능해 즉각적으로 가속 페달만 조작해 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임.       이번에 추가된 N DCT 사양은 다양한 특화 기능을 통해 현대차의 고성능 N이 추구하는 브랜드 철학인 ‘운전의 재미(Fun to Drive)’와 ▲코너링 악동(Corner Rascal, 곡선로 주행능력) ▲일상의 스포츠카(Everyday Sports Car) ▲레이스 트랙 주행능력(Race Track Capability)이라는 3대 고성능 DNA(핵심 요소)를 새로운 차원으로 구현해 냈다.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수동변속기를 기본으로 클러치를 추가하고 전기식 클러치 작동장치(액츄에이터: Actuator)를 적용해 운전자의 클러치 조작 없이 변속을 자동화함으로써 자동변속기의 편리함과 수동변속기의 효율 및 직결감 향상에 따른 역동적인 주행감을 모두 확보할 수 있어 스포츠 주행을 지향하는 차종에 적극적으로 탑재되고 있다.   이번 ‘2020 벨로스터 N’에 추가된 8단 습식 더블 클러치 변속기는 기존 건식 더블 클러치 변속기와 달리 클러치의 작동 과정에 오일을 사용해 윤활성능과 냉각성능을 크게 높여 높은 토크를 발휘하는 엔진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2020 벨로스터 N’은 이와 같은 특장점을 갖춘 N DCT를 추가 적용함으로써 최고출력 275마력(ps), 최대토크 36.0kgfㆍm를 발휘하는 N 전용 고성능 가솔린 2.0 터보 엔진의 폭발적인 성능을 최대한 이끌어냈다. 정지상태에서 100km/h에 도달하는 시간은 수동변속기 사양 대비 0.5초 단축된 5.6초에 불과하다. (※당사 연구소 측정 결과, 런치 컨트롤 사용 조건)   더불어 8단으로 다단화를 통해 연비를 개선하고 보다 부드럽고 빠른 변속이 가능하도록 해 높은 성능과 함께 부드러운 주행감각, 효율성까지 모두 갖췄다.   또한 N DCT 적용 모델에는 기존 수동변속기 모델에 적용되고 있던 각종 고성능 기술에 N DCT만의 특화 기능을 더해 마치 레이싱 게임과 같은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의 재미’라는 고성능 N의 철학을 더욱 강화했다.   대표적인 N DCT 특화 기능으로 ▲변속 시 가속감을 강화한 ‘N 파워 쉬프트(N Power Shift: NPS)’ ▲트랙주행이나 와인딩 같은 역동적인 주행상황에 최적화된 변속 패턴을 자동으로 구현해 최고 성능을 내도록 하는 ‘N 트랙 센스 쉬프트(N Track Sense Shift: NTS)’ ▲’오버부스트(Overboost)’ 기능을 포함해 일정 시간 동안 엔진과 변속기의 최대 성능을 끌어올려 일시적으로 극한의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N 그린 쉬프트(N Grin Shift: NGS)’ 등을 탑재했다.   이 외에도 기존 벨로스터 N에 적용하고 있던 ▲주행 중 변속기 단을 낮추는 경우 순간적으로 엔진 회전수를 조정해 변속을 부드럽게 하고 빠른 재가속이 가능하도록 한 레브 매칭(Revolution Matching) 기능 ▲정지 상태에서 출발 시 엔진 토크 및 휠 스핀 최적 제어로 최대의 가속 성능을 제공하는 런치 컨트롤(Launch Control) 등을 N DCT에 맞춰 최적화했고, ▲주행 모드별 변속 패턴 차별화 ▲수동변속기와 흡사하게 조작 가능한 DCT 특화 수동모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되는 배기음 강화 등 다양한 특화 기능을 담았다.     N DCT를 추가한 ‘2020 벨로스터 N’은 각종 주행 관련 기능을 운전자의 취향이나 선택에 따라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한 ‘N 그린 컨트롤 시스템(N Grin Control System)’을 개선 적용한 것도 특징이다.   ‘2020 벨로스터 N’은 무선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최신 8인치 내비게이션을 포함한 신규 인포테인먼트 장치를 기본 적용한 것은 물론, 지능형 안전 기술(현대 스마트 센스)을 선택사양으로 추가해 상품성을 높였다.     특히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운전자 주의 경고(DAW) ▲차로 유지 보조(LFA) ▲차로 이탈방지 보조(LKA) ▲하이빔 보조(HBA) ▲후측방 충돌 경고(BCW) ▲후방 교차 충돌 경고(RCCW) 등 동급 최고 수준의 지능형 안전 기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 고성능 N의 브랜드 철학 3대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일상의 스포츠카’로서 높은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한 가운데 벨로스터 N의 폭발적인 주행성능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더불어 정통 스포츠카에 적용되는 머리 지지 부위(헤드레스트) 일체형 스포츠 버켓 시트인 ‘N 라이트 스포츠 버킷 알칸타라 시트(N Light Sports Bucket Seats, 약칭 ‘N 라이트 시트’)’를 선택사양으로 추가, ‘레이스 트랙 주행능력’을 갖춘 벨로스터 N의 역동적인 주행감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했다.   N DCT 패키지는 ▲N 전용 8단 습식 DCT ▲패들 쉬프트(Paddle Shift)와 ▲DCT 전용 변속 프로그램을 포함해 250만원으로 책정됐으며, N DCT 특화 고성능 기능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엔진 출력 강화(250→275마력) ▲고성능 ‘피렐리(Pirelli)’ 타이어&19인치 알로이 휠 ▲전자식 차동제한장치(E-LSD: 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인 ‘N 코너 카빙 디퍼렌셜’ ▲N 전용 고성능 브레이크(N로고 캘리퍼 포함) ▲능동 가변 배기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 퍼포먼스 패키지(200만원)와 함께 선택해야 한다.
  • I-PACE 데이트하기 좋은 차? 한복미인 眞과 함께 했습니다

    I-PACE 데이트하기 좋은 차? 한복미인 眞과 함께 했습니다

    시승기
    임재범 2020-04-20 10:04:37
      재규어 순수전기차 5인승 퍼포먼스 SUV I-PACE입니다. 2020 코리아 한복미인 선발대전 진을 수상한 설희주씨와 i-pace를 경험해 봤습니다. 순수 전기차를 다시 한번 알게 됐다 네요. 영상을 통해 만나보시죠~      
  • I-PACE 와인딩로드 그리고 충전

    I-PACE 와인딩로드 그리고 충전

    시승기
    임재범 2020-04-17 12:39:10
      재규어 순수전기차 5인승 퍼포먼스 SUV I-PACE입니다. 와인딩로드 질주와 실제 오너 입장에서 충전시스템을 경험해 봤습니다. 급속충전기보다 완속충전기를 사용한 충전시간과 요금…   일반적인 전기차와 달리 i-pace만의 장점이라면 랜드로버 기술력인데요. 전지형 사륜구동장치와 에어 서스펜션입니다. 지금부터 영상을 통해 I-pace를 느껴보실까요~       디자인은 짧은 오버행과 재규어 75주년을 기념해 선보인 하이브리드 슈퍼 콘셉트카 C-X75에서 영감을 얻은 날렵한 쿠페형 실루엣이 특징입니다.   I-PACE의 디자인은 미래지향적이며, 80여년의 재규어 디자인 DNA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알루미늄 차체로 완성되는 완벽에 가까운 비율과 퍼포먼스, 일상의 편의를 위한 실용성 등 모든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I-PACE는 최고출력 400마력, 최대토크 71.0kg.m, 4.8초 제로백(0-100km/h)의 고성능 스포츠카급 퍼포먼스를 보입니다. 90kWh 용량의 하이테크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해 1회 충전으로 333km(국내 인증 기준) 주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국내표준 규격인 DC 콤보 타입 1 충전 규격으로 국내에 설치된 대부분의 공공 충전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00kW 급속 충전기를 이용하면 40분만에 80%까지 충전할 수 있습니다. (*50kW 급속 충전기는 90분만에 80% 충전 가능)   iPACE의 차량 전방 및 후방 액슬에는 2개의 전기 모터가 장착돼 있으며, 차량 후방에 장착된 배터리 매니징 시스템은 지속적인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고 배터리가 최적의 효율성을 모든 조건에서 유지하도록 관리합니다.   또한 I-PACE의 장착된 에너지 회생 제동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가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는 순간 회생 제동 기능을 활성화하며, 감속하는 동시에 생산된 전력을 이용해 배터리 사용량을 최적화한다.   재규어는 I-PACE의 모든 시스템이 극한의 환경에서도 완벽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영하 40°C에서 혹한기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I-PACE는 빙판길과 눈길에서도 안정적인 주행능력을 검증 받았다고 합니다.   또한 유럽 신차 안전도 평가인 유로 NCAP에서 최고 등급인 별 5개를 획득했다고 합니다. I-PACE의 경량 알루미늄 차체 구조는 높은 수준의 강성을 제공하며, 알루미늄 프레임 구조로 보호되는 통합 배터리 팩이 결합돼, 36,000Nm/°의 역대 재규어 모델 중 최고 수준의 비틀림 강성을 갖췄는데요. 특히 충돌 부분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업계 최초로 알루미늄 단조를 사용하고, 재규어 최초로 성형 후 열처리를 해 안전성을 높였다고 하네요.   이와 함께 진흙, 빙판, 눈길, 비포장 도로 등 어떤 극한의 조건에서도 안정적이고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지형 프로그레스 컨트롤과 스티어링 어시스트가 포함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사각지대 어시스트, 탑승객 하차 모니터링 시스템 등 탑승객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탑재됐습니다.   재규어 최초로 I-PACE에 탑재되는 터치 프로 듀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상단의 10.2인치 고화질 터치스크린과 하단의 5인치 터치스크린이 완벽하게 통합되어 슬림하고 직관적인 디스플레이를 갖췄습니다.   주행 전 주전원을 사용해 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실내 온도를 미리 조절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충전 시간과 사전 세팅을 온보드 인컨트롤(On-board InControl) 시스템이나 원격 스마트폰 어플을 활용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재규어 I-PACE는 한국자동차전기문기협회가 선정한 ‘2020 올해의 친환경차’에 이름을 올렸었고요. ‘2019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됐었습니다.   I-PACE의 환경친화적 자동차 세금감면 혜택(개별소비세 최대 300만 원, 교육세 최대 90만 원)이 반영된 국내 판매 가격은 EV400 SE 1억 650만원, EV400 HSE 1억 2,080만원이며, 8년 또는 16만km 배터리 성능 보증 및 5년 서비스 플랜 패키지가 포함된다고 합니다.   구분 EV400 SE EV400 HSE 전 장(mm) 4,700 4,700 폭(mm) 1,895 1,895 고(mm) 1,560 1,560 축거(mm) 2,990 2,990 윤거 전(mm) 1,640 1,640 후(mm) 1,660 1,660 트렁크 용량(리터) 656 656 프론트 보닛 적재 용량(리터) 27 27 승차인원(명) 5 5 공차중량(kg) 2,285 2,285 배터리 종류 리튬 이온 리튬 이온 배터리 용량(kWh) 90 90 축전지 정격전압 용량(V, Ah) 388/232 388/232 최고 출력(PS/kW) 400/294 400/294 최대토크(kg.m) 71.0 71.0 충전 규격 DC 콤보 DC 콤보 완전 충전 시간 (100kW 급속 충전 기준) 약 40분* 약 40분* 구동방식 AWD AWD 서스펜션 전륜 더블위시본 더블위시본(에어) 후륜 인테그럴 링크 인테그럴 링크(에어) 브레이크 (전/후륜)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타이어 (전/후) 245/50R20 245/50R20 1회 충전 주행 거리(km) 333 333 안전최고속도 (km/h) 200 200 0→100km/h 가속시간 4.8 4.8 가격(부가세포함,원)** 106,500,000 120,780,000  
  • MQ4 신형 쏘렌토 습식 8단 DCT 왜 이래? 보완해야 될~

    MQ4 신형 쏘렌토 습식 8단 DCT 왜 이래? 보완해야 될~

    데일리 뉴스
    임재범 2020-04-14 11:01:57
      신형 쏘렌토 MQ4 2.2리터 디젤 모델에 기아차 최초로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가 적용됐는데요. 완성도가 살짝 부족한 느낌이 있어서 살펴봤습니다.   DCT의 정의 (위키백과 퍼옴) DCT(Dual Clutch Transmission)는 수동변속기의 주행감과 경제성, 자동변속기의 운전 편의성 장점 등을 갖은 변속기이며, 두 개의 클러치를 가져 듀얼 클러치라고 불린다. DCT(Dual Clutch Transmission)를 탑재한 차량은 주행 중에 클러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변속기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변속해준다. 하나의 클러치가 움직이다가 속도가 오르면 나머지 클러치가 엔진의 토크를 이어받아 빠르고 부드러운 변속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가속 성능이나 연비가 우수하다.   DCT는 건식 및 습식 변속기로 나뉜다. ▶ 건식 듀얼클러치 변속기 - 오일이 적게 쓰이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방식 - 건조한 클러치가 맞부딪히면서 공기의 흐름만으로 냉각시켜야하기 때문에 과열 위험이 있고 토크 허용치도 낮음 ▶ 습식 듀얼클러치 변속기 - 오일을 이용하기 때문에 건식보다 과열 위험이 낮아서 토크 허용치도 높음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의 주요 특징> - 최적의 클러치 냉각성능 확보로 최대 허용 토크 58% 향상 (7단 DCT 모델 대비) - 고효율의 변속 독립 제어 시스템 적용으로 연비 3% 향상 (8단 AT 모델 대비) - 다이나믹한 주행감 구현 및 가속 성능 최대 9% 향상 (6단 MT 모델 대비)       DCT의 장점은 변속시 직결감이 좋아 경쾌한 드라이빙이 가능해 운전 재미가 좋고 효율성이 높아 연비가 일반 자동변속기보다 10% 가량 높은 편입니다. 자동화 수동변속기인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민첩한 변속 성능과 우수한 연비를 동시에 구현한 것이 특징입니다.   현대차가 개발한 차세대 변속기인 8단 듀얼클러치 변속기(8DCT)를 개발해 고성능과 고연비 실현이 가능하게 되었는데요.   8단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향후 출시될 현대자동차 고성능 브랜드인 N브랜드를 비롯해 대배기량 고성능 차량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신형 쏘렌토 MQ4 2.2리터 디젤 모델을 시승하면서 ‘DCT가 왜 이래?’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빠르게 이어가는 변속 느낌이 아니라 CVT(무단변속기)처럼 변속이 늘어지는 느낌이랄까요.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 주행 느낌을 살펴봤습니다.   DCT 국산화 기술력은 당연히 칭찬합니다. 하지만 완성도면에서 좀더 신경을 써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RX 리무진 시승했습니다! 조카들의 점수가

    RX 리무진 시승했습니다! 조카들의 점수가

    시승기
    임재범 2020-04-13 10:08:36
    렉서스코리아는 2020년 2월 ‘NEW RX’를 국내에 소개한데 이어 3월 18일 NEW RX의 리무진 모델인 RX 450hL의 판매를 시작했었는요. 영상으로 시승 만나보시죠.     NEW RX 450h와 NEW RX 450hL의 사이즈 차이     전장(mm) 전폭(mm) 전고(mm) 축거(mm) RX 450h(MY19) 4890 1895 1710 2790 New RX 450h 4890 1895 1705(-5) 2790 New RX 450hL 5000(+110) 1895 1720(+10) 2790 RX 350(MY19) 4890 1895 1710 2790 New RX 350 4890 1895 1710 2790     아래는 RX 450hL 자료…   RX는 렉서스의 SUV 모델로 2001년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으며, NEW RX는 2016년 이후 4년만에 부분변경된 모델이다. 이번 출시로 NEW RX는 RX 350, RX 450h, RX 450hL에이르는 3종의 RX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NEW RX 주요특징   * 전면의 가로형 스핀들그릴은 L자형 블록메쉬 형태로 변경되었으며, 트리플 LED헤드램프, 세련된 범퍼 하단 디자인 등 한층 날렵한 모습으로 바뀌었다.   * 후면은 범퍼의 하단부를 더 낮추고 수평축을 강조하여 한층 와이드하고 단단한 이미지를 전하며 렉서스의 시그니처를 상징하는 L자형의 콤비네이션 램프와 새로운 휠 디자인으로 렉서스의 존재감을 표현한다.   * 숙련된 장인의 공정을 거친 나무, 가죽, 금속 소재를 인테리어에 사용하여 프리미엄 SUV만의 감성품질을 느낄 수 있으며, 차량실내 곳곳의 간접조명으로 탑승자에 대한 환대를 표현했다.   * 3열좌석형(롱바디) RX 450hL은 전장이 5,000mm로 2열좌석형 RX에 비해 110mm 더 길고, 전고 또한 1,720mm로 2열좌석형 하이브리드 모델 대비 15mm 높아졌다.   * 하이브리드 모델에는 3.5리터 V6, 포트분사와 직분사 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D-4S 하이브리드 엔진기술이 적용되었다. AWD(E-four) 시스템은 전, 후 토크 배분을 100:0에서 50:50까지 자동적으로 조절해 평소에는 효율적인 전륜 구동으로 주행하고, 미끄러운 노면에서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후륜 구동으로 토크를 배분한다.     * 액티브 코너링 어시스트(ACA)를 새롭게 도입하여 구불구불한 길에서도 편안하게 주행을 할 수 있다.   * 허브 베어링의 강성을 향상시켜 응답성을 높이고 리어 스테빌라이저로 코너링 시 언더스티어 현상과 좌우 출렁거림을 억제한다.   * 12.3인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홀더, 센터콘솔박스 후면의 USB충전 포트 등으로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기능을 디스플레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애플 카플레이와 안드로이드 오토 기능으로 멀티 미디어 시스템의 활용도도 좋아졌다.   *2열의 프리미엄 캡틴체어는 탑승자가 서로 넉넉한 간격으로 앉을 수 있으며, 시트 측면의 암레스트와 컵홀더로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전후 슬라이딩 기능으로 탑승자의 공간을 보다 여유 있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시트폴딩을 활용하면 승하차 및 3열좌석으로 이동도 보다 편리하다.   3열시트는 파워폴딩 기능을 사용해 트렁크 공간을 더 넓게 활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승객을 더 태울 수 있으며, 3열에서도 독립적으로 에어컨 제어가 가능하다. 1열부터 3열까지 높이가 모두 다른 극장식 배열구조로 설계된 시트는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한다.   * 킥타입의 파워백도어는 양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라도 키를 가지고 있으면, 뒷범퍼 아래로 살짝 발을 차는 동작만으로 편하게 백도어를 여닫을 수 있다.    * 전 사양 기본 장착된 렉서스 세이프티 시스템 플러스(LSS+)는 총 네 가지 예방안전기술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탑승자의 안전을 보조한다. <LSS+ : 긴급제동 보조시스템 (PCS), 차선추적 어시스트 (LTA),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 (DRCC), 오토매틱 하이빔 (AHB)>   * 파노라믹 뷰 모니터는 운전 시 차량의 전, 후, 측면의 차량상태를 4개의 카메라로 주변상황을 360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사각지대 감지 모니터(BSM), 후측방 경고시스템(RCTA)으로 더 편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NEW RX 주요제원   모델 RX 450h (하이브리드) RX 450hL (하이브리드) RX 350 (가솔린) 수프림 이그제큐티브 이그제큐티브 이그제큐티브 전장x전폭x전고(mm) 4,890 x 1,895 x 1,705 5,000 x 1,895 x 1,720 4,890 x 1,895 x 1,710 축거 (mm) 2,790 윤거 (전/후) (mm) 1,640 / 1,630 공차중량 (kg) 2,175 2,260 2,045 엔진형식 V6 6기통 가솔린엔진 배기량 (cc) 3,456 시스템 총 출력(PS) 313 - 최고출력 (PS/rpm) 262 / 6,000 301 / 6,300 최대 토크 (kg·m/rpm) 34.2 / 4,600 37.7 / 4,600~4,700 이산화탄소 배출량 (g/km) 129 134 193 정부공인 표준연비 (km/ℓ) 복합 / 시가지 / 고속) 12.8 / 13.4 / 12.1 3등급 12.3 / 12.7 / 11.9 3등급 8.9 / 7.8 / 10.9 5등급 변속기 e-CVT 자동 8단 서스펜션 (전/후) 맥퍼슨 스트럿 / 더블 위시본 브레이크 (전/후)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구동방식 AWD (E-four) AWD 휠&타이어 (전후동일) 235/65R18 235/55R20 승차 정원(명) 5 6 5 권장소비자 가격 (부가세 포함) 8,067만원 8,927만원 9,527만원 8,307만원  
  • CN7 신형 아반떼 시승기

    CN7 신형 아반떼 시승기

    시승기
    임재범 2020-04-09 10:35:42
    신형 아반떼 미디어 시승행사가 8일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열렸다. 시승차는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1.6 인스퍼레이션(최상위) 풀옵션 사양으로 차량가격이 2,464만원 이다.   올 뉴 아반떼는 2015년 6세대 출시 이후 5년 만에 돌아온 현대차 글로벌 베스트셀링카다. 혁신적이고 스포티한 디자인 완성, 3세대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기본기 향상, 차급을 뛰어넘는 최첨단 안전 편의사양 탑재가 특징이다.   신형 아반떼 가격은 ▲가솔린 모델 1,531~2,392만원 ▲LPi(일반판매용) 모델 1,809~2,167만원이다. (※ 개별소비세 1.5% 기준)       ‘올 뉴 아반떼’는 ‘파라메트릭 다이나믹스(Parametric Dynamics)’  테마를 적용해 미래지향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완성됐다. 현대차는 1세대 모델부터 이어져온 스포티하고 도전적인 캐릭터를 과감한 조형미로 재해석했다.   외장 디자인은 보는 각도에 따라 빛이 반사되어 색깔이 변하는 입체적인 ‘파라메트릭 쥬얼 패턴 그릴’과 헤드램프, 강인한 범퍼가 조화를 이룬 스포티한 전면부가 돋보인다. 차량 전체를 관통하는 강렬한 캐릭터라인이 돋보이는 측면부, 날렵해진 트렁크에 현대의 H 로고를 형상화한 ‘H-테일램프’가 인상적인 후면부도 독창적인 디자인을 뽐낸다.   내장 디자인은 비행기 조종석처럼 도어에서 크래시 패드와 콘솔까지 감싸는 낮고 넓은 라인으로 운전자 중심 구조를 완성한 것이 특징이다. 10.25인치 클러스터와 10.25인치 내비게이션이 통합된 형태의 '파노라마 디스플레이'는 차급을 뛰어넘는 고급스러움을 완성했고, 내비게이션 화면이 운전자 쪽으로 10도 기울어져 조작하기 편하며, 완성도 높은 몰입감을 제공한다. 또한 주행 모드(노멀, 에코, 스포츠, 스마트)에 따라 지정된 컬러로 변화하며, 운전자 취향에 맞춰 64가지 선호 색상 지정이 가능한 앰비언트 무드램프가 적용돼 운전자의 감성적인 만족도를 한층 끌어올렸다.   ‘올 뉴 아반떼’는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1.6 MPI ▲1.6 LPi 총 2개의 엔진 라인업으로 운영된다.  (※ 하이브리드, N라인 상반기 국내 출시 예정)     ▲스마트스트림 가솔린 1.6 MPI 엔진은 연비 15.4km/ℓ, 최고출력 123PS(마력), 최대토크 15.7kgf·m, ▲1.6 LPi 엔진은 연비 10.6km/ℓ, 최고출력 120PS(마력), 최대토크 15.5 kgf·m의 효율적인 상품성을 완성했다. (※ 15인치 휠, 복합 연비 기준) 가장 기대되는 엔진사양은 아반떼 N라인이다. 오늘 시승으로 기대감이 더욱 부풀어 올랐다. 하이브리드는 1.4리터 엔진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3세대 신규 통합 플랫폼이 탑재된 ‘올 뉴 아반떼’는 ▲혁신적인 스포티 디자인을 위한 전고 하향(-20mm), 전폭(+25mm) 증대 ▲낮아진 차량 무게중심과 개선된 주행 안정성 ▲동급 최고 수준의 휠베이스(+20mm) 등이 특징이다. 최적의 레이아웃 설계, 시트 포지션 하향으로 헤드룸, 2열 레그룸을 증대해 준중형 차급을 뛰어넘는 공간 활용성을 완성했다.   이밖에도 현대차는 ‘올 뉴 아반떼’의 안전성, 주행 성능, 승차감 등을 개선했다. 고강성 경량 차체 구조로 차량 중량을 기존 대비 약 45kg 줄였고, 동력, 핸들링, 정숙성 등 전반적인 기본기를 개선했다.   최첨단 인포테인먼트 사양,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편의 사양을 대거 적용해 차급을 뛰어넘는 상품성으로 완성됐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차량/보행자/자전거 탑승자/교차로 대향차)(FCA)는 전 트림 기본 적용된 안전 사양으로, 전방의 차량, 보행자, 자전거 탑승자 등과 충돌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및 교차로에서 좌회전 시 맞은편에서 다가오는 차량과 충돌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제동을 도와준다. 이와 함께 ‘올 뉴 아반떼’ 전 트림에 ▲차로 유지 보조(LFA) ▲차로 이탈방지 보조(LKA) ▲운전자 주의 경고(DAW) ▲하이빔 보조(HBA)를 기본 적용해 안전성을 대폭 끌어올렸다.   현대차 최초로 ‘올 뉴 아반떼’에 적용된 ‘현대 카페이(CarPay, In-Car Payment)’는 SK에너지, 파킹클라우드 등의 제휴된 주유소, 주차장에서 비용을 지불할 때, 내비게이션 화면을 통해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다.   ▲집, 회사 등 등록된 목적지로 이동 시 차량 위치를 가족, 지인들과 자동으로 공유하는 ‘내 차 위치 공유’ ▲목적지 인근 주차 후 실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스마트폰 앱에서 AR로 안내 받을 수 있는 ‘최종 목적지 안내’ ▲대리주차 시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차량의 이동 시간과 현재 위치까지 파악 가능한 ‘발레모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차량 출입, 시동이 가능한 ‘현대 디지털 키’도 주요 편의 사양이다.   ▲“에어컨 켜줘”, “열선 시트 켜줘” 등 공조를 음성으로 작동할 수 있는 ‘서버 기반 음성인식 차량 제어’도 대표적인 편의 사양으로, 카카오와의 협업을 통해 “오늘 뉴스 알려줘”로 뉴스 브리핑, 날씨, 스포츠 경기, 영화/TV, 주식, 시설물 검색도 자연어 음성인식으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올 뉴 아반떼’의 판매 가격은 가솔린 모델 ▲스마트 1,531만원 ▲모던 1,899만원 ▲인스퍼레이션 2,392만원이다. LPi(일반판매용) 모델은 ▲스타일 1,809만원 ▲스마트 2,034만원 ▲모던 2,167만원이다. (※ 개별소비세 1.5% 기준)   ‘올 뉴 아반떼‘는 지난 3월 25일부터 이달 6일까지 영업일 기준 9일 동안 16,849대의 사전계약을 달성하며, 국내 준중형 세단 수요가 감소하고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도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사전계약 분석 결과, 20대와 30대의 비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0대와 50대의 비중도 42%에 달해 모든 연령층에서 고른 선호를 보였다. (※ 올 뉴 아반떼 20,30대 비중 44%, ‘19년 아반떼 페이스리프트 2030 비중 30%로 약 14%p 증가)     구 분 올 뉴 아반떼 전 장(mm) 4,650 전 폭(mm) 1,825 전 고(mm) 1,420 축 거(mm) 2,720 엔진 형식 스마트스트림 G1.6 1.6 LPi 배기량 (cc) 1,598 1,591 최고출력 (ps) 123 120 최대토크 (kgf·m) 15.7 15.5 복합 연비 (km/ℓ) 15인치 15.4 10.6 16인치 14.9 10.5 17인치 14.5 10.3  
  • 4세대 쏘렌토(MQ4) 풀가속 kia_sorento_full_accelerating

    4세대 쏘렌토(MQ4) 풀가속 kia_sorento_full_accelerating

    시승기
    임재범 2020-04-07 09:10:25
      기아 신형 쏘렌토 D2.2 제로백 가속성능을 테스트해 봤습니다. 현대기아차가 새롭게 개발한 습식 8DCT의 반응이 궁금하네요. 지금부터 달려보겠습니다.     신형 쏘렌토 디젤 모델은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를 충족시킨 ‘스마트스트림 D2.2’ 엔진, 우수한 변속 응답성과 부드러운 변속감을 갖춘 습식 DCT(더블 클러치 변속기)인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를 현대차그룹 최초로 적용해 강력한 주행성능과 높은 연비를 구현했다. 최고출력 202PS(마력), 최대토크 45.0kgf·m의 힘을 발휘하며, 연료소비효율(연비)은 14.3km/ℓ(5인승, 18인치 휠, 2WD 복합연비 기준)를 달성.   기아차는 올 3분기 중 스마트스트림 G2.5 T 엔진과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가 탑재된 신형 쏘렌토 가솔린 터보 모델을 추가 계획이다.     4세대 쏘렌토 디젤 모델의 판매 가격은 트림 별로 ▲트렌디 2,948만원 ▲프레스티지 3,227만원 ▲노블레스 3,527만원 ▲시그니처 3,817 만원으로 책정됐다. (※ 개별소비세 1.5% 기준)   ‘스마트스트림 D2.2’ 엔진, 우수한 변속 응답성과 부드러운 변속감을 갖춘 습식 DCT(더블 클러치 변속기)인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를 현대차그룹 최초로 적용해 강력한 주행성능과 높은 연비를 만들어냈다고 합니다. 최고출력 202PS(마력), 최대토크 45.0kgf·m의 힘을 발휘하며, 연료소비효율(연비)은 14.3km/ℓ(5인승, 18인치 휠, 2WD 복합연비 기준). 3분기 중 스마트스트림 G2.5 T 엔진과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가 탑재된 신형 쏘렌토 가솔린 터보 모델을 추가 계획이라고 하네요.   4세대 쏘렌토 디젤 모델의 판매 가격은 트림 별로 ▲트렌디 2,948만원 ▲프레스티지 3,227만원 ▲노블레스 3,527만원 ▲시그니처 3,817 만원.     구 분 4세대 쏘렌토 전 장(mm) 4,810 전 폭(mm) 1,900 전 고(mm) 1,700 (루프랙 포함) 축 거(mm) 2,815 파워트레인 명칭 스마트스트림 D2.2 스마트스트림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 형식 2.2 디젤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배기량 (cc) 2,151 1,598 최고출력 202 230 (시스템 최고출력) (ps) 최대토크 45.0 35.7 (시스템 최대토크) (kgf·m) 복합연비(km/ℓ) 14.3 (5인승, 18인치 휠, 2WD 기준) 15.3 (5인승, 17인치 휠, 2WD 기준)  
  • [AD] 기아차, 3월 22만 6,960대 판매. 전년 동월대비 6.4% 감소

    [AD] 기아차, 3월 22만 6,960대 판매. 전년 동월대비 6.4% 감소

    데일리 뉴스
    임재범 2020-04-01 21:47:34
    - 국내에서는 K5가 8,193대로 기아차 판매량 1위 기록, 이어 셀토스와 봉고 순     기아차가 2020년 3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5만 1,008대, 해외 17만 5,952대 등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한 22만 6,960대를 판매했다. (도매 판매 기준)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15.3% 증가했지만 해외는 11.2% 감소한 수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시장의 수요감소와 해외법인의 생산 중단에 영향을 미쳤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2만 8,977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 7,806대, K3(포르테)가 2만 1,194대로 뒤를 이었다.   ■ 국내판매 기아차는 2020년 3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15.3% 증가한 5만 1,008대를 판매했다.   기아차가 국내 판매 5만대를 돌파한 것은 2018년 4월 이후 23개월만이다.   이처럼 판매량이 급증한 이유는 지난해 12월 출시한 3세대 K5와 지난달 출시한 4세대 쏘렌토의 신차 출시 효과와 더불어 정부가 개별소비세를 기존 5%에서 1.5%로 대폭 낮췄기 때문이다.   지난달 기아차가 가장 많이 판매한 차량인 K5(8,193대)는 3세대 K5가 출시된 2019년 12월부터 4개월 연속 기아차 월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K5를 포함해 승용 모델은 K7 5,045대, 모닝 4,126대 등 총 2만 4,752대가 판매됐다.   특히 K시리즈는 K5의 판매 호조와 더불어 K3 3,509대, K9 861대 등 총 1만 7,608대가 팔리며 전년 동월 대비 61.7% 대폭 증가했다.   RV 모델은 셀토스가 6,035대로 가장 많이 팔렸으며 쏘렌토 3,875대, 카니발 3,179대 등 총 2만 131대가 판매됐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6,014대 팔리는 등 버스와 트럭을 합쳐 총 6,125대가 판매됐다.   ■ 해외판매 기아차의 2020년 3월 해외 판매 실적은 전년 동월 대비 11.2% 감소한 17만 5,952대를 기록했다.   해외 판매가 감소한 이유는 중국, 유럽, 북미 등 주요 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일부 해외 공장이 가동 중단됐기 때문이다.   차종별로는 스포티지가 2만 7,362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로 이름을 올렸고 셀토스가 2만 1,771대, 리오(프라이드)가 2만 849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차 관계자는 “3세대 K5, 4세대 쏘렌토 등 최근 기아차가 출시한 차량들이 고객들에게 높은 상품성을 인정받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지만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기아자동차]    
  • 제네시스 신형 G80 시승기

    제네시스 신형 G80 시승기

    시승기
    임재범 2020-04-01 17:18:37
      31일 양재동 더K 호텔에서 3세대 G80 미디어 시승행사가 열렸습니다.   2008년 1세대 모델(BH)과 2013년 2세대 모델(DH)로 제네시스 브랜드의 탄생을 이끈 G80는 브랜드 출범 이후 2016년 2세대의 상품성 개선 모델부터 G80라는 이름으로 출시됐었었죠.   완전 변경 모델인 3세대 G80는 디자인, 주행성능, 고객 서비스 등 제네시스가 추구하는 가치의 원형을 제시한다 라고 합니다.   우아하고 역동적인 외장 디자인과 여백의 미를 강조한 여유롭고 균형 잡힌 실내 공간을 갖췄는데요. 2세대에 비해 125kg 가벼워진 차량에 가솔린 2.5 터보, 가솔린 3.5 터보, 디젤 2.2 등 3가지 엔진으로 역동적이고 정숙한 동력성능을 확보하고 ▲차로 변경을 돕고 운전자 성향에 맞게 운전을 보조하는 주행 편의 기술 ▲사고 위험 예상 시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예방 안전 기술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제네시스 카페이 등 최첨단 인포테인먼트 사양으로 고급 세단에 걸맞은 상품성을 갖췄습니다.   판매가격은 가솔린 2.5 터보 엔진 5,247만원, 가솔린 3.5 터보 엔진 5,907만원, 디젤 2.2 엔진 5,497만원부터 시작됩니다. (※ 개소세 1.5% 기준)   제네시스는 지난 1월 출시한 GV80에 이어 2021년까지 GV80보다 작은 차급의 SUV GV70과 전기차 모델을 더해 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역동적인 우아함 담은 외관과 여유로운 개방감 갖춘 실내   3세대 G80는 기존 대비 전폭을 35mm 넓히고 전고를 15mm 낮춰 후륜구동 세단이 갖출 수 있는 비율과 당당한 모습을 갖췄습니다.   전면부는 제네시스의 로고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인 크레스트 그릴과 ‘두 줄’ 디자인의 쿼드램프로 웅장하고 현대적인 이미지입니다. 후드는 제네시스 로고 끝에서 시작되는 두 줄의 센터 라인과 크레스트 그릴 양쪽 끝 부분부터 이어지는 후드 캐릭터 라인이 후드의 볼륨감을 강조합니다.   측면부는 군더더기 없는 차체 표면 위에 쿼드램프에서 시작돼 도어 상단부를 거쳐 후면부로 갈수록 점점 낮게 이어지는 ‘파라볼릭 라인(Parabolic Line)’이 클래식카의 우아한 모습을 연상시키며, 그 아래 20인치 휠과 펜더(타이어를 덮고 있는 부분)의 볼륨감을 강조하는 ‘애슬래틱 파워 라인(Athletic Power Lines)’이 역동성을 더합니다.   측면부 하단에 길게 뻗어 있는 금속 장식은 후면부로 갈수록 위로 올라가 날렵한 인상을 부각시킵니다.   후면부는 쿼드램프와 말굽(Horse shoe) 형태로 둥글게 음각 처리한 트렁크 표면을 통해 독창적인 인상을 표현합니다. 좌우로 길게 뻗은 트렁크 상단의 크롬 장식과 전동 트렁크 버튼은 제네시스 로고를, 듀얼 머플러는 크레스트 그릴을 각각 떠올리게 하며 제네시스의 정체성을 각인시킵니다.   실내는 ‘여백의 미(Beauty of White Space)’를 바탕으로 여유로운 개인 공간을 추구하면서도 조작계 등의 배치를 최적화해 운전자가 신형 G80에 적용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구성됐습니다. 기존 GV80의 레이아웃을 그대로 이어받았는데요.   ▲A필러(전면 유리와 측면 창문 사이의 차체) 두께 및 룸 미러 테두리(베젤) 축소 ▲플래그 타입 사이드 미러 적용 ▲크래시패드(계기판, 수납구 등이 포함된 부분)의 높이 하향 등으로 운전자가 앉았을 때 여유롭고 탁 트인 개방감을 선사하는 ‘파노라믹 뷰’를 갖췄습니다.   제네시스는 스티어링 휠의 절반을 기준으로 상단부 시계 영역과 하단부 조작 영역을 구분해 시야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됐습니다.   시계 영역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12.3인치 클러스터, 14.5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주행 중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와 얇은 형태의 송풍구를 배치해 운전자가 주행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됐습니다.   조작 영역에는 터치 방식의 공조장치, 회전 조작 방식의 전자식 변속 다이얼, 터치 및 필기 방식으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는 제네시스 통합 컨트롤러를 적용해 조작의 직관성을 높였습니다.   특히 쿠페와 같이 매끄럽게 떨어지는 루프라인에도 불구하고 2열의 착좌 높이를 낮춰 헤드룸(머리 위 공간)과 레그룸(다리 공간)을 각각 4mm와 2mm를 확대했다. (※ 파노라마 선루프 적용 기준)   ■ 역동적이면서 정숙한 주행성능 … G80만의 편안한 승차감은 그대로   역동적이면서 정숙한 주행성능을 갖춘 동시에 이전 세대의 편안한 승차감으로 계승됐습니다.   엔진 라인업은 가솔린 2.5 터보, 가솔린 3.5 터보, 디젤 2.2 등 3가지 입니다.   가솔린 2.5 터보 모델은 최고출력 304마력(PS), 최대토크 43.0kgf·m 등 역동적인 동력 성능을 갖췄으며 복합연비는 10.8km/ℓ (2WD, 18인치 타이어 기준)   가솔린 3.5 터보 모델은 최고출력 380마력(PS), 최대토크 54.0kgf·m 등 동급 최고 수준의 동력 성능을 갖췄으며 복합연비는 9.2km/ℓ (2WD, 19인치 타이어 기준)   디젤 2.2 모델은 최고출력 210마력(PS), 최대토크 45.0kgf·m와 복합연비 14.6km/ℓ (2WD, 18인치 타이어 기준)   G80의 모든 엔진은 CPA(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회전식 진동 흡수 장치) 토크 컨버터와 수냉식 인터쿨러가 적용됐습니다.   CPA 토크 컨버터는 엔진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의 반대 진동을 만들어 엔진 회전 진동을 상쇄시킨다. 이를 통해 실내 정숙성을 높이고 연비를 개선한다고 합니다.   수냉식 인터쿨러는 엔진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수를 통해 빠르게 냉각시켜 터보 차저의 응답성을 높여주는데요. 향상된 가속감과 함께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도 역동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G80 가솔린 모델은 주행 조건에 따라 최적의 방식으로 연료를 분사할 수 있는 듀얼 퓨얼 인젝션 시스템을 적용됐습니다.   진동과 소음이 적은 다중 분사(MPi, Multi Point Injection)방식과 배기량 대비 높은 마력과 토크를 낼 수 있는 가솔린 직분사(GDi, Gasoline Direct Injection) 방식을 상황에 맞게 사용해 정숙한 주행과 역동적인 주행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가솔린 2.5 터보 엔진에는 냉각수 흐름 및 온도를 제어하는 ‘가변 분리 냉각 시스템’ ▲가솔린 3.5 터보 엔진에는 시동 직후 빠르게 예열해주고 상황 별로 엔진 냉각 성능을 최적화하는 ‘통합 열관리 시스템’과 실린더 정중앙 부위에서 연료를 분사해 연소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연비를 개선하는 ‘센터 인젝션’이 각각 적용됐습니다.   디젤 2.2 엔진은 알루미늄 소재 블록을 적용해 기존 대비 약 20kg 가벼워졌으며 베어링 부분의 마찰을 줄이는 ‘볼 베어링 터보차저’를 적용해 응답성이 향상됐습니다.   G80의 플랫폼은 제네시스 3세대 후륜구동 기반 플랫폼으로, 차체를 낮춰 무게중심을 아래에 두는 설계를 통해 더 넓은 승객 거주 공간을 확보하고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고 합니다.   또한 차체의 약 19%에 알루미늄 등 경량 소재를 적용, 공차중량을 기존 대비 125kg 줄여 연비와 동력 성능을 높일 수 있었다고 하네요. (※ 2세대 G80 3.3 가솔린 2WD, 18인치 타이어 기준 1,910kg / 3세대 G80 2.5 터보 2WD, 18인치 타이어 기준 1,785kg)   동시에 핫스탬핑 공법으로 만든 초고강도 강판을 42% 확대 적용하고 평균 인장강도를 6% 높여 안전한 승객실이 확보됐습니다.   앞 유리(윈드실드)와 모든 문에는 차음 유리를 기본 적용하고 문 접합 부(도어 실링) 구조를 개선해 풍절음을 줄였으며 신규 엔진룸 방음 패드 및 공명음 저감 휠을 사용해 고급 세단에 걸맞은 실내 정숙성을 갖췄습니다.   아울러 전방 카메라와 내비게이션을 통해 노면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고 서스펜션을 미리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상하 움직임 및 충격을 줄이는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을 적용으로 최적의 승차감을 만들어냅니다. (※ 가솔린 모델 限)     ■ 제네시스의 ‘안전 최우선’ 원칙으로 완성한 주행 안전성   제네시스는 신형 G80에 최첨단 능동 안전 기반 자율주행 기술과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한 위험한 상황을 판단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안전 사양을 적용해 차에 타는 순간부터 차에서 내리는 순간까지 탑승자를 지켜준다고 합니다.   주요 기술은 ▲고속도로 주행 보조 II ▲운전 스타일 연동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프리액티브 세이프티 시트 ▲다중 충돌방지 자동 제동 시스템 등입니다.   G80는 운전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게 돕는 지능형 주행 보조 기술을 갖췄는데요. 고속도로 주행 보조 II (HDA II)는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주행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방향지시등 스위치 조작 시 스티어링 휠을 제어해 차로 변경을 보조하거나 20km/h 이하의 정체 상황에서도 근거리로 끼어드는 차량에 대응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리한 주행을 돕습니다.   제네시스가 G80에 적용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운전 스타일 연동 기능’을 지원해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차가 스스로 학습,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것과 흡사하게 주행을 보조합니다.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 주행 시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진출입로, 곡선로 등 안전 구간의 정보를 받아 해당 구간 통과 시 차량을 자동으로 감속하는 기능인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도 지원합니다.   지능형 전조등(Intelligent Front-lighting System)은 상향등을 켜고 주행 시 선행 차량 및 대향 차량이 나타나면 전방 카메라를 통해 차량을 인지하고 차량이 있는 영역만 선별적으로 상향등을 소등해 G80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확보하면서도 상대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해줍니다.   첨단 예방 안전 기술은 도로 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 위험 상황으로부터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국내 최초로 프리액티브 세이프티 시트(PSS, Pre-active Safety Seat)가 적용됐는데요. 프리액티브 세이프티 시트는 전방 충돌 또는 급제동/선회 예상 시 동승석 승객을 안전하게 지키고자 등받이를 앞으로 당겨 안전한 자세로 조정해줍니다.   G80에 적용된 차세대 센서 융합 기술은 전방, 전측방, 후측방 레이더가 함께 작동해 맞은편이나 측면에서 접근하는 차량과 후방에서 차선을 변경하는 차량들로 인한 위험 상황을 미리 감지,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충돌을 막아줍니다.   알버트 비어만 사장은 G80 상품 설명 영상에서 “우리는 제네시스 모델들을 위해 차세대 센서 융합 기술을 개발했다”며 “이는 동급 최고의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우리의 핵심 성과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는 교차로 진입 시 전방 또는 좌/우측에서 다가오는 차량과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제동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추월 중 대향차 또는 측방 접근차와 충돌 위험 감지 시 ▲전방의 보행자, 자전거, 차량과 충돌 위험이 있어 운전자가 회피 조향 시 ▲주행 중 전방에서 보행자, 자전거 등이 차로 가장자리에 들어와 있어 충돌 위험 감지 시 조향을 보조해 충돌을 방지해줍니다.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는 주행 중에 차로를 변경하거나 평행 주차상태에서 출차할 때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차량과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경우 충돌하지 않도록 보조합니다.   이외에도 G80는 ▲운전자 주의 경고(DAW) ▲전방 주시 경고(FAW) ▲안전 하차 보조(SEA) ▲후석 승객 알림(ROA) 등 첨단 승객 모니터링 기술이 적용돼 부주의로 인한 사고로부터 탑승객을 지켜줍니다.   측면 충돌 시 탑승자들 간의 2차 충돌을 예방하는 앞좌석 센터 사이드 에어백, 충격량에 따라 에어백 전개 압력을 제어해 상해를 줄이는 운전석/동승석 어드밴스드 에어백 등 기본 적용한 10개의 에어백으로 전방위 충돌 안전성을 갖췄습니다.   제네시스 최초로 적용된 다중 충돌방지 자동 제동 시스템(MCB, Multi-Collision Brake)은 주행 중 충돌 사고로 운전자가 일시적으로 차량을 통제하지 못할 경우 자동으로 차량을 제동해 2차 사고를 방지하게 되는데요.   차량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고객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차량 내 40여개의 제어기와 통신해 고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진단, 고장 원인을 분석하고 정보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는 좁은 공간의 주차를 편리하게 돕는 원격 전/후진 기능은 물론 직각 주차와 평행주차 기능까지 지원합니다.   운전석에는 7개의 공기주머니를 탑재한 에르고모션(Ergo motion) 시트가 적용돼 주행 모드별 최적의 착좌감을 구현하고 스트레칭 모드 및 자동 자세 보정 기능으로 운전자의 피로감을 낮춘다고 합니다.   12.3인치 3D 클러스터는 운전자의 눈을 인식해 다양한 주행 정보를 입체 화면(3D)으로 구현하며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2D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제네시스 통합 컨트롤러는 복잡한 키보드 입력 대신 주 조작부에 위치한 필기인식 조작계에 손글씨를 써 목적지를 설정하거나 전화번호 입력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입니다.   제네시스 통합 컨트롤러와 연동해 편의성을 높인 14.5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제네시스 퀵가이드 ▲제네시스 카페이 ▲발레 모드 등을 지원합니다.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은 차량 전방 카메라로 촬영한 실시간 주행영상 위에 최적 경로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더해 운전자가 쉽고 정확하게 내비게이션의 안내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제네시스 퀵가이드는 편의, 주차, 지능형 주행 안전 기술 등 기능 및 각종 경고등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어 운전자가 G80에 적용된 다양한 기능과 정보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해줍니다.   제네시스 카페이는 차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간편 결제 서비스로 제휴 주차장 또는 주유소 이용 시 결제 단계에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결제 화면이 자동으로 표출돼 실물 카드 없이 손쉽게 결제할 수 있고요.   발레 모드는 발레 파킹이나 대리운전 이용 시 인포테인먼트 화면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나타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한 기능입니다.   또한 ▲차와 서버를 연결해 자동으로 지도를 업데이트 하는 내비게이션 자동 무선 업데이트 ▲차와 집을 양쪽으로 이어주는 홈 커넥트(카투홈ᆞ홈투카) 기능 ▲차와 스마트폰을 이어주는 폰 커넥티비티(안드로이드 오토ᆞ애플 카플레이), 내차 주변 스마트폰 확인 기능, 디지털 키 등으로 끊김 없는 편의를 제공합니다.   제네시스는 탑승객들의 오감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편의사양도 마련됐습니다.   크래시패드, 도어 트림, 전자식 변속 다이얼에 적용된 앰비언트 무드램프는 전문가가 선정한 10가지 색상과 고객 취향에 맞는 64가지 색상을 선택할 수 있어 승객 공간에 감성을 더합니다.   가솔린 모델에 기본 적용한 액티브 사운드 디자인(ASD)으로 엔진음을 배가시켜 스포티한 감성을 더했습니다. 또한 선택 품목으로 운영되는 ‘렉시콘 사운드 패키지’는 ‘퀀텀 로직 서라운드 관객모드/무대모드’ 등 현장에서 듣는 듯한 생생한 음향 효과를 구현합니다.   터치 입력 방식으로 사용 편의성을 높인 뒷좌석 듀얼 모니터는 이어폰 사용 시 좌/우 각각 독립적으로 영상 및 음성을 사용할 수 있어 승객들이 각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G80에 적용된 공기 청정 시스템은 바깥 공기를 필터로 두 번 정화해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며 차량 내 장착된 미세먼지 센서를 통해 실내 공기질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빠지면 공기 청정 모드를 자동으로 작동시킨다고 합니다.     구 분 G80 전장(mm) 4,995 전폭(mm) 1,925 전고(mm) 1,465 축거(mm) 3,010 구동방식 2WD(후륜) / AWD 엔진 가솔린 2.5 터보 가솔린 3.5 터보 디젤 2.2 배기량 (cc) 2,497 3,470 2,151 최고출력 (ps) 304 380 210 최대토크 (kgf·m) 43 54 45 복합연비 (km/ℓ) 10.8 18인치 타이어 2WD 기준 9.2 19인치 타이어 2WD 기준 14.6 18인치 타이어 2WD 기준  
  • 제네시스 3세대 G80_실물깡패

    제네시스 3세대 G80_실물깡패

    데일리 뉴스
    임재범 2020-03-30 21:35:02
    3세대 G80이 드디어 출시를 알렸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3월 30일 온라인으로 열렸는데요. 강남 제네시스 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고 해서 급하게 찾아 왔습니다.   2008년 1세대 모델(BH)과 2013년 2세대 모델(DH)로 제네시스 브랜드의 탄생을 이끈 G80는 브랜드 출범 이후 2016년 2세대의 상품성 개선 모델부터 G80라는 이름으로 출시됐다.   2016년 출시된 G80는 제네시스의 글로벌 차명 체계인 ‘G + 숫자’를 국내에서 처음 사용하며 제네시스의 방향성을 선보였다.   완전 변경 모델인 3세대 G80는 디자인, 주행성능, 고객 서비스 등 제네시스가 추구하는 가치의 원형을 제시했다.   G80는 우아하고 역동적인 외장 디자인과 여백의 미를 강조한 여유롭고 균형 잡힌 실내 공간을 갖췄다.   또한 2세대에 비해 125kg 가벼워진 차량에 가솔린 2.5 터보, 가솔린 3.5 터보, 디젤 2.2 등 3가지 엔진으로 역동적이고 정숙한 동력성능을 확보하고 ▲차로 변경을 돕고 운전자 성향에 맞게 운전을 보조하는 주행 편의 기술 ▲사고 위험 예상 시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예방 안전 기술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제네시스 카페이 등 최첨단 인포테인먼트 사양으로 고급 세단에 걸맞은 상품성을 갖췄다.   판매가격은 가솔린 2.5 터보 엔진 5,247만원, 가솔린 3.5 터보 엔진 5,907만원, 디젤 2.2 엔진 5,497만원부터 시작한다. (※ 개소세 1.5% 기준)   제네시스는 G80의 ▲엔진 ▲구동방식 ▲컬러 ▲옵션 패키지 등을 고객이 원하는 대로 구성할 수 있는 ‘유어 제네시스(Your Genesis)’ 시스템으로 개인 맞춤형 상품을 제공한다.   ■ 글로벌 고급차 시장에 안착하고 있는 제네시스 … 품질, 안전성 모두 1위   제네시스는 2015년 독립 브랜드로 출범한 이후 미국, 캐나다 등 글로벌 고급차 시장에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특히 G70, G80, G90 등 세 종류의 세단으로 미국 제이디파워(J.D.Power) 신차품질조사(IQS, Initial Quality Study) 프리미엄 브랜드 부문 3년 연속 1위 및 전체 브랜드 2년 연속 1위를 달성한데 이어 2020년 내구품질조사(VDS, Vehicle Dependability Study)에서 평가 대상이 된 첫해 전체 브랜드 1위에 선정되며 뛰어난 품질 및 상품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또한 제네시스는 올해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이하 IIHS)가 발표한 충돌 평가에서 가장 안전한 차량에 부여하는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op Safety Pick+)’에 세 종류의 세단이 모두 이름을 올리며 우수한 안전성을 입증했다.   제네시스는 지난 1월 출시한 GV80에 이어 2021년까지 GV80보다 작은 차급의 SUV와 전기차 모델을 더해 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 역동적인 우아함 담은 외관과 여유로운 개방감 갖춘 실내     3세대 G80는 기존 대비 전폭을 35mm 넓히고 전고를 15mm 낮춰 후륜구동 세단이 갖출 수 있는 가장 세련된 비율과 당당한 모습을 구현했다.   전면부는 제네시스의 로고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인 크레스트 그릴과 ‘두 줄’ 디자인의 쿼드램프로 웅장하고 현대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 후드에는 제네시스 로고 끝에서 시작되는 두 줄의 센터 라인과 크레스트 그릴 양쪽 끝 부분부터 이어지는 후드 캐릭터 라인이 후드의 볼륨감을 강조한다.   측면부는 군더더기 없는 차체 표면 위에 쿼드램프에서 시작돼 도어 상단부를 거쳐 후면부로 갈수록 점점 낮게 이어지는 ‘파라볼릭 라인(Parabolic Line)’이 클래식카의 우아한 모습을 연상시키며, 그 아래 20인치 신규 휠과 펜더(타이어를 덮고 있는 부분)의 볼륨감을 강조하는 ‘애슬래틱 파워 라인(Athletic Power Lines)’이 역동성을 더한다.   측면부 하단에 길게 뻗어 있는 금속 장식은 후면부로 갈수록 위로 올라가 날렵한 인상을 부각시킨다.   후면부는 쿼드램프와 말굽(Horse shoe) 형태로 둥글게 음각 처리한 트렁크 표면을 통해 신형 G80만의 독창적인 인상을 표현했다. 또한 좌우로 길게 뻗은 트렁크 상단의 크롬 장식과 전동 트렁크 버튼은 제네시스 로고를, 듀얼 머플러는 크레스트 그릴을 각각 떠올리게 하며 제네시스의 정체성을 다시 한 번 각인시킨다.   신형 G80의 실내는 ‘여백의 미(Beauty of White Space)’를 바탕으로 여유로운 개인 공간을 추구하면서도 조작계 등의 배치를 최적화해 운전자가 신형 G80에 적용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구성했다.   ▲A필러(전면 유리와 측면 창문 사이의 차체) 두께 및 룸 미러 테두리(베젤) 축소 ▲플래그 타입 사이드 미러 적용 ▲크래시패드(계기판, 수납구 등이 포함된 부분)의 높이 하향 등으로 운전자가 앉았을 때 여유롭고 탁 트인 개방감을 선사하는 ‘파노라믹 뷰’를 갖췄다.   제네시스는 스티어링 휠의 절반을 기준으로 상단부 시계 영역과 하단부 조작 영역을 구분해 시야를 최대한 방해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배치했다.   시계 영역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12.3인치 클러스터, 14.5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주행 중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와 얇은 형태의 송풍구를 배치해 운전자가 주행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조작 영역에는 터치 방식의 공조장치, 회전 조작 방식의 전자식 변속 다이얼, 터치 및 필기 방식으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는 제네시스 통합 컨트롤러를 적용해 조작의 직관성을 높였다.   2세대 G80의 장점이었던 넓고 고급스러운 실내 공간은 3세대 G80에 발전된 모습으로 이어졌다.   특히 쿠페와 같이 매끄럽게 떨어지는 루프라인에도 불구하고 2열의 착좌 높이를 낮춰 헤드룸(머리 위 공간)과 레그룸(다리 공간)을 각각 4mm와 2mm를 확대했다. (※ 파노라마 선루프 적용 기준)   아울러 시트와 스티어링 휠에 천연가죽 소재를 입히고 원목의 색상과 질감을 그대로 살린 목재 장식을 곳곳에 더해 럭셔리 세단에 걸맞은 고급스러운 실내공간을 완성했다.   ■ 역동적이면서 정숙한 주행성능 … G80만의 편안한 승차감은 그대로   G80는 역동적이면서 정숙한 주행성능을 갖춘 동시에 이전 세대의 편안한 승차감을 계승했다.   제네시스는 신형 G80를 가솔린 2.5 터보, 가솔린 3.5 터보, 디젤 2.2 등 3가지 엔진 라인업으로 운영한다.   가솔린 2.5 터보 모델은 최고출력 304마력(PS), 최대토크 43.0kgf·m 등 역동적인 동력 성능을 갖췄으며 복합연비는 10.8km/ℓ 다. (2WD, 18인치 타이어 기준)   가솔린 3.5 터보 모델은 최고출력 380마력(PS), 최대토크 54.0kgf·m 등 동급 최고 수준의 동력 성능을 갖췄으며 복합연비는 9.2km/ℓ 다. (2WD, 19인치 타이어 기준)   디젤 2.2 모델은 최고출력 210마력(PS), 최대토크 45.0kgf·m와 복합연비 14.6km/ℓ를 갖춰 균형 잡힌 성능을 확보했다. (2WD, 18인치 타이어 기준)   G80의 모든 엔진은 CPA(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회전식 진동 흡수 장치) 토크 컨버터와 수냉식 인터쿨러를 적용했다.   CPA 토크 컨버터는 엔진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의 반대 진동을 만들어 엔진 회전 진동을 상쇄시킨다. 이를 통해 실내 정숙성을 높이고 연비를 개선한다.   수냉식 인터쿨러는 엔진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수를 통해 빠르게 냉각시켜 터보 차저의 응답성을 높여준다. 이로써 향상된 가속감과 함께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도 역동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G80 가솔린 모델은 주행 조건에 따라 최적의 방식으로 연료를 분사할 수 있는 듀얼 퓨얼 인젝션 시스템을 적용했다.   진동과 소음이 적은 다중 분사(MPi, Multi Point Injection)방식과 배기량 대비 높은 마력과 토크를 낼 수 있는 가솔린 직분사(GDi, Gasoline Direct Injection) 방식을 상황에 맞게 사용해 정숙한 주행과 역동적인 주행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가솔린 2.5 터보 엔진에는 냉각수 흐름 및 온도를 제어하는 ‘가변 분리 냉각 시스템’ ▲가솔린 3.5 터보 엔진에는 시동 직후 빠르게 예열해주고 상황별로 엔진 냉각 성능을 최적화하는 ‘통합 열관리 시스템’과 실린더 정중앙 부위에서 연료를 분사해 연소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연비를 개선하는 ‘센터 인젝션’이 각각 적용됐다.   디젤 2.2 엔진은 알루미늄 소재 블록을 적용해 기존 대비 약 20kg 가벼워졌으며 베어링 부분의 마찰을 줄이는 ‘볼 베어링 터보차저’를 적용해 응답성이 향상됐다.   G80의 플랫폼은 제네시스 3세대 후륜구동 기반 플랫폼으로, 차체를 낮춰 무게중심을 아래에 두는 설계를 통해 더 넓은 승객 거주 공간을 확보하고 주행 안정성을 높였다.   또한 차체의 약 19%에 알루미늄 등 경량 소재를 적용, 공차중량을 기존 대비 125kg 줄여 연비와 동력 성능을 높일 수 있었다. (※ 2세대 G80 3.3 가솔린 2WD, 18인치 타이어 기준 1,910kg / 3세대 G80 2.5 터보 2WD, 18인치 타이어 기준 1,785kg)   동시에 핫스탬핑 공법으로 만든 초고강도 강판을 42% 확대 적용하고 평균 인장강도를 6% 높여 안전한 승객실을 확보했다.   앞 유리(윈드실드)와 모든 문에는 차음 유리를 기본 적용하고 문 접합 부(도어 실링) 구조를 개선해 풍절음을 줄였으며 신규 엔진룸 방음 패드 및 공명음 저감 휠을 사용해 고급 세단에 걸맞은 실내 정숙성을 확보했다.   아울러 전방 카메라와 내비게이션을 통해 노면 정보를 사전에 인지하고 서스펜션을 미리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상하 움직임 및 충격을 줄이는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을 적용, 탑승객에게 최적의 승차감을 제공한다. (※ 가솔린 모델 限)   ■ 제네시스의 ‘안전 최우선’ 원칙으로 완성한 주행 안전성   제네시스는 신형 G80에 최첨단 능동 안전 기반 자율주행 기술과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한 위험한 상황을 판단하고 차량을 제어하는 안전 사양을 적용해 차에 타는 순간부터 차에서 내리는 순간까지 전방위적으로 고객을 지켜준다.   적용된 주요 기술은 ▲고속도로 주행 보조 II ▲운전 스타일 연동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프리액티브 세이프티 시트 ▲다중 충돌방지 자동 제동 시스템 등이다.   G80는 운전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게 돕는 지능형 주행 보조 기술을 갖췄다.   고속도로 주행 보조 II (HDA II)는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주행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방향지시등 스위치 조작 시 스티어링 휠을 제어해 차로 변경을 보조하거나 20km/h 이하의 정체 상황에서도 근거리로 끼어드는 차량에 대응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리한 주행을 돕는다.   제네시스가 G80에 적용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운전 스타일 연동 기능’을 지원해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차가 스스로 학습,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것과 흡사하게 주행을 보조한다.   아울러 고속도로와 자동차 전용도로 주행 시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진출입로, 곡선로 등 안전 구간의 정보를 받아 해당 구간 통과 시 차량을 자동으로 감속하는 기능인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도 지원한다.   지능형 전조등(Intelligent Front-lighting System)은 상향등을 켜고 주행 시 선행 차량 및 대향 차량이 나타나면 전방 카메라를 통해 차량을 인지하고 차량이 있는 영역만 선별적으로 상향등을 소등해 G80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확보하면서도 상대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해준다.   G80에 적용된 첨단 예방 안전 기술은 도로 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고 위험 상황으로부터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한다.   특히 제네시스는 G80에 국내 최초로 프리액티브 세이프티 시트(PSS, Pre-active Safety Seat)를 적용했다. 프리액티브 세이프티 시트는 전방 충돌 또는 급제동/선회 예상 시 동승석 승객을 안전하게 지키고자 등받이를 앞으로 당겨 안전한 자세로 조정해준다.   G80에 적용된 차세대 센서 융합 기술은 전방, 전측방, 후측방 레이더가 함께 작동해 맞은편이나 측면에서 접근하는 차량과 후방에서 차선을 변경하는 차량들로 인한 위험 상황을 미리 감지,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충돌을 막아준다.   알버트 비어만 사장은 G80 상품 설명 영상에서 “우리는 제네시스 모델들을 위해 차세대 센서 융합 기술을 개발했다”며 “이는 동급 최고의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우리의 핵심 성과 중 하나”라고 밝혔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는 교차로 진입 시 전방 또는 좌/우측에서 다가오는 차량과 충돌 위험이 있는 경우 제동을 보조할 뿐만 아니라 ▲추월 중 대향차 또는 측방 접근차와 충돌 위험 감지 시 ▲전방의 보행자, 자전거, 차량과 충돌 위험이 있어 운전자가 회피 조향 시 ▲주행 중 전방에서 보행자, 자전거 등이 차로 가장자리에 들어와 있어 충돌 위험 감지 시 조향을 보조해 충돌을 방지해준다.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는 주행 중에 차로를 변경하거나 평행 주차상태에서 출차할 때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차량과 충돌할 위험이 있는 경우 충돌하지 않도록 보조한다.   이외에도 G80는 ▲운전자 주의 경고(DAW) ▲전방 주시 경고(FAW) ▲안전 하차 보조(SEA) ▲후석 승객 알림(ROA) 등 첨단 승객 모니터링 기술이 적용돼 부주의로 인한 사고로부터 탑승객을 지켜준다.   G80는 예방 안전 사양과 더불어 충돌 안전 사양도 빠짐 없이 적용해 충돌 사고 발생 시 승객을 안전하게 지켜준다.   측면 충돌 시 탑승자들 간의 2차 충돌을 예방하는 앞좌석 센터 사이드 에어백, 충격량에 따라 에어백 전개 압력을 제어해 상해를 줄이는 운전석/동승석 어드밴스드 에어백 등 기본 적용한 10개의 에어백으로 전방위 충돌 안전성을 갖췄다.   제네시스 최초로 적용된 다중 충돌방지 자동 제동 시스템(MCB, Multi-Collision Brake)은 주행 중 충돌 사고로 운전자가 일시적으로 차량을 통제하지 못할 경우 자동으로 차량을 제동해 2차 사고를 방지한다.   아울러 제네시스는 G80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고객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차량 내 40여개의 제어기와 통신해 고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진단, 고장 원인을 분석하고 정보를 제공한다.   G80는 제네시스의 진화된 신기술을 다양하게 탑재해 운전자에게 수준 높은 편의성을 제공한다.   G80에 탑재된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는 좁은 공간의 주차를 편리하게 돕는 원격 전/후진 기능은 물론 직각 주차와 평행주차 기능까지 지원해 운전자의 주차 부담을 덜어준다.   운전석에는 7개의 공기주머니를 탑재한 에르고모션(Ergo motion) 시트가 적용돼 주행 모드별 최적의 착좌감을 구현하고 스트레칭 모드 및 자동 자세 보정 기능으로 운전자의 피로감을 낮춘다.   12.3인치 3D 클러스터는 운전자의 눈을 인식해 다양한 주행 정보를 입체 화면(3D)으로 구현하며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2D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네시스 통합 컨트롤러는 복잡한 키보드 입력 대신 주 조작부에 위치한 필기인식 조작계에 손글씨를 써 목적지를 설정하거나 전화번호 입력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다.   제네시스 통합 컨트롤러와 연동해 편의성을 높인 14.5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제네시스 퀵가이드 ▲제네시스 카페이 ▲발레 모드 등을 지원한다.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은 차량 전방 카메라로 촬영한 실시간 주행영상 위에 최적 경로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더해 운전자가 쉽고 정확하게 내비게이션의 안내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네시스 퀵가이드는 편의, 주차, 지능형 주행 안전 기술 등 기능 및 각종 경고등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어 운전자가 G80에 적용된 다양한 기능과 정보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게 해준다.   제네시스 카페이는 차에서 이용할 수 있는 간편 결제 서비스로 제휴 주차장 또는 주유소 이용 시 결제 단계에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결제 화면이 자동으로 표출돼 실물 카드 없이 손쉽게 결제할 수 있게 해준다.   발레 모드는 발레 파킹이나 대리운전 이용 시 인포테인먼트 화면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나타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한 기능이다.   또한 ▲차와 서버를 연결해 자동으로 지도를 업데이트 하는 내비게이션 자동 무선 업데이트 ▲차와 집을 양쪽으로 이어주는 홈 커넥트(카투홈ᆞ홈투카) 기능 ▲차와 스마트폰을 이어주는 폰 커넥티비티(안드로이드 오토ᆞ애플 카플레이), 내차 주변 스마트폰 확인 기능, 디지털 키 등으로 끊김 없는 편의를 제공한다.   제네시스는 탑승객들의 오감을 만족시켜줄 수 있는 편의 사양도 마련했다.   크래시패드, 도어 트림, 전자식 변속 다이얼에 적용된 앰비언트 무드램프는 전문가가 선정한 10가지 색상과 고객 취향에 맞는 64가지 색상을 선택할 수 있어 승객 공간에 감성을 더한다.   제네시스는 G80 가솔린 모델에 기본 적용한 액티브 사운드 디자인(ASD)으로 엔진음을 배가시켜 스포티한 감성을 더했다. 또한 선택 품목으로 운영되는 ‘렉시콘 사운드 패키지’는 ‘퀀텀 로직 서라운드 관객모드/무대모드’ 등 공연 현장에서 듣는듯한 생생한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승객들의 듣는 즐거움을 더해준다.   터치 입력 방식으로 사용 편의성을 높인 뒷좌석 듀얼 모니터는 이어폰 사용 시 좌/우 각각 독립적으로 영상 및 음성을 사용할 수 있어 승객들이 각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1열 공조장치로 2열의 열선/통풍 시트를 조절할 수 있으며 2열에서도 공조 모드/온도를 1열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2열 탑승객들의 편의를 높였다. (※ 단, 2열에서 풍량 조절 시 1열과 연동됨)   이와 함께 G80에 적용된 공기 청정 시스템은 바깥 공기를 필터로 두 번 정화해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며 차량 내 장착된 미세먼지 센서를 통해 실내 공기질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빠지면 공기 청정 모드를 자동으로 작동시킨다.   구 분 G80 전장(mm) 4,995 전폭(mm) 1,925 전고(mm) 1,465 축거(mm) 3,010 구동방식 2WD(후륜) / AWD 엔진 가솔린 2.5 터보 가솔린 3.5 터보 디젤 2.2 배기량 (cc) 2,497 3,470 2,151 최고출력 (ps) 304 380 210 최대토크 (kgf·m) 43 54 45 복합연비 (km/ℓ) 10.8 18인치 타이어 2WD 기준 9.2 19인치 타이어 2WD 기준 14.6 18인치 타이어 2WD 기준  
  • 4세대 쏘렌토 시승기 장단점

    4세대 쏘렌토 시승기 장단점

    시승기
    임재범 2020-03-27 14:24:10
    기아 쏘렌토 미디어 시승행사가 열렸습니다.   4세대 쏘렌토 시승에 앞서 주의 깊게 살펴볼 부분을 10가지로 추려봤는데요. 이 항목은 동호회 운영자를 통해 현재 계약자분들의 궁금증 내용을 바탕으로 한 질문 내용입니다.   공명음은 어떤지? 3열 승차감과 공간, 착좌감은 습식 8DCT 느낌은 어떤지 스마트 주차보조 장치는 잘 작동하는지~ 과속방지턱 넘을 때 반응 초반 가속성능.. 브레이크 성능.. 주행보조장치는 20인치 휠/타이어 승차감 고속주행 시 풍절음   리모트 360˚뷰 기능은 내 차 주변 영상을 스마트폰 화면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인데요. 시승차량이라 경험 해 볼 수 없어서 아쉬움이 남았고요. 신규 플랫폼(N3) 적용으로 실내 공간 활용성이 좋아졌다는 점, 주행 중 몸 놀림이 이전 모델과 달리 안정감이 돋보였다는 점이 있었습니다.   커스터마이징 튜온으로 선택사양을 늘렸는데요. 후석모니터, 사이드스텝, 전면PPF 등을 모드 선택하게 되면 200만원 가량이 추가됩니다.     이날 시승에 투입된 모델은 배출가스 규제를 충족시킨 디젤 모델이다. ‘스마트스트림 D2.2’ 엔진, 우수한 변속 응답성과 부드러운 변속감을 갖춘 습식 DCT(더블 클러치 변속기)인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를 현대차그룹 최초로 적용해 강력한 주행성능과 높은 연비를 만들어냈다고 합니다. 최고출력 202PS(마력), 최대토크 45.0kgf·m의 힘을 발휘하며, 연료소비효율(연비)은 14.3km/ℓ(5인승, 18인치 휠, 2WD 복합연비 기준).   3분기 중 스마트스트림 G2.5 T 엔진과 스마트스트림 습식 8DCT가 탑재된 신형 쏘렌토 가솔린 터보 모델을 추가 계획이라고 하네요.     4세대 쏘렌토 디젤 모델의 판매 가격은 트림 별로 ▲트렌디 2,948만원 ▲프레스티지 3,227만원 ▲노블레스 3,527만원 ▲시그니처 3,817 만원.     구 분 4세대 쏘렌토 전 장(mm) 4,810 전 폭(mm) 1,900 전 고(mm) 1,700 (루프랙 포함) 축 거(mm) 2,815 파워트레인 명칭 스마트스트림 D2.2 스마트스트림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 형식 2.2 디젤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배기량 (cc) 2,151 1,598 최고출력 202 230 (시스템 최고출력) (ps) 최대토크 45.0 35.7 (시스템 최대토크) (kgf·m) 복합연비(km/ℓ) 14.3 (5인승, 18인치 휠, 2WD 기준) 15.3 (5인승, 17인치 휠, 2WD 기준)  
  • 위장막. 4세대 신형 투싼 둘러봤습니다

    위장막. 4세대 신형 투싼 둘러봤습니다

    신차
    임재범 2020-03-22 13:47:33
        4세대 투싼 위장막 차량을 둘러봤습니다.   현대차가 최근 공개한 신형 아반떼(프로젝트: CN7)에 이은 다음 모델은 신형 투싼(프로젝트: NX4)입니다.   신형 투싼은 5년 만에 풀체인지 될 4세대 모델인데요. 가솔린과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EV 등 여러 버전의 다양한 파워트레인이 선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력은 친환경 하이브리드 모델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변속기는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6단 AT, 가솔린 1.6 T는 8단 AT, 2.0디젤에는 최근 기아차 쏘렌토에 적용된 스마트스트림 8단 습식 DCT가 적용될 전망입니다.   디자인을 보시면 지난 ‘LA오토쇼 2019’에서 공개되었던 투싼(Tucson) 컨셉트카 모델 'Vision T'와 거의 흡사한 모습입니다. 신형 아반떼를 통해 처음 접한 현대차 디자인 언어인 ‘센슈어스 스포티니스(Sensuous Sportiness)’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미래지향적인 강렬한 프론트 그릴(파라메트릭 쥬얼 패턴 그릴)과 와이드한 바디의 볼륨감이 돋보이는 모습으로 예상해봅니다.   비전T 는 면과 선을 이용해 긴장감을 연출함으로써 입체적 상상력과 초월적 연결성이라는 두가지 주제를 조형적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도어 사선을 가르는 빗살 디자인이 독특합니다. 사이드 라인에서 렉서스 NX가 생각난다는 점에서 신형 투싼의 고급성이 느껴진다는 얘기겠죠.   양쪽 두 개의 테일램프가 하나로 이어지는 램프 디자인은 현대차의 후면 디자인 룩이 되어버렸습니다. 후면부만 봐도 현대차임을 가늠할 수 있는 존재감이 만들어진 거죠.     최첨단 사양도 빠짐없이 다양하게 적용 됐을 것으로 봐집니다.   10.25인치 풀 디지털 클러스터와 10.25인치 내비게이션이 연결된 파노라마 디스플레이 ▲드라이빙 모드에 따라 바뀌고 커스텀 색상 지정이 가능한 주행 모드 연동 앰비언트 무드램프 등.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통해 키(스마트키)가 없어도 스마트폰 애플레이케이션으로 차량 출입, 시동이 가능.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무선으로 다운로드해 설치 가능한 ‘내비게이션 무선 업데이트(OTA, Over-the-Air)’.   앞 유리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전방 차선을 인식해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차로 중앙을 벗어나지 않게 돕는 차로 유지 보조(LFA).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 Blind-Spot Collision-Avoidance Assist).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Navigation-based Smart Cruise Control).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Highway Driving Assist).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RCCA, Rear Cross-Traffic Collision-Avoidance Assist).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PCA, Parking Collision-Avoidance Assist).   등등..   4세대 투싼이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가격대는 기존 투싼(풀옵션기준)보다 5~10% 가량 높아질 것으로 예상해봅니다.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LATEST ARTICLE

  • 현대모비스 스마트 카드키…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모든 브랜드 차량에 적용된다!
    데일리 뉴스

    현대모비스 스마트 카드키…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모든 브랜드 차량에 적용된다!

    임재범 2025-05-02 00:57:20
  • 58만km를 달린 아이오닉 5, 배터리 상태 점검해 보니
    데일리 뉴스

    58만km를 달린 아이오닉 5, 배터리 상태 점검해 보니

    서울-부산 720회 이상 왕복한 거리 잔존수명 87.7% 유지
    임재범 2025-05-02 00:47:53
  • 폴스타4 듀얼모터 시승기. 544마력 3.8초
    데일리 뉴스

    폴스타4 듀얼모터 시승기. 544마력 3.8초

    임재범 2025-04-27 18:44:41
  • 하만(HARMAN)이 만들어가는 미래자동차 전장 기술력
    데일리 뉴스

    하만(HARMAN)이 만들어가는 미래자동차 전장 기술력

    임재범 2025-04-27 18:26:04
  • 스파이더카? 55도 벽타는 차. BMW 고성능 시험 전기차 노이어 클라쎄 상하이에서
    데일리 뉴스

    스파이더카? 55도 벽타는 차. BMW 고성능 시험 전기차 노이어 클라쎄 상하이에서

    초고속 중앙 컴퓨터 ‘Heart of Joy’ 통해 미래 BMW 모델의 주행 역학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릴 예정
    임재범 2025-04-27 11:38:48
  • 카리포트 | 등록일자: 2022년 6월 30일 | 등록번호 : 경기, 아53313 | 발행, 편집인: 임재범 | 청소년보호책임자: 임재범
  • 발행소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읍내로 25 107-1203 | 대표전화: 031-818-2168
  • Contact us : happyyjb@naver.com
  • POWERED BY K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