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유지태도 K7, 풀체인지 수준의 기아 K7 프리미어 시승기

임재범 기자 발행일 2019-06-30 18:36:40
감히 740Li와 비교를? 기아 K7 프미미어 후석 시승기

 




K7 프리미어(PREMIER) 시승영상을 1부와 2부로 나눴습니다.

 

풀체인지급의 2.5세대 K7 프리미어 시승을 뻥태기tv와 함께 경험해봤습니다.

1부 시승영상에는 영화배우 유지태씨도 살짝 나와 주셨(?)네요.

 

 

 

2부 시승영상에는 K7 프리미어 후석에 앉아봤습니다.

물론, 당연히 뻥태기tv와 함께 경험해봤는데요. 수출명 카덴자(cadenza) 라는 차명으로 해외 시장에 판매되는 준대형세단인데요.

K7프리미어 시승 전날 BMW 760Li를 시승한 터라 그 여운이 K7에 까지 이어졌나 봅니다.

함께 보시죠.

 

 

 


K7 프리미어(PREMIER)는요.

 

2016년 1월 출시 이래 3년 만에 선보이는 2세대 K7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입니다. 2.5세대, 2.5리터 차세대 가솔린엔진과 첨단 기술, 담대한 디자인으로 완성된 준대형 세단인데요.

이날 시승에 준비된 차량은 기존 모델과 동일은 3.0 가솔린엔진모델이었습니다.

K7 프리미어는 2.5 가솔린, 3.0 가솔린, 2.4 하이브리드, 2.2 디젤, 3.0 LPi 등 총다섯 가지 엔진 라인업으로 출시됐습니다.

 

판매가격은 ▲2.5 가솔린 모델 2개 트림(프레스티지, 노블레스) 3,102만~3,397만원 ▲3.0 가솔린 모델 2개 트림(노블레스, 시그니처) 3,593만~3,829만원 ▲2.4 하이브리드 모델 3개 트림(프레스티지, 노블레스, 시그니처) 3,622만원~4,045만원  ▲2.2 디젤 모델 2개 트림(프레스티지, 노블레스) 3,583만원~3,790만원 ▲3.0 LPi(면세) 모델 2,595만원~3,460만원 ▲3.0 LPi(비면세) 모델 3,094만원~3,616만원의 범위 내에서 책정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가솔린 3.0 GDi엔진은 6,400rpm에서 266마력의 최고출력을 발휘하고요. 31.4kgm의 최대토크를 5,300rpm에서 뿜어내고요. R-MDPS(랙 구동형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이 적용됐습니다. 고출력 전동 모터가 랙에 장착돼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할 때 조향값을 인지해 즉각적으로 구동시켜는데요. 덕분에 기존 대비 조향 응답성이 강화됐다고 합니다.

 

새롭게 적용된 스마트스트림 G2.5 GDi 엔진은 기아차 최초로 적용해 연비와 동력성능, 정숙성을 크게 개선한 것이 특징인데요. 기통당 두 종류의 연료분사 인젝터를 적용해서, 일반 시내 주행과 같은 저/중속 영역에서는 MPI 인젝터를,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와 같은 고속 영역에서는 GDi 인젝터를 사용함으로써 운전 조건에 따라 최적의 연료를 분사하게 된다고 합니다.

 

전 모델에 8단 자동변속기를 기본 적용됐고요. 지능형 주행안전 기술(ADAS)과 편의사양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운전자가 방향 지시등을 켜면 후측방 영상을 클러스터(계기판)에 표시해 안전한 주행을 돕는 ‘후측방 모니터(BVM, Blind-spot View Monitor)’ ▲차선 및 앞차를 인식해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스스로 제어해주는 ‘차로 유지 보조(LFA, Lane Following Assist)’ ▲터널 및 악취지역 진입 전 자동으로 창문을 닫고 공조시스템을 내기 모드로 전환하는 ‘외부공기 유입방지 제어’ 기술을 동급 최초로 적용됐다고 하네요.

아울러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곡선구간 자동감속)(NSCC-C, Navigation Based Smart Cruise Control-Curve)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RCCA, Rear Cross-Traffic Collision-Avoidance Assist)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PCA-R, Parking Collison-Avoidance Assist-Rear)도 동급 최초로 적용됐습니다.

 

편의사양으로 내비게이션 자동 무선 업데이트(OTA, Over the Air) 기능을 지원하는 12.3인치 대화면 내비게이션과 12.3인치 풀 칼라 TFT LCD 클러스터, 조작성을 높이는 전자식 변속레버(SBW)를 동급 최초로 탑재됐습니다.

 

특히 홈투카(Home to Car) 기능을 더해 카투홈(Car to Home) 기능이 적용됐는데요.

차량과 집은 쌍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차 안에서 집 안의 ▲조명 ▲플러그 ▲에어컨 ▲보일러 ▲가스차단기 등의 홈 IoT(사물인터넷)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요. 반대로 집에서 차량의 ▲시동 ▲공조 ▲문 잠김 ▲비상등 ▲경적 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존보다 25mm 길어진 4,995mm의 전장에 인탈리오(Intaglio: 음각) 라디에이터 그릴의 크기를 키우고 그릴 내부에는 두꺼운 크롬 버티컬(Vertical: 수직 형태) 바가 적용됐습니다.

 

 

 

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