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형 레이아웃은 박스카 형태의 이전 쏘울 모습 그대로인데요. 박스 실루엣을 제외한 모든 부분은 신차입니다. 완전히 새로운 자동차로 만들어졌습니다. 6년만에 재탄생한 3세대 쏘울입니다. 아~ 쏘울 부스터죠.
부스터라는 말이 붙은 만큼 주행성능이 아주 ‘파워풀’해졌습니다.
1.6리터 가솔린엔진에 터보가 더해지면서 20

4마력으로 출력이 상승했고요. 27.0kgm 토크를 1,500rpm에서 4,500rpm구간에서 뿜어냅니다. 낮은 영역부터 고영역까지 토그밴드가 넉넉합니다. 1리터에 127마력의 힘을 낸다는 얘기죠. 공차중량이 1,375kg에 204마력이라 1마력당 6.74kg 수준이라 스포츠카와 맞먹는 수준의 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전모델은 132마력에 16.4kgm 토크였었죠.
하나를 얻으면 하나는 잃게 마련인데, 쏘울 부스터는 힘도 좋아졌지만, 연비까지 챙겼어요. 18인치 휠을 기준으로 기존 쏘울이 10.8km/L였었는데요. 부스터는 12.2km/L입니다.
힘이 넘쳐요. 기대 이상이에요. 지난번 미디어 시승 때와 또 다른 느낌의 발진력입니다. 1.4톤에도 못 미치는 무게에 204마력의 힘이니 말이죠~
생긴 건 마트 다니기에 적당한 박스카지만 주행성능은 스포츠카 수준입니다.
엔진 성능만 좋은 거 아니냐~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하체 밸런스도 좋고요. 서스펜션 조율도 수준급입니다. 앞이 맥퍼슨 스트럿, 뒤는 토션빔인데… 말이죠. 단단한 승차감이에요.

멀티링크인지 토션빔인지 알아차리기 쉽지 않은 세팅입니다. 전기차 쏘울EV는 멀티링크입니다. 배터리 무게 때문이지 않을까 싶어요.
달리기 성능에 있어서 부족함이 전혀 없습니다. 넘치죠. 오히려~
7단 DCT의 반응은 한치 오차도 없이 반응이 빨라요. 뭐, ‘박스카를 타고 스포츠카처럼 달릴 것도 아닌데, 뭐하러 성능을 높혀 놨나?’ 하겠지만, 단단해진 뼈대에 힘까지 더해지니깐 박스카라고 잘 달리지 말아야 될 이유가 없어졌다는 생각이 든다고나 할까요.
여러분들도 한번 경험해 보시면 아시지 않을까 싶네요.
외형도 완전히 탈바꿈했습니다. 아니~ 다시 만들어졌습니다. 새로운 얼굴이죠. 이전 모델이 똘똘한 모습이었다면, 이 녀석은 날카롭고 입체적인데다 카리스마 넘치는 얼굴입니다.
단단하면서 덤직한 모습도 보이고요. 음~~ 미래적인 모습도 있지 않나요?

(전장 4,195mm, 전폭 1,800mm, 전고 1,615mm, 축거 2,600mm) 차체크기면 에서도 덤직해졌습니다. 55mm 길어졌고요. 15mm 높아지고, 휠베이스는 30mm 늘어났습니다. 폭은 전과 동일하고요.
옆모습 실루엣 라인은 박스형태 그대로 입니다. 후면은 후미등이 트렁크 도어 안으로 깊숙히 파고들었고요. 뒷유리 전체를 휘어 감았습니다. 가장 눈에 들어오는 부분은 트윈 머플러가 중앙에 자리하고 있어요. 벨로스터처럼 말이죠. 머플러 디자인이 좋아서 따로 바꿀 생각은 안하지 않을까 싶어요.
실내로 들어서면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센터페시아 상단에 자리한 10.25인치 터치 디스플레이 입니다. 모니터 크기로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아~ ‘쏘울이 달라졌어요’?
화면을 3분할 할 수 있고요. 날씨, 내비게이션, 음악재생 등 각종 정보를 비롯해서 블루투스 기기 두 개를 동시에 연결 할 수 있습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도 있어요. 반사유리가 튀어 나오는 ‘컴바이너 타입 헤드업 디스플레이(Combiner Head-Up-Display)’입니다. 전면 유리에 반사되는 방식보다 컨바이너 타입이 좋다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이유는 전면유리 부품가격이 워낙 비싸서~죠.
스티어링 휠은 3포크 D컷입니다. 림도 크기 않고 조작성도 좋고, 그립감도 나쁘진 않습니다.
스마트폰 무선충전은 센터페시아 하단에 자리 잡았는데요. 상하로 칸을 나눠놔서 사용하기 아주 좋은 위치에요. 낮에는 잘 안보이지만, 야간에는 실내 조명이 좋은 분위기를 연출해주기도 합니다.

시트 포지션도 좋고 후석 공간도 넉넉하고… 음~~~~ 단점을 좀 찾아야 되는데…
아~ 파워윈도우 스위치가 운전석만 오토라는 거… 이제는 전석에 넣어줄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해봅니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Smart Cruise Control), 후측방 충돌 경고(BCW, Blind Spot Collision Warning), 차로 이탈 방지 보조(LKA, Lane Keeping Assist), 전방 충돌 방지 보조(FCA, Forward Collision-Avoidance Assist), 운전자 주의 경고(DAW, Driver Attention Warning), 후방 교차충돌 방지 보조(RCCA: Rear Cross Traffic-Collision Avoidance Assist), 하이빔 보조(HBA : High Beam Assist) 등등… 이런 주행보조장치, 주행안전장치는 이제 기본 품목이 된 것 같아요.

가격은 프레스티지 1,914만원, 노블레스 2,150만원, 노블레스 스페셜 2,346만원.
힘, 연비, 디자인, 주행편의장치 등 네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은 기아 쏘울 부스터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