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포트(카리포트)=임재범 기자] 국내 완성차 업체들 가운데 유일하게 프레임바디를 고집하고 있는 대형 SUV 신형 모하비(The New MOHAVE)입니다. 무려 8년만에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면서 기존의 모습과 형태를 그대로 부분변경(F/L)한 차량입니다.
재밌는 건~ 모하비 마니아들로부터 현재까지도 꾸준한 사랑을 받아오고 있다는 겁니다. 기아차의 효자모델이죠. 2008년 1월 최초 출시 이후 현재까지 1천대 이상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모델이라는 겁니다.
▶▶ KIA The New MOHAVE REVIEW ▶▶
뉴 모하비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친환경입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당 199g으로줄인 모하비로 거듭나기 위해서 유로6 환경기준을 충족시켰는데요. 주유구에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택적 촉매 환원인 요소수 주입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이전 모델에 비해 몸무게가 90㎏(AWD 5인승)에서 135㎏(AWD 7인승)이 늘어났습니다. SCR의 무게죠.
6기통 디젤심장을 깨워보겠습니다. 낮게 깔린 저음의 디젤소음이 중후하게 들려옵니다.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을 철저하게 차단시켜놨는데요. 디젤엔진이라는 걸 잊어버릴 수도 있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아주 정숙하게 변신했습니다.
가속페달에 발을 올리는 순간부터 2.3톤에 살짝 못 미치는 몸무게(공차중량 2,290㎏(7인승 AWD기준) 만큼이나 묵직한 발진감을 보여줍니다. 페발감응은 아주 부드럽습니다. 초반가속이 약간 굼뜨긴 하지만 묵직하게 밀어붙이는 57.1㎏m의 최대토크의 힘이 이 녀석의 덩치를 무색하게 만들어버릴 정도로 부드러운 펀치력을 보여줍니다.
후륜기반 8단 자동변속기와 조화를 이룬 V6 S2 3.0 디젤엔진에서 구동하는 힘입니다. 보닛을 살짝 들어올리며 지면을 박차며 네바퀴를 굴려줍니다. 레드존인 4,000rpm까지 바늘을 올리면서 변속을 이어가는데요. 엔진회전수 1,500rpm에서부터 3,000rpm까지 최대토크로 묵직하고 거침없는 가속을 이어가다가 3,800rpm을 통과하면서 260마력의 최고출력으로 차체를 밀어붙입니다. 꾸준히 풀 가속을 이어가다 보면 속도계바늘이 195㎞/h부근에서 속도계 바늘을 고정시킵니다. 박스형태의 디자인상 어쩔 수 없긴 하지만 공기저항만 줄인다면 한없이 바늘을 올려주지 않을까도 싶어요.
뉴 모하비는 연료효율성뿐만이 아니라 부드러운 가속을 만들어내는 8단 자동변속기의 조합으로 실용성과 응답성, 동력성능이 강화됐는데요. 실 주행구간인 1,500rpm영역의 저중속 토크 수치가 높아졌습니다. 56㎏·m인 이전 모델에 비해 뉴 모하비는 57.1㎏·m로 1.1㎏·m 상승함으로써 가속시간을 단축시켰습니다.
엔진 힘을 이전 모델과 동일한 수치를 기록했지만 무게가 늘어난 만큼 엔진에 약간의 튜닝이 가해졌는데요. 무게감이 느껴지긴 하지만 가속성능 면에서 힘이 좀더 강하게 다가온다고나 할까요.
과연 SCR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디젤엔진의 배기가스를 줄이는 원리가 뭘까? ‘선택적 촉매 환원 주입방식’에 대해 정리해보면요.
→ 디젤엔진에서 일산화탄소(NOx)를 감소시키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장치라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액체 유레아 수용액(liquid urea-water)에서 생성 된 암모니아(NH3)를 환원제로 사용되는데요. 이 유레아 수용액은 포유류 또는 일부 어류의 신진대사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분해과정을 통해 나오는 액체상태의 최종 산물입니다. 한 마디로 ‘소변’과 비슷하다고 보면 맞습니다.
→ CRDi 엔진이나 VGT 엔진 뒤쪽에 가면 간혹 지린내가 나는 이유가 바로 그 이유죠. 쉽게 말해 소변을 가열하면 소금기가 나오는데 이 소금기와 디젤 배기가스 분진을 섞어서 함께 태우게 됩니다. 암모니아(NH3)로 디젤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NOx 분자를 없애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비율은 1:1 인데요.
→ 요소수 탱크 안에 요소수가 머물러 있다가 배가가스 끝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온도센서가 가장 이상적인 온도(250~400도)에 이르면 요소수를 찔끔찔끔 흘려서 NOx와 요소수를 섞어서 태우게 됩니다. 달릴 때 또는 열간 시에 배기가스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요. ‘정지상태에서는 사실상 요소수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보시면 될 겁니다.
뉴 모하비는 얼굴에서부터 입체감을 살린 웅장한 전면입니다. 약간의 변화로 최신 유행하는 스타일로 변신하게 됐다는 하더군요. 육중한 덩치에 화이트 빛을 발하는 LED주간주행등과 측·후면 곳곳으로 라인을 과시하듯 크롬으로 세련된 존재감을 과시합니다.
전체적인 인테리어 구성도 이전모습 그대로입니다. 다만 더욱 고급스런 재질로 마감됐는데요. 분위기는 럭셔리 세단을 보는 듯합니다. 세티크롬과 하이그로시, 우드그레인 내장재와 나파 가죽시트 등으로 대형 SUV의 고급성을 살렸는데요. 스티어링 휠과 계기판의 4.2인치 슈퍼비전 클러스터는 새롭게 디자인이 됐죠. 최신 유행을 반영한 기아차의 계기판입니다.
수 많은 장점 중에도 단점이 보였는데요. 제가 앉아있는 시트는 보강에서 제외 됐나 봅니다. 고급스러운 퀼팅 나파가죽이 사용되긴 했는데요. 시트와 몸을 분리시키는 듯한 착좌감입니다. 특히 2열 시트는 평면에 가죽 엠보싱으로 덮어 놓은 듯한 느낌이랄까요. 약간의 핸들링으로도 몸을 전혀 잡아주지 않는 시트 디자인입니다. 엉덩이와 허리를 좀더 팠더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시승한 이 녀석은 AWD 7인승 프레지던트 사양에 풀 옵션이 적용된 트림인데요. 인증받은 복합 신연비는 리터당 10.2㎞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신 연비 기준 : 복합연비 10.2㎞/L, 도심 9.0㎞/L, 고속도로 12.2㎞/L)
고속 주행하면 수치를 좀 더 높혀 주기는 하겠지만, 평소처럼 운전하면 리터당 10㎞를 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라는 걸 느끼게 만들긴 합니다.
주행안전 전자장치도 유행을 따라 반영이 됐는데요. 오프로드 주행(서행) 시나 주차 시 위에서 내려다보는 봄으로써 차량 주위를 8인치 모니터로 확인이 가능한 ‘어라운드뷰 모니터링 시스템(AVM)’을 비롯해 차선 변경시 후측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후측방 경보시스템(BSD)’, ‘차선이탈 경보시스템(LDWS)’, ‘전방추돌 경보시스템(FCWS)’, 야간 주행시 주변 환경에 따라 상향등을 자동으로 조작해주는 ‘하이빔 어시스트(HBA)’, 스마트폰 연동을 통한 원격시동 및 공조제어 등을 가능하게 하는 ‘유보(UVO) 2.0’ 등 편의사양을 대부분 갖췄습니다.
다만,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과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는 제외된 점은 좀 아쉬운 주행 편의장치인 것 같네요.
프레임바디 대형 SUV를 시승하는 만큼~ 오프로드는 달려봐야 되겠죠~
오프로드를 찾았습니다. 30도 가량 경사 오르막을 비롯해 울퉁불퉁한 울퉁불퉁한 자갈길, 비포장 길을 달리고 있는데요. 전반적으로 거침없는 질주성능을 보여줍니다.
고속주행에서의 말랑말랑한 승차감이 오프로드에서는 잘 다져진 비포장으로 느껴질 뿐입니다. 서스펜션을 튜닝해 고속주행 안정감과 코너링 성능을 높였기 때문인데요. 유압식 리바운드 스프링과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이 전륜에 새롭게 적용됐다고 합니다. 일단 험로나 고속주행 시 승차감이 강화됐고요. 멀티링크 서스펜션이 후륜에 적용됨으로써 차체 흔들림을 줄이게 된 거죠.
어지간한 험로를 달려도 일체형 H자 프레임이 비틀림 없이 상체를 단단하게 고정 시켜줍니다.
이전모델에 비해 좀더 안정된 승차감에 고급진 주행감, 패밀리카로 부족함 없는 공간 활용성 등 부족한 점도 상쇄하는 뉴 모하비만의 성능이… 바로 이녀석의 인기 비결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차량가격(개소세(3.5%인하) 반영 기준)은 트림별 노블레스가 4,025만원, VIP 4,251만원, 프레지던트 4,680만원입니다.
임재범 기자 happyyjb@tvrepor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