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세데스-벤츠는 역대 가장 흥행한 영화 중 하나인 제임스 카메론(James Cameron) 감독의 아바타(Avatar) 제작팀과의 전례 없는 협업을 통해 제작한 컨셉트 카 ‘메르세데스-벤츠 비전 AVTR(Mercedes-Benz VISION AVTR, Advanced Vehicle of TRansformation)’을 지난해 열린 ‘CES 2020(Consumer Electronics Show 2020)’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비전 AVTR은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자원 절약을 통한 환경 보존, 그리고 인간∙기계∙자연 간의 조화와 같은 다양한 메시지가 숨어있는 영화 아바타에서 영감을 얻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비전 AVTR을 통해 환경 속에서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다.
비전 AVTR은 완전히 재활용되는 배터리와 다양한 재활용 소재를 활용해 지속 가능성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또한, 차량 내부가 겉으로 드러나, 실내와 실외의 경계를 허물음으로써 탑승자들을 주변 환경과 연결한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비전 AVTR을 통해 ‘지속 가능한 럭셔리(Sustainable Modern Luxury)’를 지향하고 자동차 산업과 사회 전반의 변혁을 고대하고 있다.

무공해(zero-emission) 모빌리티의 지속가능한 비전
오늘날 자동차의 기술적 실현을 뛰어넘는 선구자인 메르세데스-벤츠는 미래 모빌리티로 나아가는 현 시점에서 비전 AVTR을 통해 무공해 모빌리티와 미래 드라이브 기술에 대한 지속 가능한 비전을 선보인다.
비전 AVTR은 4개의 고성능 전기 모터가 휠에 인접하게 탑재돼 다이내믹한 럭셔리 세단 비전의 민첩성을 보여준다. 비전 AVTR의 합산 엔진 출력은 350kW를 능가하며,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각 전기 모터의 동력은 완전 가변형의 지능적 토크 배분으로 최상의 드라이빙 다이내믹스 뿐만 아니라 뛰어난 효율성을 발휘하도록 도와준다. 토크 벡터링 기능이 탑재된 혁신적인 사륜구동 시스템은 새로운 차원의 자유로움과 최고 수준의 드라이빙 다이내믹스를 보장하는 동시에 최고의 능동적 안전성을 자랑한다.
더불어, 각 휠은 주행 상황에 따라 별도로 주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비전 AVTR은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을 동시 또는 반대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어 기존 차량과는 달리 약 30° 옆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소위 ‘게걸음’은 마치 파충류같이 움직이는 듯한 인상을 자아낸다.

비전 AVTR은 강력하고 컴팩트한 고전압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전기 구동에 맞춰 개발되었다. 특히, 이 배터리 기술은 사상 최초로 그래핀(graphene) 기반의 유기적인 셀 화학 기술을 적용해 희토류나 희유금속이 전혀 사용되지 않은 것이 특징이며, 화석 자원으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전기 모빌리티를 선사한다. 또 다른 혁신성은 배터리가 완전히 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져 100%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메르세데스-벤츠는 원자재 분야에서 미래 순환 경제의 주요성을 더욱 강조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비전 AVTR의 배터리 기술은 자동화된 전도성 충전 기술을 바탕으로 15분 내에 배터리가 완충되는 탁월한 급속 충전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약 110 kWh 용량의 고전압 배터리를 탑재한 비전 AVTR은 700km 이상의 전기 주행거리를 제공하며, 배터리는 회생 주행 및 제동을 통해 기존 시스템보다 높은 효율로 충전이 가능해, 차량 전체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에 크게 기여한다.

비전 AVTR에 탑재된 기술의 진정한 잠재력은 아직 연구 중이지만, 럭셔리 세그먼트에서 지속 가능한 무공해 모빌리티로 도약하는 중요한 단계를 상징한다.
뉴로모픽(neuromorphic) 하드웨어를 포함해 신경 기반의 접근 방식을 채택한 비전 AVTR은 차량 센서, 칩 또는 기타 구성 요소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한다. 에너지 공급은 차량 후면에 설치된 통합형 태양열 집열판에 저장된 전류에 의해 제공되며, 다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33개의 집열판 표면은 마치 ‘바이오닉 플랩(bionic flaps)’과 같이 작동된다. 나아가, 비전 AVTR은 V2G(Vehicle to Grid) 기능을 바탕으로 고효율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다시 대중에게 공급하고, 필요 시 인공지능을 통해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어 미래 전자 모빌리티 생태계에 적합하다.

인테리어 – 모든 감각이 몰입되는 모험 공간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한 비전 AVTR은 EQ 브랜드의 디자인 언어를 따른다. 디지털 요소와 결합된 아름다움은 팽팽한 기류를 형성하고, 미래의 기술들은 진보적인 디자인 언어를 강조한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사상 최초로 비전 AVTR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완전히 새로운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 설계 과정은 탑승객의 경험에서 시작해 그들의 인식과 요구에 초점을 맞췄다. 목표는 승객의 인식을 연장시키는 자동차를 만드는 것과, 탑승객들을 비롯해 차량 그리고 주변 환경을 독특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몰입형 체험 공간을 만드는 것이었다.

비전 AVTR은 차량 내부가 겉으로 드러나는 독특한 디자인 구조를 바탕으로 실내와 외관을 감성적으로 통합시켰다. 외부 라인의 측면 개구부는 실내로 이어져 루프 구조를 형성하는데, 이는 아바타의 나비(Na’vi)족과 판도라의 자연 환경의 연결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됐다. 쭉 뻗은 ‘하나의 활(One Bow)’ 디자인과 유기적인 디자인 언어를 통해 비전 AVTR은 미래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다. 또한, 의식적 인식에서 인간과 기계의 결합에 대한 완벽한 적응에 이르기까지 비전 AVTR과 차량 제어 장치는 탑승객의 감각뿐만이 아닌 외부 세계와도 융합된다.
비전 AVTR의 내부는 자연을 주요 영감으로 활용해 전체 구조가 하나의 선으로 설계되었으며, 유기적인 형태를 띤다. 꽃처럼 부드럽게 짜인 내부 요소는 역동적인 윤곽과 대조를 이루며, 시트에는 형광선이 내장되어 센터 콘솔과 함께 시각적인 불빛을 선사한다.
인테리어는 에너지 라인과 화려한 실시간 그래픽으로 생동감이 넘치며,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술적, 기능적 요소들을 탑재했다. 비전 AVTR은 눈에 보이는 버튼이나 스위치가 없으며, 기능은 운전자 와 탑승자의 신체 또는 손에 투영돼 인간과 기계 융합의 새로운 수준을 제시한다. 뿐만 아니라, 이 기술은 운전자가 실제로 필요하거나 사용하고 싶을 때만 보여 진다.

유기적인 형태의 앞좌석 시트는 첫 번째 아바타 영화에 등장한 홈트리(Home Tree)의 나뭇잎 해먹을 연상시키며, 특히 시트가 탑승자에게 자극을 주어 통합적인 드라이빙 경험을 제공한다. 센터 콘솔은 나비족의 가장 신성한 장소인 영혼의 나무(Tree of Souls)를 상징한다. 이는 A-필러까지 확장돼 루프 구조를 형성하고, 뒷좌석 탑승자를 누에고치처럼 부드럽게 감싸 준다. 또한, 특수 유아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앞좌석까지 확장할 수 있어 앞좌석 시트의 헤드레스트로도 활용할 수 있다.
비전 AVTR의 A-필러는 다양한 색조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끈하게 조합된다. 투명한 표면은 주 투영 영역에 마법 홀로그램 효과를 생성한다. 비전 AVTR의 직관적인 심장인 제어 장치는 중앙 터널과 완벽하게 통합돼 운전자와 승객을 모두 아우르며 뒷좌석으로 이어진다. 센터 콘솔에 손을 올리면 차량의 실내가 작동하며 운전자의 호흡을 인식해 인간과 기계 즉 탑승객과 차량의 결합을 형성하고, 나아가 운전자와 차량 간의 긴밀한 생체 인식 연결을 구축해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힌다. 디지털 뉴런(digital neuron)은 차량 내부에서 외부로 흐르며 운전자와 차량 사이의 공생으로부터 에너지 교환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비전 AVTR 차량의 소재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계의 융합을 목표로 하고, 기본 핵심인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췄다. 비전 AVTR은 미래지향적 기술과 생태학을 결합하고 미래의 자연스러운 인테리어를 보여준다.

시트의 뒷부분과 천장과 같은 넓은 부분은 바다에서 영감을 받아 색이 변하는 직물로 장식됐다. 이 직물은 빛에 따라 어두운 파란색에서 은은한 밝은 파란색으로 색깔이 바뀐다. 또한, 시트는 극세사 소재 중 최초이자 유일하게 전체 생산 과정에서 환경적 지속 가능성이 보장된 비동물성 소재인 다이나미카®(DINAMICA®)를 사용했다. 특히, 낡은 옷, 깃발, PET 플라스틱 병 등의 재활용 물질로 생산되는 이 소재는 오염 물질 배출과 에너지 소비를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춰 생산된다.
깔끔한 흰색 색상의 다이나미카®에는 은은한 그라데이션이 들어가 있는 나뭇잎 추상화가 인쇄되어 자연과의 연결을 다시 한번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차량 바닥 부분에는 실내에 따뜻한 느낌을 부여하고 내추럴한 느낌을 자아내는 혁신적인 나무 소재인 카룬®(Karuun®)으로 장식되어 기술과 천연 재료의 조합을 선보이며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한다.
인도네시아에서 수확되는 카룬®의 원재료인 등나무는 성장이 매우 빨라 다른 종류의 목재나 비목재 제품에 비해 재배에 상당한 이점이 있다. 등나무는 생물다양성에 의존하고 단일재배에서 번식할 수 없어, 활발한 재배를 통해 지구의 열대우림 보호에 기여하는 동시에 지역 주민들에게 지속적인 수입을 보장한다.

사용자경험 디자인 – 인간과 기계 사이에 존재하는 감각의 확장
메르세데스-벤츠의 사용자경험 디자이너들은 인간과 기계 그리고 기계와 인간간의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핵심은 사용자들이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중요한 동기는 사용자의 자기 결정, 그리고 정보를 위해 전체 인테리어를 사용하는 접근법이다. 목표는 적시에 정확한 정보를 꼭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제공하는 것이다.
비전 AVTR에서 메르세데스-벤츠의 사용자경험 디자이너들은 완전히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경험에 초점을 맞췄다. 아바타 속 가상의 세계인 판도라에서 영감을 받은 비전 AVTR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인간과 차량, 주변 환경 사이의 공생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탑승객의 감각을 확장하고 지각 능력을 향상시키는 컨셉트 카가 탄생했다. 탑승객이 비전 AVTR에 탑승하는 순간, 그들은 차량과 차량과의 교감을 통해 주변 세상을 말 그대로 ‘느낄’수 있고, 보다 의식적으로 세상을 경험할 수 있다.
비전 AVTR은 그릴에서 휠 그리고 후면으로 이어지는 디지털 뉴런을 통해 주변 환경의 에너지와 정보의 흐름을 시각화 해 탑승객의 접근에 대응한다. 실내에서 사람과 차량의 첫 번째 상호 작용은 컨트롤 유닛을 통해 완전히 직관적으로 일어난다. 센터 콘솔에 손을 올리면, 차량에 생기를 불어넣은 듯 차량의 실내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차량이 운전자의 호흡을 인식한다. 또한, 비전 AVTR은 차량과 탑승객이 마치 공생하는 유기체처럼 탑승객이 차량좌석에 앉는 순간 차량과의 교감을 통해 주변 세상을 느낄 수 있고, 보다 의식적으로 세상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디지털 뉴런은 차량 내부에서 외부로 흐르며 에너지와 정보의 흐름을 시각화 한다. 예를 들어, 주행 시 차량 외부로 흐르는 뉴런은 차량이 방향을 바꿀 시 에너지가 차량의 해당 축으로 흐른다.
비전 AVTR의 제어 장치는 인간이 기계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기능 인터페이스이며, 운전자 혹은 탑승객의 좌석을 통해 차량을 통제하는데 사용된다.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기운에 따라 차량은 다양한 주행 옵션을 제공하며, 컴포트 모드(comfort mode)에서 차량은 자율적으로 작동한다. 또, 운전자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 장치는 선택적으로 최대 절반까지 구동한다. 만약 운전자가 완전히 자동차를 조작하기를 원할 경우, 제어장치를 완전히 들어올려 조향할 수 있다.

일반적인 대시보드를 대신하는 곡선형 디스플레이 모듈은 탑승객과 외부 세계의 시각적 연결 고리를 구축한다. 실시간으로 차량의 외부와 주변 환경이 3D 그래픽을 통해 표시되는 동시에 차량 전면의 도로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 세밀한 실시간 이미지들은 에너지 라인과 결합되어 차량 실내에 생기를 불러 일으키며 탑승객으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다양한 관점으로 외부 세계와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탑승객들은 일반적으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기장, 바이오에너지, 자외선 등 다양한 자연의 힘을 인지할 수 있다.
비전 AVTR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맞출 필요 없이,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 맞게 조정된다. 간단히 손을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인터페이스가 손바닥에 투사되어 탑승객은 비전 AVTR의 실내와 직관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간단한 제스처로 탑승객들은 알맞은 앰비언트 사운드 트랙(ambient soundtrack)이나 다양한 몰입형 경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비전 AVTR의 시트는 햅틱(haptic) 피드백을 통해 차량 주변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상황에 맞게 설정된 진동이 비시각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대상을 인지하게 한다. 각 시트에는 탑승객이 외부 세계 혹은 본인의 맥박을 느낄 수 있도록 진동을 생성하는 여덟개의 가진기(exciter)가 내장돼 있는데, 실제와 같은 360° 사운드로 인해 현실과 가상 세계가 결합되어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다양한 상황에 완벽하게 맞아 떨어지는 사운드를 구현해 탑승객들로 하여금 주변 상황을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공간적인 3D 사운드를 통해 음원임에도 마치 야생에 있는 것처럼 세심하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들은 시냇물이 흐르는 소리나 새가 지저귀는 소리 등이 차량의 어느 방향에 있는지를 완전히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비전 AVTR은 탑승객을 외부 세계에서 보호하는 대신 외부 환경을 실내로 들여와 사람과 자연 사이의 유대 관계를 더욱 강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비전 AVTR은 가족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도 제공한다. 비전 AVTR은 탑승하는 가족을 자동으로 인식해 차량의 기능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차일드 커넥트(Child Connect)’ 기능으로 앞좌석을 뒷좌석과 연결할 수 있으며, 스크린을 통해 앞좌석의 부모가 뒷좌석에 탑승한 자녀가 잘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앞좌석 탑승객의 맥박이 시트 뒷면에 조명으로 시각화된다. 이를 통해 뒷좌석에 탑승한 자녀들은 앞좌석과 연결됐다는 느낌과 함께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앞 좌석 뒷면에 통합되어 뒷좌석 승객에게 학습 중심의 게임과 어린이 친화적인 증강 현실 경험을 제공하는 ‘매직 풀(Magic Pool)’ 기능도 포함됐다.

외관 – 생체공학적인 디자인 언어
메르세데스-벤츠는 비전 AVTR을 통해 차량이 어떤 방식으로 환경과 균형적인 조화를 이루고 소통할 수 있는지 제시하고 있다. 미래의 생태계에서 궁극의 럭셔리는 기술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융합이 될 것이다. 따라서, 비전 AVTR은 디자인 분야에서의 지속가능한 럭셔리를 상징하는 예시이다. 마치 영화에서 인간이 아바타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확장시켰던 것과 같이 차에 탑승하자마자 차량이 바로 확장된 신체와 같이 변신해 자연을 탐색하는 도구로 변모한다.
비전 AVTR의 외관은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생체공학적인 디자인 언어로 표현된다. 스포티하게 쭉 뻗은 ‘하나의 활’과 같은 차체는 구형의 강력한 휠하우스와 결합된 형태로 디자인되었다. 또한, 메르세데스-벤츠의 디자이너들은 영화 아바타에 등장하는 영혼의 나무의 씨앗인 우드스프라이트에서 영감을 얻어 휠을 디자인했다. 비전 AVTR은 커다란 타원형의 구조를 통해 내외부가 통합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나선형의 디자인 플로우는 목 지지대로부터 문을 넘어 문틀까지 연결돼 내부와 외부를 전부 결합해준다.
투명한 도어 쉘(door shell)은 생체공학적으로 보이는 차체의 가벼움과 효율성을 잘 표현해준다. 동시에, 내부의 모습을 개방함으로서 실내, 외관 및 사용자경험의 융합이라는 디자인 방식을 강조하고 있다. 모든 투명한 표면은 가장 정밀한 실크스크린 인쇄법(ornamental serigraphy)으로 마감했다. 문을 여닫을 때의 환상적인 모습은 영화 아바타에서 나비족이 타고 다니는 벤시(banshee)와 이크란(ikran)의 날개에서 영감을 얻었다.
매끈한 은색 표면과 EQ 브랜드 특유의 정면 디자인, 그리고 푸르스름한 야광의 하이라이트 등 인상적인 외관을 갖춘 비전 AVTR은 따뜻한 분위기의 로즈골드색의 림 암(rim arm)을 탑재해 또 다른 EQ 브랜드 디자인 언어를 자랑한다. 맥동 광섬유(pulsating fiber optics)는 마치 신경 경로처럼 정면, 측면, 후면을 가로지르며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고, 바퀴에 에너지와 정보의 흐름이 보이도록 해준다. 이 미학적인 요소는 판도라의 야행성 생명체들의 내는 빛을 연상시킨다.

비전 AVTR은 차량 후면에 다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33개의 표면 요소를 탑재해 주변 환경과 완전히 새로운 상호 작용을 할 수 있으며, 환경의 일부가 된다. ‘바이오닉 플랩’과 신경광선(neural light lines)은 외부로부터의 접근에 반응하며 운전자와의 연결을 통해 탑승객의 감정과 활동을 반영한다. 바이오닉 플랩은 이동중에도 최적의 조건으로 차량을 지원하고 외부에도 차량과 사람의 연결을 드러내기 위해 일제히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태양광 패널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항 목 |
비전 AVTR |
CO2 배출량 |
0g/km |
주행거리 (WLTP) |
700km 이상 |
모터 출력 |
350kW 이상 |
배터리 용량 |
110kWh |
드라이브 시스템 |
사륜구동 (완전 가변) 및 토크 벡터링 기능 |